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해양수산부,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해양생명자원 2,917종, 11,637점 확보

- 해양생명자원 주권 강화 및 분양을 통한 산업적 활용 기대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해양생명자원조사’사업을 통해 지난 5년(‘17〜’21) 동안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2,917종 11,637점의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해양생명자원 주권을 강화하고 산업적으로 활용하고자 2014년부터 우리나라의 해양생명자원 서식 현황을 조사하는 ’해양생명자원조사‘ 사업을 매년 추진해 왔다. 2017년부터는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자원조사를 위하여 동 사업을 5개년 계획으로 변경하고, 우리나라 해역을 5개**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총 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 나고야의정서(’17.8월 국내 발효) : 생물자원에 접근하는 경우 자원 보유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자원 이용에 따른 이익은 자원 제공국과 공유해야 함을 규정

   ** (‘17년) 동해중부, (‘18년) 동해남부, (‘19년) 남해동부, (‘20년) 남해서부, (‘21년) 서해 조사

 

  이번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사결과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2,917종 11,637점의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하였으며, 이 중 238종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에서 기존에 확보하지 못한 해양생명자원을 새롭게 발견한 것이다. 해역별 자원확보 현황은 서해 해역이 983종으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남해 서부 해역에서 565종, 남해 동부 해역은 529종, 동해 남부 해역은 459종, 동해 중부 해역은 381종 순으로 확보 종수가 많으며, 분류군별로는 해양무척추동물이 1,788종(61%)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해양식물(455종, 16%), 해양척추동물(313종, 11%), 해양미생물(194종, 7%), 해양원생생물(167종, 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를 통해 확보한 종 중 갯지렁이류 등 4종은 유전 및 형태학적 연구를 통해 세계에서 최초로 발견된 신종으로 인정받았으며, 항암, 항산화 등 산업적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기능성 물질을 지닌 감태, 갈색대마디말, 괭생이모자반, 줄의관말, 검정해변해면, 매끈이고둥 등을 다수 확보하여 분양 및 분포 정보 제공을 통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f0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8pixel, 세로 25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f0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2pixel, 세로 741pixel

티마레테 포스테리아

(학명, Timarete posteria)

네오엠피트리트 언더바이진티피스

(학명, Neoamphitrite undevigintipe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f0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52pixel, 세로 82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f0408f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8pixel, 세로 680pixel

 

롱기페디아 울릉엔시스

(학명, Longipedia ulleungensis)

롱기페디아 코리아나

(학명, Longipedia koreana)

  <신종 해양수산생물자원>

 

  또한, 확보된 모든 자원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국가자산으로 영구 보존하고 있으며,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MBRIS, www.mbris.kr)’을 통해 서식지 등에 관한 정보 제공 및 실물자원을 분양하고 있다.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생물다양성이 높은 해역과 조사가 미진했던 섬 해역을 대상으로 자원조사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2022〜2026년 해양생명자원조사’ 계획을 수립하여 해역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재관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해양생명자원은 바이오 산업 소재로 활용 되는 등 중요한 자산이다.”라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해양생명자원을 조사하여 자원 주권을 강화하고 활용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쿠첸·농협양곡, 취반 특성 연구 업무협약 맺어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 국립식량과학원은 8월 26일 ㈜쿠첸(대표이사 박재순), 농협양곡(대표이사 강문규)과 충남 천안 쿠첸 공장에서 잡곡밥 및 쌀밥 취반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쌀 소비 감소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증가에 대응해 잡곡밥과 쌀밥 취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국산 식량작물 소비 기반을 확대하고 국민 건강 증진과 식량자급률 향상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국립식량과학원은 고품질 쌀 및 잡곡의 품종별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분석하고, ㈜쿠첸은 기능성과 식감이 우수한 취반 알고리즘을 개발해 자사 밥솥에 적용한다. 농협양곡은 안정적 원료 공급을 통한 상품화, 판촉(마케팅), 유통을 맡아 소비 기반 확대를 지원한다. 국립식량과학원은 고품질 쌀 품종을 개발, 보급하고 있으며, 고혈압과 당뇨병 예방 효능이 있는 국산 잡곡 최적 혼합비율을 설정*해 식품 소재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 *특허명: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고혈압용 조성물’(10-0154823),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10-2474858) ㈜쿠첸은 국내에서 유통되는 우수한 쌀 품종을 대상으로 기능성 혼합곡과 신품종 쌀에 최적화된 취반 알고리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면역·행복·젊음·활력, 한돈에 다 있다!” 명예홍보대사 4인과 함께 전하는 2025 디지털 광고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가 금일 8월 27일(수), 한돈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2025 한돈 명예홍보대사 디지털 광고’를 공개한다. 이번 명예홍보대사 디지털 광고는 국민 식재료인 한돈의 영양학적 가치와 매력을 친근하고 위트 있게 담아내며, 소비자와 한돈을 더욱 가깝게 잇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광고 영상은 올해 한돈 홍보 캠페인 슬로건인 “한계 없는 능력, 한돈”을 바탕으로 행복 호르몬 세로토닌을 만드는 트립토판, 면역력 향상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B1, 영국 BBC선정 슈퍼푸드 돼지기름(라드) 등 한돈의 장점을 다채롭게 풀어낸다. 무엇보다 이번 광고에는 대중에게 친근하면서도 신뢰감을 주는 ‘2025년 한돈 명예홍보대사’ 4인이 출연했다. 이들은 ‘끝이 없는 한돈의 능력을 전하는 방송’이라는 콘셉트에 맞춰 각자의 전문 분야를 살린 방송 포맷으로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먼저, 개그맨 윤택은 교양 프로그램 형식으로 ‘행복 호르몬’을, 배우 이세창은 드라마 패러디로 ‘젊음과 항산화’를 강조하며 한돈의 영양학적 가치를 재미있고 신선한 방식으로 전달한다. 또한, 방송인 이용식은 홈쇼핑 무대로 ‘활력과 항피로 효과’를, 한의학박사 한동하

산림

더보기
산림청, 백두대간법 20주년 맞아 성과 및 미래 방향성 공유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백두대간법)’ 시행 20주년을 기념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임호선 국회의원, 한국환경생태학회,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녹색연합, 백두대간옛길보존회, 백두대간보전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백두대간 산림생태계의 20년간 변화상 △백두대간 보호·산림복원의 성과와 미래비전 △백두대간 보전과 시민사회의 역할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으며, 내년에 수립되는 10년 기본계획에 반영해 백두대간 보전 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백두대간법은 2005년 무분별한 개발행위로 인한 산림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국토를 건전하게 보전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행됐다. 산림청은 현재 6개도, 108개 읍·면·동을 포함하는 27만7,645헥타르(ha)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을 지정해 보전·관리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백두대간 생태축을 연결·복원하는 사업을 통해 도로로 단절됐던 이화령, 육십령 등 13개소를 복원해 야생동물과 국민들의 지역 간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주변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재하고 통행자와 작업자의 안전 등을 고려한 특수 건축공법을 활용해 백두대간의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