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2021년 상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발표

- 총 가입자 3,511만명으로, '20년 하반기 대비 52.4만명 증가 -
- 인터넷 다중매체방송(IPTV) 가입자 증가세와 종합유선방송(SO) 감소세 지속, 격차 633만명으로 확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방송법 제8조, 인터넷다중매체방송(IPTV)법 제13조에 따라, 종합유선방송, 위성방송, 인터넷다중매체방송의 ’21년 상반기 가입자 수 조사ㆍ검증 및 시장점유율 산정 결과를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

 

 ’21년 상반기 기준,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5,107,369명(6개월 평균)으로 집계되어 ’20년 하반기 대비 52만명이 증가하였다*.

  * 가입자 수는 반올림 적용으로 총계와 각 가입자 수의 합산 값이 차이가 있을 수 있음

 

 ㅇ 사업자별로 살펴보면 ① KT 8,141,601명(23.19%), ② SK브로드밴드(IPTV) 5,797,602명(16.51%), ③ LG유플러스 5,064,768명(14.43%), ④ LG헬로비전 3,809,925명(10.85%), ⑤ KT스카이라이프 3,058,783명(8.71%), ⑥ SK브로드밴드(종합유선방송) 2,901,301명(8.26%) 순으로 집계되었으며, IPTV 3사의 가입자 수 및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T와 KT스카이라이프를 합산한 가입자 수는 1,120만명(‘20년 하반기 1,097만명), LG유플러스와 LG헬로비전을 합산한 가입자 수는 887만명(‘20년 하반기 870만명), SK브로드밴드(IPTV와 종합유선방송 합산) 가입자 수는 870만명(‘20년 하반기 852만명)으로, 유료방송 시장에서 각각 31.9%(0.18%p 증가), 25.28%(0.12%p 증가), 24.77%(0.12%p 증가)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다.

 

  < 최근 3년간 주요사업자(상위5개사)별 시장점유율 변화 >

 

구  분

KT

SK브로드밴드

(IPTV)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KT스카이

라이프

‘21.상반기

23.19%

16.51%

14.43%

10.85%

8.71%

’20.하반기

22.76%

16.04%

13.98%

11.18%

8.95%

’20.상반기

22.35%

15.62%

13.54%

11.56%

9.07%

’19.하반기

21.96%

15.15%

12.99%

11.92%

9.56%

’19.상반기

21.44%

14.70%

12.44%

12.28%

9.87%

’18.하반기

21.12%

14.32%

11.93%

12.61%

9.95%

’18.상반기

20.67%

13.97%

11.41%

13.02%

10.19%

 

 한편, 가입자 증가폭은 52만명대로 ’20년 하반기 증가폭(60만명대)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4년간 상·하반기별 가입자 수 및 증가폭 비교 >

(단위 : 단말장치・단자)

 

구  분

’17년

상반기

’17년

하반기

’18년

상반기

’18년

하반기

’19년

상반기

’19년

하반기

’20년

상반기

’20년

하반기

‘21년

상반기

전체가입자

30,457,368  

31,370,088  

31,956,419  

32,490,544

33,034,309

33,601,484

33,946,826

34,583,329

35,107,369

증 가 폭

834,614

912,720

586,331

534,125

543,765

567,175

345,342

636,503

524,040

 

 또한, 매체별 6개월간 평균 가입자 수는인터넷다중매체방송 19,003,971명(54.13%), 종합유선방송 13,044,615명(37.16%), 위성방송 3,058,783명(8.71%)순으로 집계되었다.

 

< 매체별 가입자 수 비교 >

(단위 : 단말장치・단자)

 

구  분

’20년 하반기

’21년 상반기

증감

가입자수

점유율(B)

가입자수

점유율(A)

가입자수

점유율(B-A)

IPTV

18,254,930

52.79%

19,003,971

54.13%

749,041

1.34%p

종합유선방송

13,232,850

38.26%

13,044,615

37.16%

-188,235

-1.1%p

위성

3,095,549

8.95%

3,058,783

8.71%

-36,766

-0.24%p

합계

34,583,329

100%

35,107,369

100%

524,040

 

 

 특히, ’17.11월 인터넷다중매체방송 가입자 수가 종합유선방송 가입자 수를 앞선 이후 인터넷다중매체방송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종합유선방송는 감소함에 따라 인터넷다중매체방송와 종합유선방송간 가입자 수 격차는 ’21년 6월 말 기준 약 633만명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4년간 종합유선방송과 인터넷다중매체방송 가입자 수 >

(단위 : 단말장치・단자)

구분

’17.6월

’17.11월

’18.6월

’18.12월

’19.6월

’19.12월

’20.6월

’20.12월

‘21.6월

IPTV

13,632,000

14,220,281

15,015,907

15,656,861

16,351,182

17,125,035

17,808,213

18,537,193

19,322,489

SO

13,968,178

14,097,123

13,940,289

13,804,449

13,671,046

13,475,595

13,300,818

13,129,858

12,987,766

차이

(IPTV-SO)

-336,178

123,158

1,075,618

1,852,412

2,680,136

3,649,440

4,507,395

5,407,335

6,334,723

 

 가입자 유형별로는 개별가입자* 16,596,547명(점유율 47.27%), 복수가입자** 16,030,988명(45.66%), 단체가입자*** 2,479,834명(7.06%) 순으로 집계되었다.

 

< 유형별 가입자 수 비교 >

(단위 : 단말장치・단자)

 

구  분

’20년 하반기

’21년 상반기

증감

가입자수

점유율

(A)

가입자수

점유율

(B)

가입자수

점유율

(B-A)

개별가입자*

16,628,814

48.08%

16,596,547

47.27%

-32,267

-0.81%p

복수가입자**

15,408,680

44.56%

16,030,988

45.66%

622,308

1.10%p

단체가입자***

2,545,835

7.36%

2,479,834

7.06%

-66,001

-0.30%p

 

 

    * 개별가입자 : 사업자와 계약을 체결하여 1개 단자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개인 또는 법인

 

    ** 복수가입자 :  다수 단자 서비스를 제공받는 개인 또는 법인으로, 단체계약에 해당하지 않는 계약의 가입자(1가구 다계약 또는 병원, 호텔, 상점 등 가입자)

 

   *** 단체가입자 : 사업자와 공동주택의 입주자대표회의가 입주자들에게 같은 조건으로 제공할 유료방송서비스, 요금 등에 관한 사항을 합의하여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이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관리주체의 명의로 체결하는 단체계약의 가입자

 

< 가입자 수 산정 관련 참고사항 >

 

이번 가입자 수 산정 시, 공동수신설비 유지보수 계약*자 56.9만명은 가입자 수로 포함하지 않았다.

 

    * 방송용 선로의 유지보수ㆍ관리 등을 위해 통상 공동주택 관리실과 체결하는 계약으로, 방송법 상 유료방송 계약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

 

 또한, KT와 KT스카이라이프의 방송서비스가 단일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OTS(올레TV스카이라이프)상품의 가입자 140만명은 중복 산정을 방지하기 위해 KT 68.8만명, KT스카이라이프 71.2만명으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 전체 OTS 가입자 중 실시간방송을 KT스카이라이프로부터만 제공받는 2.4만명은 KT스카이라이프 가입자로 산정하고 KT와 KT스카이라이프의 실시간방송을 모두 제공받는 137.6만명은 각 사업자에 절반씩 산정

 

 참고로, 이번 산정ㆍ검증 결과는 공동수신설비 유지보수 계약자는 제외하는 등 유료방송 사업자의 시장점유율 산정을 위해 산출된 결과이며, 실제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총 가입자 수와는 차이가 있어 유료방송 사업자가 가입자 규모를 기반으로 계약 등을 체결할 때 활용하는 가입자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더위에도 푸른 생기 가득 ‘열대풍 화단 전시회
이색 열대식물로 꾸민 여름 화단을 둘러보며 무더위를 식힐 수 있는 청량한 전시회가 열린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9월 9~21일까지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월요일 휴원)에서 ‘열대식물의 유혹, 색(色)과 선(線)’ 전시회를 연다고 밝혔다. 지난해 ‘색(色)’ 전시에 ‘선(線)’이라는 주제를 더해 화려하면서도 모양이 대담한 40여 종 열대 꽃식물이 관람객을 맞는다. 이번에 선보이는 식물은 전국 24곳 현장 실증에서 아름다움과 적응성을 확인했다. 칸나, 콜레우스, 관상용 고구마는 고온에 강하고 싱그러운 느낌이 일품이다. 열대 지역 원산인 야자류, 파초류, 천남성과 식물은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잘 자라 풍성한 느낌을 풍긴다. 열대풍 화단을 꾸밀 때, 뒤쪽부터 ‘중심 꽃-모양 꽃-무늬잎 꽃-덩굴 꽃’ 순서로 식물을 배치해 조화로움과 아름다움을 한껏 살렸다. ‘색(色)’이 주제인 화단‧화분에는 △중심 꽃으로 키가 크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칸나 △모양 꽃으로 화려한 꽃베고니아 △무늬잎 꽃으로 콜레우스 △덩굴 꽃으로 관상용 고구마를 심어 눈을 즐겁게 한다. ‘선(線)’ 화단‧화분은 △중심 꽃으로 야자류와 파초류 △모양 꽃으로 드라세나 △무늬잎 꽃으로 디펜바키아 △

축산

더보기


산림

더보기
기후변화 재난,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대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극한 호우에 따른 산지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31년까지 8년간 전국 400개소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유량관측망은 산지 유출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 홍수, 가뭄, 산사태 등 물 관련 산지재난의 발생 특성을 분석,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산림유역에 적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해 산지 홍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홍수도달시간은 가장 높은 강우량 시점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진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재해에 취약하다. 특히 산지에서 실시간 유량변화를 확보하는 것은 지역의 산지재난 발생 위험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되는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은 한국형 실시간 정밀 유량관측을 가능하게 해, 산지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산림과학 국제학술지인 「Forests」에 2024년 게재되어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산지재난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