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22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3,625만

- 과기정통부, ‘22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발표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 가입자 2,057만(점유율 56.74%),
종합유선방송 가입자 1,273만(점유율 35.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22년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와 시장점유율을 발표하였다. 매 반기별로 발표되는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종합유선방송(SO)・위성방송 사업자별 가입자 수 검증을 위한 실무조사를 실시하여 검증 결과를 과기정통부에 제출하고, 과기정통부는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전문심의회에서 검증 결과를 심의‧의결하여 확정한다.

 

 ※ (법령 근거) 방송법 제8조 및 동법 시행령 제4조의2・3,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제13조 및 동법 시행령 제11조의2・3, 유료방송사업 가입자 수 검증에 관한 고시(과기정통부고시)

 

 

< ’22년 하반기 평균 유료방송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

◇ 전체 가입자 수에서 영업 외 목적 무료 가입자, 도서‧산간 등 위성방송 수신만 가능한 지역의 가입자를 제외하고, 방송 공동수신설비 유지보수 계약을 통한 방송채널 시청에 대해 세대별 동의서를 제출한 이용자 수를 포함한 6개월 월평균 가입자 수

 

  유료방송 시장점유율 산정 기준에 따른 ‘22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36,248,397 가입자(6개월 평균)로 집계되었다. 이는 ’22년 상반기 대비 24만 가입자가 증가한 것으로, 증감률은 0.67%로 나타났다.

  직전 반기 대비 가입자 수 증감률이 1% 미만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1년 전인 ’21년 하반기 증가폭(52만 가입자)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 해당한다. 가입자 수 증가폭은 ‘15년도 하반기 가입자 수 집계를 시작한 이래, 대체로 감소해 왔다.

 

 

< 최근 3년간 반기별 가입자 수 및 증감률 비교 >

 

(단위 : 단말장치・단자, %)

구  분

’19년

하반기

’20년

상반기

’20년

하반기

’21년

상반기

‘21년

하반기

‘22년

상반기

‘22년

하반기

전체

가입자

33,601,484

33,946,826

34,583,329

35,107,369

35,637,342

36,005,812

36,248,397

 

IPTV

(증감률)

16,832,979

17,489,664

18,254,930

19,003,971

19,689,655

20,203,451

20,565,609

 

(4.90%)

(3.90%)

(4.38%)

(4.10%)

(3.61%)

(2.61%)

(1.79%)

 

SO

(증감률)

13,557,530

13,378,742

13,232,850

13,044,615

12,927,463

12,824,705

12,729,441

 

(-1.23%)

(-1.32%)

(-1.09%)

(-1.42%)

(-0.90%)

(-0.79%)

(-0.74%)

 

위성방송

(증감률)

3,210,975

3,078,420

3,095,549

3,058,783

3,020,224

2,977,656

2,953,347

 

(-1.54%)

(-4.13%)

(0.56%)

(-1.19%)

(-1.26%)

(-1.41%)

(-0.82%)

증가폭

(증감률)

567,175

(1.72%)

345,342

(1.03%)

636,503

(1.88%)

524,040

(1.52%)

529,973

(1.51%)

368,470

(1.03%)

242,585
(0.67%)

 

  사업자별 가입자 수(시장점유율)는 ①KT 8,783,984 가입자(24.23%), ②SK브로드밴드(IPTV) 6,419,536 가입자(17.71%), ③LG유플러스 5,362,089 가입자(14.79%), ④LG헬로비전 3,699,046 가입자(10.20%), ⑤KT스카이라이프 2,953,347 가입자(8.15%), ⑥SK브로드밴드(SO) 2,831,064 가입자(7.81%) 순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매체별로는 IPTV 3개사는 총 20,565,609 가입자(56.74%), SO 14개사는 총 12,729,441 가입자(35.11%), 위성방송사는 2,953,347 가입자(8.15%)로, IPTV 가입자는 증가한 반면, SO와 위성방송 가입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2년도 반기별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비교 >

 

(단위 : 단말장치・단자)

구  분

‘22년 상반기

‘22년 하반기

증감

가입자 수

점유율(A)

가입자 수

점유율(B)

가입자 수

점유율(B-A)

IPTV

20,203,451

56.11%

20,565,609

56.74%

362,158

0.63%p

SO

12,824,705

35.62%

12,729,441

35.11%

-95,264

-0.51%p

위성

2,977,656

8.27%

2,953,347

8.15%

-24,309

-0.12%p

합계

36,005,812

100.00%

36,248,397

100.00%

242,585

 

 

 

  ‘17.11월 IPTV 가입자 수가 SO 가입자 수를 앞선 이후 IPTV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SO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IPTV와 SO간 가입자 수의 차이는 ‘22년 하반기 기준 약 784만으로 ‘22년 상반기에 비해 다소 격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SO와 IPTV 가입자 수 >

 

(단위 : 단말장치・단자)

구분

’17년

하반기

’18년

하반기

’19년

하반기

’20년

하반기

‘21년

하반기

‘22년

상반기

‘22년

하반기

IPTV

14,038,842

15,391,450

16,832,979

18,254,930

19,689,655

20,203,451

20,565,609

SO

14,091,924

13,864,782

13,557,530

13,232,850

12,927,463

12,824,705

12,729,441

차이

(IPTV-SO)

-53,082

1,526,668

3,275,449

5,022,080

6,762,192

7,378,746

7,836,168

  

  가입자 유형별로는 복수 가입자 17,094,236(47.16%), 개별 가입자 16,504,037(45.53%), 단체 가입자 2,650,124(7.31%) 순으로 집계되었다.

 

< 유형별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비교 >

 

(단위 : 단말장치・단자)

 

구분

’21년 상반기

’21년 하반기

’22년 상반기

’22년 하반기

가입자 수

점유율

가입자 수

점유율

가입자 수

점유율

가입자 수

점유율

개별①

16,596,547

47.27%

16,564,703

46.48%

16,513,827

45.86%

16,504,037

45.53%

복수②

16,030,988

45.66%

16,528,023

46.38%

16,888,995

46.91%

17,094,236

47.16%

단체③

2,479,834

7.06%

2,544,616

7.14%

2,602,990

7.23%

2,650,124

7.31%

 

① 개별 가입자 : 사업자와 계약을 체결하여 1개 단자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개인 또는 법인

 

② 복수 가입자 : 하나의 명의로 다수 단자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개인 또는 법인으로, 단체계약에 해당하지 않는 계약의 가입자 (1가구 다계약 또는 병원, 호텔, 상점 등에서 다수의 단말장치를 설치하여 서비스하는 경우)

 

③ 단체 가입자 : 사업자와 공동주택의 입주자대표회의가 입주자들에게 같은 조건으로 제공할 유료방송서비스, 요금 등에 관한 사항을 합의하여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이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관리주체의 명의로 체결하는 단체계약의 가입자

 

 ※ 복수/단체 가입자는 계약을 대리하는 주체의 존재 여부로 구분

 

 

  IPTV 3사 계열의 총 가입자 수와 점유율(‘22년 상반기 대비)은 KT 계열(KT+KT스카이라이프+HCN)은 1,302만 가입자(19만명 증가), 35.9%

(0.25% 증가)이며, SK브로드밴드(IPTV+SO)는 925만 가입자(16만명 증가), 25.52%(0.26% 증가), LG 계열(LG유플러스+LG헬로비전)은 906만 가입자(5만명 감소), 24.99%(0.32% 감소)로 나타났다.

 

< ’22년 12월말 기준 유료방송 전체 가입자 수 >

 

  한편, ’22년 12월말 기준 유료방송 전체 가입자 수는 36,927,326 가입자로 파악되었다.

 

  유료방송 전체 가입자 수는 시장점유율 산정 시 제외된 ① 사회복지 차원에서 무상으로 방송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용자*(36,356명), ② 도서·산간 등 시장점유율 산정 예외지역의 위성방송 이용자(157,836명), ③ 방송 공동수신설비 유지보수 계약을 통한 이용자*(1,300,171명) 등이 모두 포함된 수치이다.

 

 * 사업자 제출 자료를 기반으로 한 통계로 실제 가입자 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사업자별 전체 가입자 수는 ① KT 8,825,221.5 가입자, ② SK브로드밴드(IPTV) 6,494,009 가입자, ③ LG유플러스 5,350,472 가입자, ④ LG헬로비전 3,884,664 가입자, ⑤ KT스카이라이프 3,129,112.5 가입자, ⑥ SK브로드밴드(SO) 2,958,459 가입자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