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변혁의 중심 AI대학원! 초거대AI 시대 선도 2023 인공지능대학원 심포지엄(8.17~18) 개최

- 인공지능대학원의 성과 공유 및 협력 연결망(네트워크) 마련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동국대, 아주대, 부산대, 전남대) 현판 증정 및 총장 간담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8.17(목)~18(금) 이틀 간 「2023 인공지능대학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인공지능대학원·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의 우수성과 공유와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개최되는 행사로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사)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변혁의 중심 인공지능대학원! 초거대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하다’를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AI) 작곡가 '이봄'과 '첼로댁'이 함께 하는 모닝 콘서트」로 심포지엄의 시작을 알리고,

 

  자연어 처리(NLP) 분야 전문가인 최은솔 교수(텍사스 오스틴대)와 컴퓨터 비전 및 로봇 공학(로보틱스) 전문가인 아브히나브 굽타(Abhinav Gupta) 교수(카네기멜론대)의 기조강연으로 본격적인 문을 열었다.

   * (주제1) 정보 탐색 Agent 구축 방안(Building an Information Seeking Agent for an Evolving World)

   * (주제2) Passive 영상 조작 학습(Learning Manipulation in the Wild from Passive Videos)

 

  첫째 날(17일)에는 ①개회식, ②참석자(패널) 토론, ③산·학·연 전문가 초청 강연, ④박사 협력모임(컨소시엄) 등을 운영했다.

 

 

  - 개회식은 2023 인공지능 이노베이션 챌린지*(7.13∼8.11) 우승팀에 대한 시상식을 진행했다. 이번 대회는 인공지능대학원·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외에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소속 학생이 참여하고, 케이티(KT), 딥노이드 등 7개 기업이 후원·참여하여 대회에 의미를 더했다.

   * 산업계에서 발생하는 인공지능 이슈에 대해 현장의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실전 능력 제고(총 373개팀, 944명 참여)

< 2023 인공지능 이노베이션 챌린지 주요 시상 내역 >

 

구분

순위

우승팀

지역

훈격

상금

소속

팀명

대학원

1등

연세대학교

DeepText

서울

과기정통부 장관상

1,000만원

2등

성균관대학교

해 치원나

경기

KT CTO 상

200만원

한국과학기술원

xfact

대전

KT CTO 상

200만원

3등

충남대학교

파더 테레사

대전

IITP 원장상

100만원

연세대학교

감정다덤벼

서울

IITP 원장상

100만원

경희대학교

MLVC

경기

IITP 원장상

100만원

학  부

1등

연세대학교

SpaceAI

서울

과기정통부 장관상

300만원

2등

성균관대학교

우리별

서울

IITP 원장상

150만원

전북대학교

버독

전주

IITP 원장상

150만원


 

  - 참석자(패널) 토론*은 국내 최고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초거대 인공지능(AI)시대에 성공적인 인공지능 연구 전략’을 논의하고,

   * (좌장) 최종현 연세대 교수 (패널) 서민준 교수(KAIST), 최성준 교수(고려대), 신사임 센터장(KETI 인공지능연구센터), 윤상두 소장(네이버클라우드 AI랩) 등

 

  - 산·학·연 전문가 초청강연*과 박사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 교류 등을 통해 인공지능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 KT AI 사업 확산과 활용방안(KT 최준기 본부장), 인터랙션 중심 AI(KAIST 김주호 교수), 골든타임 내 실종자 수색을 위한 다중 카메라 ReID 기술(KIST 김익재 AI·로봇 연구소장)

 

  둘째 날(18일)에는 ①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별 인공지능(AI) 강연(튜토리얼), ②인공지능대학원 우수성과 발표, ③자유 주제 토론 등을 운영한다.

 

<튜토리얼 진행 계획(안)>

 

시간

주제

강연자

10:00∼11:00

양자기계학습

김중헌 교수(고려대)

11:00∼12:00

법과 인공지능(AI)

박도현 교수(GIST)

13:30∼14:30

컴퓨터 비전

최성록 교수(서울과기대)

14:30∼15:30

로봇 공학(로보틱스)

유현우 교수(UNIST)

 

  아울러 본 행사 기간(8.17(목)~18(금))동안 인공지능대학원·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및 인공지능 산업 분야 기업이 함께 전시부스, 인공지능 체험존, 포스터 분과(세션) 등을 통해 석·박사생들은 물론 예비 대학원생, 일반인까지 참여하는 축제의 장(場)으로 운영한다. 지난 해에는 1,500여명이 참여하였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학계와 산업계가 성과를 공유·확산함으로써 인공지능대학원 간의 결속과 대학과 기업 간 협력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당부하며,

 

 “초거대 인공지능(AI) 시대 속에서 산·학 역량을 결집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탁월한 인공지능 연구자 양성에 인공지능대학원과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이 선도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으로 선정된 4개 대학(동국대, 아주대, 부산대, 전남대)에 현판 증정 및 오찬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 자리에서 총장 및 협력 기업 등과 함께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의 성공적 추진 방안을 논의하고, 인공지능융합분야 석·박사급 인재양성을 위한 역할 강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과기정통부가 2019년부터 지원하는 인공지능대학원의 참여 학생과 교수진은 2,201건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 413건의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세계적 권위의 과학 저널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게재*(‘22.2) 및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22년)되는 등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였다.

 

  * (고려대) 딥러닝 기술로 의식 장애 상태에서 실시간 의식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성균관대)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환자의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개인 맞춤형 의료 플랫폼(SELECT) 개발

 

 앞으로도 인공지능대학원-기업 간 공동연구센터 설립, 기반(인프라) 공동활용 등 혁신적인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인공지능대학원·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등 19교*의 인공지능대학원 프로그램의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인공지능대학원) 고려대, 성균관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10개교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경희대, 이화여대, 부산대, 전남대 등 9개교

 

  본 행사의 세부 내용은 (사)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 누리집(http://www.aigs.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매뉴얼 발간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3일, 과학적 사양관리를 통한 한우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을 새롭게 발간했다. 매뉴얼은 한우 개체별 수익성과 유전능력 정보를 농가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담고 있어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가는 생산성 분석을 통해 개체별 수익, 출하 시기별 월평균 수익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소의 적정 출하 시기를 파악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전능력 분석으로 사육·출하 개체의 도체중, 근내지방도 등 핵심 형질별 유전능력을 실시간 비교하고 개량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사육 기간 단축을 통한 경영비 절감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매뉴얼이 농가의 데이터 기반 경영을 확대해 단기적으로는 생산비 절감과 소득 증대 효과를, 장기적으로는 개량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은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 바로가기:www.ekape.or.kr/kapecp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한우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산림청, 중부권 거점 국립금산자연휴양림 문 열어...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한 국립금산자연휴양림에서 개장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국립금산자연휴양림은 지난 2021년부터 4년간 120여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대전·충청 도심권 내 휴양·힐링을 테마로 숲속의집 13동 13실, 연립동 5동 10실, 방문자 안내센터 등의 시설을 갖췄으며,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포함한 60면 규모의 주차장을 마련해 누구나 편리하고 쾌적하게 산림 휴양을 즐길 수 있게 조성했다. 특히, 휴양객들이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쉬고, 지친 마음을 돌아볼 수 있도록 친근하고 따뜻한 분위기가 나도록 국산목재로 가구를 설치했으며, 목재펠릿 보일러 난방, 태양광 가로등, 모듈러하우스 등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통한 운영비용 절감에 특화해 설계했다. 이날 개장식에는 김인호 산림청장, 충청남도의원, 박범인 금산군수 등 주요 외빈과 지역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국립금산자연휴양림 개장을 축하했다. 국립금산자연휴양림은 자연휴양림 통합예약시스템인 ‘숲나들e (www.foresttrip.go.kr)’를 통해 예약과 이용이 가능하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국립금산자연휴양림이 휴양 수요가 많은 중부권 거점 산림 휴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