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서삼석 ,“ 정부 , 말로만 식량안보 … 인식 부재 심각 ”

생산량 줄인다면서 84.6% 인 쌀 자급률 2027 년 98% 목표 ?

主食 에 대한 정부인식 無 ‘ 5,000 만 국민 主食 쌀 ’ 법률에 명시해야

후쿠시마 방류 수산시장 황폐화 우려 , 어민 소득감소 대책 부재

- “ 현재 1 개월 소비량인 공공비축미 , 1 년분으로 대폭 확대 해야 ”

양곡관리법에 대한 대통령 거부권 행사 직후 정부가 비현실적인 쌀 자급 목표를 제시하는 등 말로만 식량안보를 외치는 정부의 인식이 심각하다는 비판이 강력히 제기되었다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서삼석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영암 무안 신안 ) 은 11 일 현안질의 상임위에서 “ 정부도 인정하다시피 쌀이 대한민국 5 천만 국민의 주식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기 때문에 정쟁 대상이 될 수 없다 ” 라며 “ 공산품 대비 가격안정과 생산농가 소득보장을 위해서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곡관리법을 호도하고 시장에 맡기는 자체가 말로만 쌀이 주식이고 말로만 식량을 안보라고 외치는 헛구호에 불가한 것 아니냐 ” 라고 따져 물었다 . 덧붙여 “ 이러한 정부의 인식 자체가 더 무서운 것이다 ” 라고 지적했다 .

 

현 정부의 식량안보에 대한 안이한 인식은 7 일 발표된 「 2023~2027 농업 · 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 ( 이하 농발계획 ) 에 적시된 실현 가능성이 의심되는 쌀 자급률 목표 수치에서도 드러난다 .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농발계획에 따르면 가장 최근 통계로 2021 년 84.6% 에 불과한 쌀 자급률을 2027 년까지 98% 로 대폭 상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그러나 농식품부가 2022 년 서삼석 의원에게 제출한 서면답변에서 쌀 자급률 하락의 원인이 ‘ 생산량의 지속적인 감소 ’ 라고 적시하고 있어 식량자급률 상향을 위해서는 생산량 증대가 시급하지만 실효적인 정부 대책은 제시되어있지 않다 .

 

오히려 반대로 “ 벼 재배면적을 감축하고 신동진 등 다수확 품종을 줄여나가는 생산 감소 대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쌀 소비는 확대하겠다는 것이 농식품부 입장일 뿐 아니라 생산량 증대 우려가 정부의 양곡관리법 반대 근거 중 하나였기 때문에 대안 없이 목적만이 제시된 허울뿐인 쌀 자급률 목표 ” 라는 것이 서삼석 의원의 지적이다 . 이어 “ 主食 에 대한 정부 인식조차 없어 보이는 상황이기 때문에 쌀이 主食 이라는 것을 법에 명문화할 것 ” 을 제안했다 .

 

서삼석 의원은 “2023 년기준 57 조원의 국방예산에 비한다면 농촌경제연구원이 양곡관리법 통과 시 년간 소요 예산으로 분석한 1 조 303 억원은 식량안보에 들어가는 비용으로 결코 과다한 비용이 아니다 ” 라며 “ 현재 국내 1 개월 소비량 수준인 40 만톤의 공공비축미를 1 년분 480 만톤까지 늘려가는 중장기계획을 세워야 한다 ” 라고 밝혔다 .

 

한편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류와 관련해서도 “ 국제적인 외교 대책이 없을 뿐 아니라 국내 수산 시장의 황폐화가 불 보듯이 뻔한데도 불구하고 어민과 수산인을 위한 소득감소대책 등 대응 매뉴얼이 없다 ” 라며 “ 정부는 손 놓고 일본만 쳐다보고 있는 것인지 현실을 넘어 통탄할 일이다 ” 라고 말했다 .


농업

더보기
폐비닐 등 버려지는 플라스틱, ‘인삼 지주대’로 재탄생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재생 플라스틱을 활용한 인삼 재배 시설 구조물의 품질기준을 마련하고 원예‧특작시설 내재해형 시설 규격에 등록해 농가 보급에 나선다. 우리나라 인삼 재배 농가에서 사용하는 지주대 등 목재 구조물 80%는 동남아시아 등 해외에서 수입된 목재다. 여기에 사용하는 수입 목재는 약 16만 톤으로 연간 700억 원에 이른다. 수입 목재를 사용할 경우, 외래 병해충이 유입될 우려가 있는 데다 내구성이 떨어지는 목재 특성상 인삼 재배 주기인 6년을 채우지 못하고 교체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와 ‘인삼 지주대 재활용 제품 대체 활성화 사업 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으로 국립농업과학원은 재생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삼 재배 시설 구조물의 품질기준을 마련하고 확대 보급을 지원하게 됐다.*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공단,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충북인삼농협, 한국재생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인삼 재배 시설 구조물에 사용되는 재생 플라스틱은 버려진 폐비닐과 플라스틱을 이용해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개발한 물질 재활용* 제품이다. 이 플라스틱으로 만든 구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