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정보보호 의무공시 첫해, 주요기업 투자현황 공개

- 정보보호 투자액·전담인력 비중은 정보기술 대비 9~10% -

- 국내 상위 600여개 기업의 정보보호 총 투자액은 약 2조 285억원 -

- 2년 연속 공시기업 투자액, 전담인력 연평균 26.2%, 32.9% 증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12월 20일(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활성화 및 이용자의 알권리 강화를 위해 “2022년 정보보호 공시 현황 분석보고서”를 발표했다.

 

 

정보보호 공시제도 개요

 

 

 

◇ (목적)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공개(의무‧자율)하고 관리함으로써 이용자의 안전한 인터넷 이용과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확대 도모

 

   ※ 정보보호 공시 의무화를 반영한「정보보호산업법」개정·시행(‘21.12월)

 

◇ (의무 대상) 인터넷서비스제공자, 인터넷데이터센터, 상급종합병원, 인터넷기반자원공유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정보보호최고책임자 지정 의무기업 중 매출액 3천억원 이상 및 일일 평균 이용자수 100만명 이상 사업자 등 598개사

             

  이번 보고서는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isds.kisa.or.kr)에 공개한 의무·자율공시 기업(648개사)의 정보보호 투자액, 전담인력, 관련 활동 등 정보보호 현황을 주요 업종별*로 분석하였다.

 

   * 제조업(318), 정보통신업(108), 도소매업(60), 보건업(38), 건설업(32), 운수업(21), 금융업(13) 등

                         

   ※ 표본 수가 적은 업종의 경우 결과에 통계적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어 결과 해석에 주의 필요

 

  업종별 투자액 및 전담인력 1위 기업은 각각 제조업 삼성전자(6,939억원, 526.6명), 정보통신업 케이티(1,021억원, 335.8명), 도매 및 소매업 쿠팡(535억원, 170.6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주요 업종별 정보보호 투자액 및 전담인력 1위 기업 >

 

업 종

투자액 (단위: 억원, %)

전담인력 (단위: 명, %)

기업명

정보

기술

정보

보호

투자

비중

기업명

정보

기술

정보

보호

인력

비중

정보통신업

(주)케이티

19,493

1,021

5.24

(주)케이티

5,055.3

335.8

6.64

금융·보험업

(주)우리은행

3,697

406

10.97

(주)우리은행

844.0

77.3

9.16

도·소매업

쿠팡 주식회사

7,494

535

7.13

쿠팡 주식회사

2,303.0

170.6

7.41

제 조 업

삼성전자(주)

72,664

6,939

9.55

삼성전자(주)

9,662.7

526.6

5.45

건 설 업

삼성엔지니어링(주)

672

32

4.78

현대건설(주)

89.7

13.0

14.49

보 건 업

서울아산병원

454

43

9.49

삼성서울병원

133.8

8.0

5.98

운 수 업

(주)대한항공

3,429

97

2.82

(주)대한항공

329.5

26.3

7.98

 

  분석 대상 기업의 정보보호 총 투자액은 약 2조 285억원, 기업별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은 약 32억원이며, 정보보호 투자 비중(정보기술 투자 대비)의 평균은 약 9.13%으로 나타났다.

 

  주요 7개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은 금융 및 보험업(70억원), 정보통신업(49억원), 제조업(35억원) 순이고, 정보기술 투자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평균)은 금융 및 보험업(10.49%), 제조업(9.74%), 건설업(9.62%) 순으로 높다.

 

< 7개 업종별 정보보호 투자액, 투자 비중(평균) 비교>

 

 

 

  주요 업종의 정보보호 투자액 상위기업을 보면 정보통신업은 케이티(1,021억원, 5.24%), 에스케이텔레콤(627억원, 3.66%), 네이버(350억원, 3.79%) 순이고, 제조업은 삼성전자(6,939억원, 9.55%), 에스케이하이닉스(526억원, 5.35%), 엘지전자(455억원, 18.86%) 순으로 높다.

 

< 정보통신업 및 제조업의 정보보호 투자액 상위 10대기업 >

(단위: 억원, %)

 

순위

정보통신업

제조업

기업명

투자액

투자비중

기업명

투자액

투자비중

1

(주)케이티

1,021

5.24

삼성전자(주)

6,939

9.55

2

에스케이텔레콤(주)

627

3.6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526

5.35

3

네이버 주식회사

350

3.79

엘지전자(주)

455

18.86

4

엘지유플러스

292

3.8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364

34.38

5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280

4.93

(주)엘지화학

159

7.84

6

에스케이브로드밴드 주식회사

234

4.63

현대자동차(주)

148

3.96

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162

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124

5.67

8

(주)엘지씨엔에스

158

5.29

삼성전기(주)

99

5.32

9

삼성에스디에스(주)

145

7.73

기아 주식회사

83

4.80

10

주식회사 카카오

141

3.91

현대모비스(주)

81

6.45

 

  서비스별 주요 기업의 최고 정보보호 투자비중은 플랫폼 카카오 3.91%(141억원), 이통3사 케이티 5.24%(1,021억원), 게임사 넥슨코리아 8.02%(136억원), 전자상거래 쿠팡 7.13%(535억원)이다.

 

< 서비스별 주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비중(평균) 비교 >

 

 

 

  분석 대상 기업의 전체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약 5.8천명, 기업별 평균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약 9.3명이며, 정보보호 전담인력 비중(정보기술 인력 대비)의 평균은 약 10.62%으로 나타났다.

 

  주요 7개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정보통신업(22.4명), 금융 및 보험업(19.9명), 도매 및 소매업(9.6명) 순이고, 정보기술 인력 대비 정보보호 전담인력 비중(평균)은 제조업(12.65%), 도매 및 소매업(11.08%) 금융 및 보험업(8.93%) 순으로 높다.

 

 

< 7개 업종별 정보보호 전담인력, 인력 비중(평균) 비교>

 

 

 

  주요 업종의 전담인력 상위기업을 보면 정보통신업은 케이티(335.8명, 6.64%), 에스케이텔레콤(196.1명, 7.76%), 넥슨코리아(156.8명, 32.67%) 순이고, 도·소매업은 쿠팡(170.6명, 7.41%), 십일번가(37명, 7.07%), 위메프(30.2명, 9.75%) 순으로 높다.

< 정보통신업 및 도·소매업의 정보보호 전담인력 상위 10대기업 >

 (단위: 명, %)

 

순위

정보통신업

도·소매업

기업명

전담인력

인력비중

기업명

전담인력

인력비중

1

(주)케이티

335.8

6.64

쿠팡 주식회사

170.6

7.41

2

에스케이텔레콤(주)

196.1

7.76

십일번가 주식회사

37.0

7.07

3

(주)넥슨코리아

156.8

32.67

(주)위메프

30.2

9.75

4

(주)엘지씨엔에스

117.7

5.16

주식회사 인터파크

29.1

9.45

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108.8

5.45

삼성물산 주식회사

25.5

5.89

6

네이버 주식회사

107.0

3.49

롯데쇼핑(주)

21.7

2.66

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101.4

3.76

(주)지에스리테일

19.1

4.44

8

엘지유플러스

91.2

3.91

(주씨제이 이엔엠

18.6

5.12

9

(주)더존비즈온

85.3

11.87

에스케이네트웍스(주)

16.2

8.70

10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69.5

8.70

(주)이마트

13.3

5.22

 

  대다수의 기업이 정보보호 인식제고 활동, 침해사고 대응 모의훈련, 보안인증 획득, 정보보호 보험 가입 등 다양한 정보보호 활동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보호 공시기업의 주요 정보보호 활동 >

 

구 분

인식제고

모의훈련

인증 획득

보험 가입

비 중

86.0%

66.8%

31.7%

37.6%

 

 

  제조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정보보호 교육, 침해사고 모의훈련, 정보보호 보험 가입 등 정보보호 활동이 평균보다 낮아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경영진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2년 이상 연속으로 정보보호 공시를 이행한 기업(49개사)의 정보보호 투자액 및 전담인력이 각각 연평균 26.2%, 32.9%씩 모두 증가되었으며, 향후 정보보호 공시제도가 안정화되면 지속적으로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 등 사이버공격이 업종에 구분 없이 이루어지고 있어 정보보호 투자액 및 전담인력 부문에서 저조하게 나타난 건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은 정보보호 투자 및 전담인력 투입 확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정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코로나 이후 비대면 재택근무가 지속되고, 정보보호 침해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인력 등 정보보호 현황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번 보고서가 정보보호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서 기업 간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기업의 정보보호 전략 수립 및 학계의 연구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콩 개화기 이후 병해충 관리 힘써야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꼬투리가 자라고 콩알이 차오르는 생육 후기에 수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병해충 특징을 소개하며,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9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기상 조건은 콩 생육 후기와 맞물려 병해충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탄저병, 미라병, 자주무늬병과 같은 주요 병과 노린재류 해충은 심하면 수량을 크게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전 방제가 관건이다. (병 관리) 자주무늬병은 잎이 진한 보라색으로 변하며,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병반이 나타난다. 감염된 종자는 자줏빛을 띤다. 주로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며, 초기 발생 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탄저병은 줄기나 꼬투리에 불규칙한 갈색 반점이 생기며, 콩알이 작아지고 변색한다. 심하면 썩거나 콩알이 맺히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한다. 항공방제 전용 약제가 등록돼 있어 무인 항공기 방제가 가능하다. 미라병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발생해 잎과 꼬투리, 줄기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된다. 줄기에는 작은 검은 점이 한 줄로 생기고, 종자는 회백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지거나 모양이 길게 변한다. (해충 관리) 노린재류는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매뉴얼 발간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3일, 과학적 사양관리를 통한 한우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을 새롭게 발간했다. 매뉴얼은 한우 개체별 수익성과 유전능력 정보를 농가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담고 있어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가는 생산성 분석을 통해 개체별 수익, 출하 시기별 월평균 수익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소의 적정 출하 시기를 파악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전능력 분석으로 사육·출하 개체의 도체중, 근내지방도 등 핵심 형질별 유전능력을 실시간 비교하고 개량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사육 기간 단축을 통한 경영비 절감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매뉴얼이 농가의 데이터 기반 경영을 확대해 단기적으로는 생산비 절감과 소득 증대 효과를, 장기적으로는 개량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은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 바로가기:www.ekape.or.kr/kapecp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한우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산림

더보기
기후변화 재난,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대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극한 호우에 따른 산지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31년까지 8년간 전국 400개소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유량관측망은 산지 유출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 홍수, 가뭄, 산사태 등 물 관련 산지재난의 발생 특성을 분석,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산림유역에 적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해 산지 홍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홍수도달시간은 가장 높은 강우량 시점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진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재해에 취약하다. 특히 산지에서 실시간 유량변화를 확보하는 것은 지역의 산지재난 발생 위험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되는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은 한국형 실시간 정밀 유량관측을 가능하게 해, 산지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산림과학 국제학술지인 「Forests」에 2024년 게재되어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산지재난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