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2022년 식품·외식산업 경향은?

- ‘식품을 통한 연결과 진화’를 주제로
2022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 개최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 이하 aT)는 다른 분야와 융합과 연결을 통해 식품외식업계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11월 24일(수)∼25일(목) ‘2022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이하 전망대회)’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

 

 

 올해는 “식품을 통한 연결과 진화”를 주제로 다른 분야와 융합을 통한 신사업 영역 발굴 등 다변화하고 있는 식품·외식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번 전망대회는 식품외식업계의 다양한 이슈를 다루기 위해 강연 수를 지난해 9개에서 올해는 15개로 대폭 확대하였으며 ‘단계적 일상 회복’에 맞춰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

 

 작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행사로만 진행되었으나, 올해는 강연장 관객 참여로 강연 현장감을 더하여 유튜브, 네이버TV, 카카오TV로 온라인 생중계될 예정이다.

 

 세부 프로그램은 글로벌 연사가 담당하는 기조강연과 식품·외식산업 트렌드 및 전망, 푸드테크(Food-Tech), ESG 등 각 분야 전문가 및 기업 관계자 강연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기조강연에서는 세계적인 식품분야 시장조사 기관인 이노바마켓 인사이트의 패트릭 매니언(Patrick Mannion) 대표가 ‘2022년 글로벌 식품 트렌드 전망(Top 10 Trends for 2022)’을 10가지 키워드*를 통해 소개한다.

 

     * 지구의 건강(Shared Planet), 식물성 제품(Plant based the canvas for Innovation), 식탁 위 기술(Tech to Table), 식생활 변화(Shifting Occasions), 소비자 목소리(Voice of the consumer), 장 건강(Gut Glory), 원산지로 회귀(Back to the Roots),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갈망(Amplified Experiences), 업사이클링(Upcycling Redefined), 나의 가치와 브랜드(My Food, My Brand)

 

 1일차 강연은 식품산업 트렌드 및 전망, 식품업계 푸드테크 및 ESG 경영전략 등 다양한 주제별로 진행된다.

 

 식품산업 트렌드 및 전망은 △2022 식품트렌드 Top 7(서울대 문정훈 교수), △금융업계가 바라보는 2022 식품산업 전망(유안타증권 유동원 본부장)을 통해 제시하며,

 

 - △200조 푸드테크 투자현황과 미래(퓨처플레이 류중희 대표)와 △식품산업 물류시스템 현황과 미래(메쉬코리아 유정범 대표)를 통해 식품산업의 푸드테크 전망 및 사례를 공유한다.

  

 - 또한 최근 산업 전반의 화두인 ESG 경영에 대하여 롯데푸드 이진성 대표와 스타벅스 코리아 송호섭 대표를 통해 △2022 식품·외식업계 ESG 경영 방향에 대해 들어본다.

 

◇ 2022 푸드트렌드 TOP 7 (서울대학교 문정훈 교수)

①코로나19 이후 뭐 먹지?

코로나19 이후 단백질, 유지, 주류 소비는 증가하고 당, 탄수화물류는 상대적으로 감소

②일상 장보기 고객의 이동

온라인 신선식품 구매 증가 등 일상생활 식료품 구매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으로 이동

③냉동 간편식 시대를 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가정 내에서 집밥의 비중이 증가하며 간편식 시장이 빠르게 성장

④RMR, 3자 협업의 간편식

유명 맛집 인기 메뉴를 담은 레스토랑 간편식(RMR) 열풍으로 외식-유통-제조업체 3자 협업의 새로운 형태 간편식 부상

⑤단백질로 칼로리를 채우다

건강 및 체중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칼로리 섭취원 중 탄수화물은 감소, 단백질과 지방의 비중이 증가

⑥지속가능한 대체식품

환경오염·동물복지·건강 등 사회 및 환경부문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로 식물성단백질 등 대체식품 시장 급성장

⑦건강 중심의 라이프 스타일과 식품 소비

코로나19 이후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확산으로 면역력 향상, 다이어트, 마이크로바이옴 등 건강 키워드가 급부상했으며 식품과 건강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접근 증가

 

 2일차 강연은 외식산업 트렌드 및 전망, 외식업계 푸드테크, 식품·외식업계의 사업/플랫폼 간 융복합 등을 주제로 진행된다.

 

 외식산업 트렌드 및 전망은 △2022 외식트렌드(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윤은옥 부장), △빅데이터를 통한 2022 외식산업 분석(바이브컴퍼니 송길영 부사장), △단계적 일상회복 시대(위드코로나 시대) 식품외식산업 변화와 전망(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용선 박사)을 통해 살펴보며,

 

 - △AI를 통한 외식 스마트 스토어(한국외식산업연구원 김삼희 연구실장)와 △서빙로봇을 활용한 매장경영 성공전략(우아한 형제들 김민수 팀장)을 통해 비대면 서비스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외식업체 성공전략을 공유한다.

 

  - 또한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콜라보레이션)으로 밀키트를 출시하고 있는 프레시지의 △간편식 시장의 퍼블리셔*(프레시지 정중교 대표),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플랫폼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한 쿠캣의 △콘텐츠 플랫폼과 푸드트렌드(쿠캣 이문주 대표)에서 들어본다

   

 * 퍼블리셔: 정보나 컨텐츠(제조플랫폼·유통솔루션 등)를 수집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끝으로 이번 전망대회 주제인 “식품을 통한 연결과 진화”에 대한 이노바마켓 인사이트의 패트릭매니언 대표와 서울대 문정훈 교수의 특별대담으로 이번 전망대회의 막을 내린다.

 

  농식품부 정현출 식품산업정책관은 “코로나19 이후 산업과 플랫폼 등 모든 분야의 경계가 급속히 허물어지고 있으며, 식품·외식업계는 타 분야와 융복합과 연결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전망대회가 대한민국 식품외식업계의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번 전망대회는 aT 공식 유튜브 채널(youtube.com/user/aTwebTV)과 네이버TV, 카카오TV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될 예정이고, 네이버TV와 카카오TV 채널에서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를 검색하면 손쉽게 시청이 가능하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인공지능(AI)이 그리는 스마트축산의 미래! 제3회 스마트축산 AI 경진대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17일(수) 청주 오스크에서 「제3회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경진대회(이하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25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축산 우수모델을 시상하였다. 이번 경진대회는 축사 내부 온·습도와 가축 생육 등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사양이나 환경관리 등에 관한 ICT 장비를 연계 운영해 생산성 향상, 경영비 절감, 악취·탄소 저감 등 현장문제 해결에 기여한 AI 솔루션을 평가하고 시상하는 자리였다. 특히, 축산생산자단체장, 학계, 스마트축산 청년 서포터즈, 대학생 등 스마트축산에 관한 신·구 세대가 함께해 의미가 더욱 뜻깊었다. 오늘 행사는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상용화 부문과 알고리즘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관심을 모았던 상용화 부문에는 3개 팀이 한치의 양보 없는 진검 승부를 펼쳤다. * (상용화 부문)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보유하고 현장에 적용 중인 기업 ** (알고리즘 부문) 아직 현장에 적용하지 않았으나 축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단체, 대학 등 상용화 부문 농식품부 장관상은 소의 생육에 관한 10만개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학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케이-푸드 세계화를 위한 식품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전략 논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9월 16일(화)에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에서 ‘해썹 코리아(HACCP KOREA) 2025’를 열고, “케이-푸드(K-Food)의 글로벌화를 위한 식품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전략”을 논의했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식품 산업계, 학계, 소비자 등 약 350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난 30년간 해썹 제도와 함께 발전해 온 국내 식품안전관리의 국제적 도약을 위해 ‘글로벌 해썹’ 제도 시행, 식품 안전 관리 고도화 방안, 수출 활성화 전략 등을 공유했다. ※ 글로벌 해썹: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해썹업소가 고의적·의도적인 식품안전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하여 현재 해썹 기준에 식품 방어, 식품사기 예방, 식품안전문화 및 식품안전경영 등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1부 기조 발표에서는 ‘케이-푸드(K-Food)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식품안전 정책 방향’, ‘글로벌 식품산업 동향 및 국내 식품제도 개선방향’, ‘글로벌 식품시장 진출을 위한 국내 산업 대응 전략’등이 발표됐다. 이어 열린 2부 정책포럼에서는 업계, 학계, 소비자 대표 전문가들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이 가야할 길’, ‘식품산업

산림

더보기
가을 숲으로 배우는 산림의 가치, 시민과 함께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13일(토), 산림과학 연구 성과를 지역사회와 공유하는 프로그램인 ‘제6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식의 숲 아카데미는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공개 강연으로, 총 8회에 걸쳐 진행된다. 시민들의 높은 만족도와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기존 ‘홍릉 시민 아카데미’를 확대해 ‘지식의 숲 아카데미’로 운영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산림생태연구과 김아름 연구사가 ‘가을 숲, 나무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을 맡았다. 단풍나무와 은행나무 등 가을 숲을 대표하는 나무를 소개하고, 숲과 나무의 계절별 생리와 생태적 변화를 흥미롭게 풀어내 큰 호응을 얻었다.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약 12만 5천 평에 달하는 도심 속 홍릉숲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산림 분야 국가 연구기관이다. 숲 생태계, 산림재난, 목재, 임산물 등 다양한 분야의 산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김광모 과장은 “이번 아카데미가 더 많은 시민에게 숲의 가치와 기능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남은 회차에서도 흥미로운 주제로 많은 시민과 소통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