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국내 정보보호산업 매출 13.4% 증가, 견고한 성장세 지속

- 안전한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의 힘찬 도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회장 이동범, 이하 ‘협회’)는 ‘2022년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정보보호 기업의 매출, 수출, 인력 등 산업 동향을 조사하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정보보호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 정보보호 산업 개황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0년 대비

증감

성장률(%)

정보보호 기업

1,094 개

1,283 개

1,517 개

234 개

+18.2

정보보호 매출

11조 1,805억 원

12조 2,242억 원

13조 8,611억 원

1조 6,369억 원

+13.4

정보보호 수출

1조 7,798억 원

1조 9,135억 원

2조 767억 원

1,632억 원

+8.5

정보보호 인력

46,275 명

54,706 명

63,562 명

8,856 명

+16.2

 

 ’21년 정보보호 산업은 13.4%의 성장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최근 3년간 11.3%의 연평균 성장률을 달성하였다.

 

  - 정보보호 기업의 숫자는 전년 대비 약 18.2% 증가하였으며, 산업 시장 규모는 정보보안 부문 16.0%, 물리보안 부문 12.1%씩 성장하여 견고한 상승세를 보였다.

 

  -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세계적 유행 이후 네트워크 보안, 콘텐츠·데이터 보안,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부품, 생체인식 보안 시스템 등 비대면 보안기반 분야에 대한 수요 증가가 정보보호 산업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정보보호 인력은 전년대비 16.2% 증가하였는데, 이는 일반 기업들의 보안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활성화로 정보보호 기업의 인력 수요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정보보호 기업은 1,517개로 전년도 1,283개보다 약 18.2% 증가했으며, 그 중 정보보안 기업은 669개(26.0%↑), 물리보안 기업은 848개(12.8%↑)로 조사됐다.

 

 디지털 대전환으로 사회적으로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기업의 보안 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수는 연평균(’17~’21년) 14.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연도별 정보보호 기업 동향 (단위: 개) >

 

구분

정보보안

물리보안

합계

기업 수

증가율(%)

기업 수

증가율(%)

기업 수

중가율(%)

2021년

669

+26.0

848

+12.8

1,517

+18.2

2020년

531

+12.3

752

+21.1

1,283

+17.3

2019년

473

+1.9

621

+13.1

1,094

+8.0

2018년

464

+39.8

549

-2.8

1,013

+12.9

2017년

332

+6.8

565

+2.2

897

+3.8

 

 국내 정보보호 산업 전체 매출액은 약 13조 8천억 원으로 전년대비 13.4% 증가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 비대면‧비접촉 관련 분야의 보안 수요가 대폭 증가함에 따라 ’19년부터 10% 내외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 최근 5개년 정보보호 산업 매출액 및 성장률 (단위: 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정보보안

2조 7,449억

3조 829억

3조 6,187억

3조 9,213억

4조 5,497억

물리보안

6조 8,408억

7조 349억

7조 5,617억

8조 3,028억

9조 3,114억

합계

9조 5,857억

10조1,178억

11조 1,805억

12조 2,242억

13조 8,611억

성장률(%)

+6.0

+5.6

+10.5

+9.3

+13.4

* 억 원 미만 단위 절삭

 

정보보안 부문의 매출액은 약 4조 5천억 원 규모로 전년대비 16.0% 성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특히, 기업들의 재택근무를 위한 클라우드 환경 전환 수요 증가로 네트워크 보안(20.7%), 콘텐츠·데이터 보안(13.5%, DLP*, DRM** 등)이 국내 정보보안 시장에서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데이터 유출 방지(Data Loss Prevention) / **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9,432억 원, 콘텐츠·데이터보안 솔루션 6,122억 원

 

  - 이와 더불어 지능형 공장 등 제조업 분야에 대한 국내‧외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 및 악성코드 공격 사례 증가로 운영기술(OT, Operation Technology) 보안* 및 산업제어시스템(ICS, Industrial Control System) 보안** 등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 산업 장비, 자산 등의 전산화 환경에 대한 보안 / ** 산업 제어시스템 및 관련 시설에 대한 보안

 

    ※ 엔드포인트보안 솔루션 : 6,146억 원

 

< 정보보안 산업 중분류 단위 매출액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48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72pixel, 세로 366pixel

 한편, 정부는 정보보호 제도 개선 정책, 중소기업 대상 지원 사업 등을 통해 보안 수요가 지속 창출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정부의 정보보호 제도 개선 정책*에 따라 기업들의 보안 내재화로 인한 보안 수요의 증가로 향후 정보보호 자문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전자서명법 개정, 정보보호공시 의무화, 마이데이터 취약점 점검 의무화 정책 등

 

  - 보안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부가 정보보호 자문과 보안제품 도입을 지원함에 따라 중소기업의 보안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사업 >

 

 

 

① 정보보호컨설팅 및 보안솔루션 도입 지원 : ’21년 1,336개사, ’22년 1,300개사

  ※ (신청방법) 지역정보보호센터 누리집(https://risc.kisa.or.kr)

 

② 민간주도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 대응 솔루션 3종 패키지 지원 : ’21년 713개사, ’22년 2,000개사

  ※ (신청방법)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홈페이지(https://www.kisia.or.kr)

 

③ 데이터금고(백업) 지원(’22년 신규) : ’22년 5,000개사

  ※ (신청방법) 데이터금고 누리집(https://safe.kisa.or.kr)

 

 물리보안 부문의 매출액은 약 9조 3천억 원으로 근무환경 변화로 인한 비대면 출입통제 시장이 급성장하였고, 이와 더불어 유통·제조 환경에서의 새로운 무인 사업 등장으로 인해 시장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 먼저 열화상 카메라, 안면 인식 장치 등 생체인식 보안 시스템과 같은 비대면 출입통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보안용 카메라 1조 6,566억 원(17.3%↑), 생체인식 보안시스템 4,789억 원(46.9%↑)

 

  - 이와 더불어, 유통 및 제조 분야에서 무인 편의점, 소규모 무인점포와 같이 폐쇄회로텔레비전, 아이피(IP)카메라, 원격 출입통제 등 대규모 기반시설 구축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 사업 영역의 등장으로 관련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

 

    ※ 출동보안 서비스 2조 2,970억 원 (19.6%↑)

 

< 물리보안 산업 중분류 단위 매출액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48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52pixel, 세로 370pixel

 

국내 정보보호 산업 전체 수출액은 약 2조 767억 원으로 전년대비 8.5% 증가하였으며, 각각 정보보안 1천 5백억 원(4.8%↑)과 물리보안 1조 9,241억 원(8.8%↑)으로 조사되었다.

 

 글로벌 시장에서 국산 폐쇄회로 텔레비전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보안용 저장장치(6.8%p↑), 관련 주변 장비(150.4%p↑) 등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여 정보보호 산업의 수출 성장률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최근 5개년 정보보호 산업 수출액 및 성장률 (단위: 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정보보안

943억

823억

1,227억

1,455억

1,526억

물리보안

1조 4,757억

1조 4,737억

1조 6,570억

1조 7,679억

1조 9,241억

합계

1조 5,701억

1조 5,561억

1조 7,798억

1조 9,135억

2조 767억

성장률(%)

+5.4

-0.9

+14.4

+7.5

+8.5

* 억 원 미만 단위 절삭

 

 정보보안 부문 수출은 중국과 기타 국가를 중심으로 약진하였고, 물리보안 부문은 유럽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소폭 증가하였다.

 

  - 정보보안 부문에서는 중국(18.4%p↑)으로의 수출과 중남미, 아프리카 등 기타 지역(12.4%p↑)의 수출 비중이 증가하였고, 물리보안 부문에서는 미·중 무역 분쟁의 반사 이익으로 미국(4.2%p↑)및 유럽(1.8%p↑)에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 주요 국가별 수출 비중 (단위: %) >

 

구분

2020년

2021년

정보보안

물리보안

정보보안

 

물리보안

 

증감

증감

 

 

일본

59.2

17.5

15.1

-44.1%p

16.9

-0.6%p

중국

16.7

12.3

35.1

+18.4%p

8.5

-3.8%p

미국

4.6

22.2

10.8

+6.2%p

26.4

+4.2%p

유럽

0.5

39.5

7.6

+7.1%p

41.3

+1.8%p

기타

19.0

8.5

31.4

+12.4%p

6.9

-1.6%p

 

과기정통부 김정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코로나19 세계유행과 국제 경기 침체, 미‧중 무역 분쟁 등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노력과 유관기관들의 협력으로 정보보호 산업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정보보호 산업이 국민의 안전을 강화하고, 디지털 융합과 혁신에 따른 대한민국 디지털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정책과 제도적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상세 내용은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www.ksecurity.or.kr),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www.kisia.or.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콩 개화기 이후 병해충 관리 힘써야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꼬투리가 자라고 콩알이 차오르는 생육 후기에 수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병해충 특징을 소개하며,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9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기상 조건은 콩 생육 후기와 맞물려 병해충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탄저병, 미라병, 자주무늬병과 같은 주요 병과 노린재류 해충은 심하면 수량을 크게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전 방제가 관건이다. (병 관리) 자주무늬병은 잎이 진한 보라색으로 변하며,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병반이 나타난다. 감염된 종자는 자줏빛을 띤다. 주로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며, 초기 발생 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탄저병은 줄기나 꼬투리에 불규칙한 갈색 반점이 생기며, 콩알이 작아지고 변색한다. 심하면 썩거나 콩알이 맺히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한다. 항공방제 전용 약제가 등록돼 있어 무인 항공기 방제가 가능하다. 미라병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발생해 잎과 꼬투리, 줄기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된다. 줄기에는 작은 검은 점이 한 줄로 생기고, 종자는 회백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지거나 모양이 길게 변한다. (해충 관리) 노린재류는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매뉴얼 발간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3일, 과학적 사양관리를 통한 한우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을 새롭게 발간했다. 매뉴얼은 한우 개체별 수익성과 유전능력 정보를 농가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담고 있어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가는 생산성 분석을 통해 개체별 수익, 출하 시기별 월평균 수익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소의 적정 출하 시기를 파악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전능력 분석으로 사육·출하 개체의 도체중, 근내지방도 등 핵심 형질별 유전능력을 실시간 비교하고 개량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사육 기간 단축을 통한 경영비 절감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매뉴얼이 농가의 데이터 기반 경영을 확대해 단기적으로는 생산비 절감과 소득 증대 효과를, 장기적으로는 개량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은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 바로가기:www.ekape.or.kr/kapecp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한우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산림

더보기
기후변화 재난,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대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극한 호우에 따른 산지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31년까지 8년간 전국 400개소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유량관측망은 산지 유출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 홍수, 가뭄, 산사태 등 물 관련 산지재난의 발생 특성을 분석,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산림유역에 적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해 산지 홍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홍수도달시간은 가장 높은 강우량 시점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진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재해에 취약하다. 특히 산지에서 실시간 유량변화를 확보하는 것은 지역의 산지재난 발생 위험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되는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은 한국형 실시간 정밀 유량관측을 가능하게 해, 산지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산림과학 국제학술지인 「Forests」에 2024년 게재되어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산지재난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