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2023년 2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3억 7,316만 톤 처리

-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보다 2.8% 증가한 756만 TEU 처리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023년 2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7,933만 톤)보다 1.6% 감소한 총 3억 7,316만 톤(수출입화물 3억 1,695만 톤, 연안화물 5,622만 톤)의 물량을 처리하였다고 밝혔다.

 

  2023년 2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 1,849만 톤) 대비 0.5% 감소한 3억 1,695만 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6,084만 톤) 대비 7.6% 감소한 5,622만 톤이었다.

 

  항만별로 보면 광양항은 전년 동기보다 2.1% 증가하였고 부산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0.1%, 3.8%, 0.9%, 4.4% 감소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0년

2분기

’21년

2분기

’22년

2분기

’23년

4월

5월

6월

2분기

총물동량

36,045

39,417

37,933

12,472

12,754

12,091

37,316

전년 동기 대비

△11.8

9.4

△3.8

0.7

△5.6

0.4

△1.6

 

수 출 입

30,463

33,577

31,849

10,559

10,882

10,254

31,695

(△0.5)

 

연    안

5,582

5,840

6,084

1,914

1,871

1,837

5,622

(△7.6)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만 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전체 2분기 물동량(주요항만).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07pixel, 세로 440pixel

 

《 컨테이너 화물 》

 

  2023년 2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735만 TEU) 대비 2.8% 증가한 756만 TEU로 집계되었다.

 

  수출입은 전년 동기(417만 TEU) 대비 4.2% 증가한 434만 TEU를 기록하였다. 미국, 일본 등 주요 교역국의 수출입 물동량은 소폭 감소 (미국 4.8%↓, 일본 7.9%↓ 등)했으나, 자동차 및 유류 생산품의 수출입 증가세로 대(對)중국 수출입이 전년 동기보다 5.0% 증가하면서 수출입 물동량이 소폭 증가(수입 2.9%↑, 수출 5.6%↑)하였다. 아울러, 환적물량은 전년 동기(315만 TEU)에 비해 1.1% 증가한 318만 TEU를 처리하였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 천 TEU, 전년동기대비%)

 

구 분

’20년

2분기

’21년

2분기

’22년

2분기

’23년

4월

5월

6월

2분기

총물동량

7,183

7,754

7,354

2,581

2,540

2,437

7,558

전년 동기 대비

△4.4

7.9

△5.2

5.8

△1.5

4.3

2.8

 

수 출 입

4,054

4,434

4,165

1,457

1,479

1,406

4,341

(4.2)

환    적

3,087

3,277

3,145

1,108

1,050

1,020

3,178

(1.1)

 

연    안

42

43

45

16

12

12

39

 

  주요 항만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567만 TEU)에 비해 3.5% 증가한 587만 TEU를 처리하였다. 이는 미국(8.1%↓), 일본(3.7%↓) 등의 물동량이 일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대(對)중국 물동량이 소폭 증가(3.4%↑)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부산항 수출입은 전년 동기(264만 TEU)에 비해 4.4% 증가한 276만 TEU를, 환적은 전년 동기(303만 TEU) 대비 2.7% 증가한 312만 TEU를 처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수출입에서는 중국(7.1%↑) 및 싱가포르(19.9%↑)의 물동량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환적에서는 중국(0.9%↑), 러시아(10.7%↑)의 물동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항은 전년 동기(80만 TEU) 대비 6.3% 증가한 85만 TEU를 처리하였다. 수출입은 중국과 미국 물동량이 각각 7.4, 6.2%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기(77만 TEU) 대비 8.3% 증가한 84만 TEU를 처리하였다. 다만, 환적은 전년 동기(2.2만 TEU) 대비 62.1% 감소한 0.8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올해 초 중국의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 이후, 인천항을 경유하는 공 컨테이너 물량이 다소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46만 TEU) 대비 5.2% 감소한 43만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전년 동기(38만 TEU) 대비 1.2% 증가한 39만 TEU를, 환적은 전년 동기(7.5만 TEU) 대비 37.9% 감소한 4.7만 TEU를 처리하였다. 특히, 광양항을 이용하는 주요 원양선사의 환적 선복량이 축소됨에 따라 환적 물동량의 감소 추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2023년 2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2억 4,396만 톤으로, 전년 동기(2억 4,991만 톤) 대비 2.4% 감소하였다. 울산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감소세를 보였으나 광양항은 증가하였다.

 

  울산항은 원유, 석유가스의 수입, 화공품 수출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4,441만 톤) 대비 0.9% 감소한 4,399만 톤을 기록하였다.

 

 

  인천항은 석유가스 수입과 유연탄 수입 물동량 감소 등에 따라 전년 동기(2,380만 톤) 대비 7.0% 감소한 2,213만 톤을 기록하였다.

 

  평택·당진항은 전년 동기(2,479만 톤) 대비 3.0% 감소한 2,403만 톤을 기록하였고, 광양항은 전년동기(5,723만 톤) 대비 3.3% 증가한 5,914만 톤을 기록하였다.

 

[ 전국 무역항 비컨테이너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0년

2분기

’21년

2분기

’22년

2분기

’23년

4월

5월

6월

2분기

총물동량

24,183

25,788

24,991

8,064

8,426

7,906

24,396

전년 동기 대비

△8.2

6.6

△3.1

△0.5

△6.4

0.3

△2.4

 

수 출 입

18,638

19,986

18,944

6,166

6,566

6,082

18,813

(△0.7)

 

연    안

5,546

5,802

6,047

1,898

1,860

1,825

5,583

(△7.7)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 유류가 각각 11.5%, 0.5% 증가하였으며, 광석, 유연탄은 각각 1.1%, 8.1% 감소하였다.

 

  자동차는 전년 동기(2,109만 톤) 대비 11.5% 증가한 2,351만 톤을 기록하였고, 유류는 전년 동기(1억 615만 톤) 대비 0.5% 증가한 1억 673만 톤을 기록하였다.

 

  광석은 전년 동기(3,262만 톤) 대비 1.1% 감소한 3,227만 톤을 기록하였고, 유연탄은 전년 동기(2,832만 톤) 대비 8.1% 감소한 2,602만 톤을 기록하였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2023년 2분기 컨테이너 물동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 해운 운임 상황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의 하반기 물동량을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해양수산부는 우리 기업의 원활한 수출 물류를 지원하기 위해 해운·자동차업계 간 ‘자동차 수출 물류난 해소 지원방안’을 수립하는 등 지원 역량을 결집하고 있으며, 항만 운영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관계부처 및 유관업계와도 긴밀히 협의하여 우리나라 수출입 물류를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치유농업’ 발전 위한 관학 공동연구…농촌진흥청·건국대 협약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와 9월 8일 건국대학교에서 이승돈 청장과 원종필 총장을 비롯해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유농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건국대 ‘디지털 인문 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사업(2025~2030년)’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촌진흥청에 협력을 제안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치유농업 분야에서 △과학적 효과 검증 연구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정책 개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양성 △공동 홍보 및 확산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학의 연구·기술 역량을 모아 농업·인문학·생명공학·의학이 융합된 치유농업 분야 연구개발에 정진할 예정이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치유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학이 긴밀히 협력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원종필 건국대학교 총장은 “건국대는 1946년 개교 이래 농업 교육과 연구를 대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선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 참여한다. 이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품질 평가, 스마트축산 등 다양한 주제로 국민을 만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생산자단체 6곳이 주최하고 233개 업체가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축산의 고유가치와 디지털 이행’을 주제로 진행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스마트축산에서 인공지능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만드는 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현장에서 △스마트축산의 주요기술 △스마트축산의 주요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품질 분석 과정 △인공지능 기술 도입 후 품질평가 관련 주요 성과 등을 소개한다. 또한, 스마트축산 퀴즈 이벤트를 마련해 관람객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 방문 후,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면 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축산박람회가 축산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축산유통 전문기관으로서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발맞춘 기술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식품

더보기
학교 우유급식, 선택 아닌 필수…정책적 확대 필요성 제기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학부모들의 시각을 반영해 학교 우유급식의 의미와 개선 과제를 정리했다. 이는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학교 우유 지원체계 개선 정책토론회’에서 학부모와 학생이 직접 참여하지 못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 조치다. 지난 8월 25일 국회박물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우유급식을 둘러싼 다양한 시각이 오갔다. 일부 영양교사들은 배식과 재고 관리 등 현장의 업무 부담을 지적했지만, 낙농업계는 이미 공급 체계가 표준화돼 있다며 우유급식이 아동·청소년의 영양 불균형을 보완하는 핵심 제도임을 강조했다. 패널들 사이에서도 학부모와 학생의 목소리가 빠진 점이 아쉽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학부모들의 현장의 목소리를 담았다. 전국학부모단체연합 김미성 공동대표는 “요즘 아이들은 간편식과 가공식품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단백질과 칼슘은 부족하고, 당분과 나트륨은 과다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러한 영양 불균형을 보완하는 데 우유가 효과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유급식이 단순한 음료 제공을 넘어 사회적 안전망으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맞벌이 가정에서는 아침마다 우유를 챙겨주기 어렵고, 경제적

산림

더보기
산림청, 청렴 생활화를 위한 이색 문화행사 개최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정부대전청사에서 직원들과 청렴 공감대를 형성하고 청렴한 공직문화 확산을 위해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과 공동으로 ‘청렴문화행사’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산림청 및 소속·산하기관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반부패 의지를 다지기 위한 결의대회를 시작으로 청렴한 공직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특히, 공직생활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갑질을 태권도 단체 시범으로 표현한 ‘청렴태권도’와 청탁금지법·이해충돌방지법·행동강령 등 공직자가 반드시 준수해야 할 사항을 사례 위주로 소개하는 ‘청렴특강’도 열렸다. 끝으로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 공모전 수상작을 소개하는 등 다양한 청렴 사례들을 공유했다. 아울러, 산림청은 반부패·청렴에 대한 직원들의 관심과 참여 유도를 통해 청렴 의식을 향상시키는 한편, 청렴문화 확산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기관별 청렴활동 경진대회, 공모전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해 오고 있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청렴문화 행사를 통해 직원 모두가 청렴 의무를 이해하고 청렴한 공직자의 모습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라며, “산림청이 국민들에게 사랑받고 신뢰받는 기관이 되도록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