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 2021년 연구개발 투자 큰 폭 확대

- 전년보다 4.96조원(11.8%) 증가한 47.12조원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1년 국내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연구개발 활동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은 2018년 이후 최대 폭으로 연구개발 투자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 전년대비 연구개발 투자 증가율(%) : (‘18) 11.9 → (‘19) 3.0 → (‘20) 1.7 → (‘21) 11.8

 

  연구개발비 투자는 전년보다 4.96조원(11.8%) 증가한 47.12조원, 연구개발인력도 전년보다 1.85만명(9.7%) 많은 20.81만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산업/정보통신기술기업 연구개발비 추이 (조원)

전산업/정보통신기술기업 연구개발인력 추이 (만명, FTE기준*)

  * FTE(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정도에 따라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인력(상근상당인력)

 

 2021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연구개발비 47.12조원 중 대기업(37.38조원, 79.3%)의 투자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벤처기업(4.56조원, 9.7%)과 중견기업(2.84조원, 6.0%) 그리고 중소기업(2.35조원, 5.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도체, 전자부품 등 정보통신방송기기업(42.97조원, 91.2%) 연구개발  투자가 많았고, 민간‧해외재원(45.30조원, 96.1%)을 활용하여 주로 제품 상용화 등 개발연구(33.66조원, 71.4%)에 집중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기업과 정보통신방송기기업에 집중된 모습을 보여주었던 연구개발비 비중은 매년 점차 줄어든 반면, 중견·중소·벤처기업*과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견·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비 비중(%) : (‘18) 18.3 → (‘19) 19.1 → (‘20) 20.0 → (‘21) 20.7

  **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 연구개발비 비중(%) : (‘18) 5.9 → (‘19) 6.4 → (‘20) 6.7 → (‘21) 7.3

 

 시장·제품화에 초점을 둔 개발연구 단계의 연구개발비 비중*이 차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개발연구 연구개발비 비중(%) : (‘18) 69.0 → (‘19) 69.1 → (‘20) 70.8 → (‘21) 71.4

 

< 2021년 정보통신기술 기업 연구개발비 투자 현황 >

 

① (유형별) 대기업(37.38조원, 79.3%) > 벤처기업(4.56조원, 9.7%) > 중견기업(2.84조원, 6.0%) > 중소기업(2.35조원, 5.0%)

 

② (업종별) 정보통신방송기기업(42.97조원, 91.2%) >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3.45조원, 7.3%) >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0.69조원, 1.5%)

 

③ (단계별) 개발연구(33.66조원, 71.4%) > 응용연구(7.59조원, 16.1%) > 기초연구(5.88조원, 12.5%)

 

④ (재원별) 민간‧해외재원(45.30조원, 96.1%) > 정부·공공재원(1.83조원, 3.9%)

 

 2021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연구개발인력(20.81만명*)이 전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46.7%)**은‘15년(47.6%)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연구를 직접 수행하는 연구원(18.45만명)은 전년보다 1.49만명(8.8%) 증가했다.

   * 상근상당인력(Full Time Equivalent) 기준이며, 연구개발인력은 연구원, 연구보조, 행정지원으로 구분

  **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인력 전산업대비 비중(%) : (‘18) 44.2 → (‘19) 44.3 → (‘20) 45.5 → (‘21) 46.7

 

 

 연구개발인력은 정보통신방송기기업(14.92만명, 71.7%)에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 인력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 연구개발인력 비중(%) : (‘18) 23.1 → (‘19) 23.4 → (‘20) 24.6 → (‘21) 25.1

 

 연구원 수*를 살펴보면, 대기업(9.44만명, 47.7%**) 종사자가 가장 많으나 비중이 점차 줄어들다 다시 증가했으며, 다음으로는 벤처기업(5.70만명, 28.8%)과 중소기업(3.02만명, 15.3%), 중견기업(1.64만명, 8.3%) 순으로 나타났다.

 

   * 인원 수(Head Count) 기준으로, 총 19.79만명임

  ** 대기업 연구원 비중(%) : (‘18) 48.4 → (‘19) 48.3 → (‘20) 47.3 → (‘21) 47.7

 

 과기정통부 전영수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최근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우리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및 이를 통한 디지털 혁신역량 확보는 글로벌 기술경쟁에서 핵심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정부는 앞으로도 기술패권경쟁 시대 주도권 확보를 위해 반도체, 인공지능, 5·6세대 이동통신 및 SW 등 디지털혁신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빈틈없이 지원하여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번 통계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중 정보통신기술 기업(16,901개)에 관한 항목을 별도 분석한 것으로,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과 정보통신기술통계포털(http://www.itstat.go.kr) 등에서 일반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