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2021년 10월 항만 수출입 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3.5% 증가

-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1년 10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3,391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886만 톤) 대비 3.9%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완만한 세계 경제회복세에 힘입어 석유화학 관련제품 수출 호조와 광석 수입 물동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1억 977만 톤) 대비 3.5% 증가한 1억 1,366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연안 물동량은 광석, 시멘트 등의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유류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1,910만 톤) 대비 6.1% 증가한 2,025만 톤을 처리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21년 10월) ]

(단위 : 만 톤, %)

 

구 분

’20.10월

최근 3개월

’21.10월

’21.7월

’21.8월

’21.9월

총물동량

12,886

13,719

12,861

12,724

13,391

전년 동월 대비 

△8.6

12.9

8.7

2.8

3.9

 

수 출 입

10,977

11,830

11,074

10,982

11,366

 

연    안

1,909

1,889

1,787

1,742

2,025

 

항만별 물동량은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2.6%, 15.7%, 1.8% 증가하였으나 인천항은 3.5% 감소하였다.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1년 10월) ]

(단위: 만 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f5808d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01pixel, 세로 440pixel

 

《 컨테이너 화물 》

 

2021년 10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출입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252만 TEU) 대비 1.5% 증가한 256만 TEU를 기록하였다.

 

이 중 수출입 물동량은 총 146만 TEU로 전년 동월(142만 TEU) 대비 3.0% 증가하였는데, 수출물동량과 수입물동량 모두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주요 교역상대국인 대미(對美) 수출입 증가세(9.1%↑)가 두드러졌다.

 

    * 물동량(수출/수입, 만 TEU) : (’20.10) 71.1 / 70.5 → (’21.10) 73.0(2.7%↑) / 72.8(3.2%↑)

 

환적은 전년 동월(109.4만 TEU) 대비 0.4% 감소한 109.0만 TEU를 처리하였다.

 

[ 전국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21년 10월) ]

(단위 : 천 TEU, %)

 

구 분

’20.10월

최근 3개월

’21.10월

’21.7월

’21.8월

’21.9월

총물동량

2,523

2,576

2,419

2,348

2,561

전년 동월 대비 

1.3

7.2

3.4

△1.2

1.5

 

수 출 입

1,415

1,456

1,359

1,313

1,457

환    적

1,094

1,105

1,047

1,024

1,090

 

연    안

14

15

13

11

14

 

부산항은 전년 동월(190.4만 TEU) 대비 2.0% 증가한 194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수출입물량은 증가한 반면 환적물량은 감소하였다.

 

수출입 물동량은 중국(6.9%↑), 일본(6.8%↑) 등 다수 국가와의 교역물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83.5만 TEU) 대비 7.5% 증가한 89.8만 TEU를 처리하였다.

 

환적은 전년 동월(107만 TEU) 대비 2.4% 감소한 104만 TEU를 처리하였으며, 이는 중국(9.1%↓), 미국(0.1%↓), 일본(0.3%↓)의 환적물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항은 전년 동월(28.4만 TEU) 대비 5.4% 감소한 26.8만 TEU를 처리하였으며, 이중 수출입은 중국 및 베트남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27.7만 TEU) 대비 5.1% 감소한 26.3만 TEU이었으며, 환적물동량은 전년 동월(5.7천 TEU) 대비 감소한 4.6천 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17만 TEU) 대비 19.9% 증가한 20.3만 TEU를 처리하였으며, 수출입 물동량은 중국과 미국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15.3만 TEU) 대비 8.1% 증가한 16.5만 TEU이었으며, 환적물동량은 전년 동월(1.7만 TEU) 대비 증가한 3.8만 TEU를 처리하였다.

 

《 비컨테이너 화물 》

 

2021년 10월 전국 항만의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8,840만 톤으로 전년 동월(8,436만 톤) 대비 4.8% 증가하였다. 항만별로 살펴보면, 광양항과 울산항 물동량은 증가, 인천항, 평택·당진항의 물동량은 감소하였다.

 

[ 전국 항만 비컨테이너 물동량(’21년 10월) ]

(단위 : 만 톤, %)

 

구 분

’20.10월

최근 3개월

’21.10월

’21.7월

’21.8월

’21.9월

총물동량

8,436

9,163

8,533

8,475

8,840

전년 동월 대비 

△9.0

14.0

9.7

3.6

4.8

 

수 출 입

6,539

7,287

6,758

6,742

6,826

 

연    안

1,897

1,876

1,775

1,733

2,014

 

품목별로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와 광석은 각각 전년 동월대비 10.8%, 3.0% 증가하였으나 유연탄은 4.5% 감소하였다.

 

유류는 원유 수입 물동량(광양항, 인천항)과 석유정제품 수출입 물동량 (광양항, 울산항, 대산항)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3,605만 톤) 대비 10.8% 증가한 3,993만 톤을 처리하였고, 광석은 포항항, 광양항의 수입 물동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평택·당진항과 인천항의 수입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1,201만 톤) 대비 3.0% 증가한 1,238만 톤을 처리하였다.

 

유연탄은 하동항의 수입 물동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천항, 포항항, 광양항의 수입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월(1,015만 톤) 대비 4.5% 감소한 969만 톤을 처리하였다.

 

박영호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수출입 화물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세계 주요 항만의 연쇄적 적체로 인해 부산항의 화물처리가 다소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글로벌 해상물류 적체 상황이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터미널 장치율(컨테이너의 쌓여 있는 정도) 관리 및 수출화물 임시 보관 장소의 원활한 운영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