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5 (화)

  • 맑음동두천 8.2℃
  • 맑음강릉 8.3℃
  • 맑음서울 8.9℃
  • 맑음대전 7.6℃
  • 구름조금대구 9.6℃
  • 구름조금울산 9.6℃
  • 맑음광주 11.1℃
  • 구름조금부산 11.1℃
  • 맑음고창 8.9℃
  • 맑음제주 11.9℃
  • 구름많음강화 5.8℃
  • 맑음보은 5.5℃
  • 맑음금산 5.3℃
  • -강진군 10.8℃
  • 구름많음경주시 8.4℃
  • 맑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제품 확산을 위해 민관이 협력한다

- 과기정통부,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제품 확산 지원을 위한 설명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 이하 ‘KISA’)은 한국주택협회 및 대한주택건설협회와 함께 11월10일(금), 판교 기업지원허브(메타버스허브 첨단공연장)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 건설 시행사 및 시공사 등 100여 명이 참석한 「IoT 보안 인증제도 설명회(이하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설명회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 사업 시행사 및 시공사 등이 사업 기획, 설계, 시공 단계에서부터 보안인증을 받은 제품을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보안위협에 대한 걱정 없이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적극행정을 통해 국내 주택 건설분야 대표 협단체인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가 공동 주관으로 참여하여 보다 많은 주택 건설 시행사와 시공사가 동참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보안 인증제품의 활용・확산을 추진한다.

 

  특히, 이번 설명회를 통해 ‘KISA-건설사’간 IoT 보안인증 제품 확산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제품 활용・확산에 민관이 상호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번 설명회에서 KISA는 IoT 보안 인증제도, IoT 보안 인증제품 확산 필요성 및 아파트 자율보안점검 지원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많은 기업들의 참여를 호소했다.

 

 

   

  * LH공사(’19.9월), SH공사(’19.11월), AI 스피커 제조・유통 6개사(네이버, 롯데쇼핑, 카카오엔터, KT, LG U+, SKT, ’20.7월), 포스코이앤씨・포스코DX(’23.3월)

 

  과기정통부와 KISA는 신축 아파트 등에 IoT 보안 인증제품을 확산하고, 제도 사각지대인 기축 아파트 단지 등에는 ‘아파트 자율보안 점검’지원 사업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향후 과기정통부와 KISA는 향후 협회 회원사 등을 대상으로 ‘IoT 보안 인증제도’및‘홈네트워크 보안’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을 지원하고, 국민들도 보안 인증제품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전시회 개최, SNS를 통해 국민 홍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 다양한 IoT 보안 인증제품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지능형 교통안전 분석 유닛_(알트에이 SVD-2020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0pixel, 세로 65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3년 04월 20일 오후 10:42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24.2 (Window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월패드 (현대에이치티, SEHN-2000-TY).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0pixel, 세로 64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9년 03월 06일 오후 4:48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C 2019 (Windows) 색 대표 : sRGB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oT형 화재 감지 단말(엘디티, ASN-40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7pixel, 세로 43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디지털 도어록 (직방_SHP-DP720FKLH).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0pixel, 세로 65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oT 대기전력 자동 차단 콘센트 (클리오, CIOG-1-V-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6pixel, 세로 1420pixel 프로그램 이름 : Adobe ImageReady

지능형교통안전분석유닛

월패드

화재감지 단말기

디지털도어락

대기전력차단기

 

  또한, 과기정통부와 KISA는 향후 IoT 보안 인증제품의 확산뿐만 아니라 IoT 보안 인증제도 및 홈네트워크 보안 등과 관련된 건설사 등의 애로사항 해결에도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국내 민간 분야 사이버보안을 총괄하는 과기정통부 정창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국민의 일상생활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디지털 융・복합이 확산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과기정통부는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보안성이 내재된 디지털 생활환경 기반구축 및 사이버보안을 기반으로 디지털전환이 심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정책방안을 밝혔다.


농업

더보기
제2차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협의회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그린바이오 산업 분야의 규제혁신, 정보공유 및 기업 간 연계 강화를 모색하기 위해 12월 5일(화) 14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에서 권재한 농업혁신정책실장주재로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협의회’ 2차 전체회의를 개최하였다. * 1차 전체회의는 ‘23년 3월 27일에 개최 이번 협의회에는 김명선 강원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김홍규 강릉시장을 포함한 지자체 관계자와 유관기관장, 학계 및 관련 업계가 폭넓게 참여하여 그린바이오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농식품부는 이번 협의회를 통해 분과위원회*에서 발굴한 산업 내 규제 과제를 공유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농업과의 상생 우수사례와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안」 제정 상황에 관해서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 분과위원회 구성 : 종자, 미생물, 동물용의약품, 천연물, 곤충, 식품소재 협의회 참석자들과 천연물(연어 정소 추출물)을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인 ㈜파마리서치의 생산공장에 방문하여 그린바이오 제품의 제조공정을 살펴보고, 업계 전망 및 애로사항에 대한 현장 청취도 진행하였다. 권재한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축산

더보기
전남 고흥 육용오리 농장 조류인플루엔자(H5형) 항원 검출 및 일시이동중지 명령 발령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하 중수본)는 전남 고흥 소재 육용오리 농장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H5형 항원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반경 10km 이내 가금농장 없음 중수본은 조류인플루엔자 H5형 항원이 확인된 즉시 초동 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하여 해당농장에 대한 출입통제, 예방적 살처분, 역학조사 등 선제적인 방역조치를 실시 중이며, 전국 오리농장 등에 대해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발령한다고 밝혔다. * 현재 정밀 검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고병원성 여부는 약 1~3일 소요 예상 이번 일시이동중지 명령은 12월 4일(월) 오전 11시부터 12월 5일(화) 오후 11시까지 36시간 동안, “전국 오리농장 및 관련 축산시설(사료공장, 도축장 등)․축산차량”에 대해 발령된다. * 지자체와 생산자단체 등 관련기관 전파 및 가금관련 농장·축산시설·축산차량 운전자 대상 문자 메시지 전송 등 안내조치 * 농장에서 사료가 부족하여 공급이 필요하거나 알 반출이 불가피한 경우 소독 등 방역조치 강화를 전제로 이동승인서를 발급받은 후 이동 허용 중수본은 일시이동중지 기간 중 중앙점검반(12개반, 24명)을 구성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우리 산림자원을 바이오산업 핵심요소로 키운다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5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바이오산업계의 원활한 원료물질 수급 및 유망자원 발굴 등을 위해 산림생명자원 활용기반을 구축하고 산림바이오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4대 추진전략을 담은 ‘산림생명자원을 활용한 산림바이오산업 활성화 방안(24~28)’을 발표하였다. 최근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성장과 나고야의정서 발효(’14.10월)에 따른 각국의 유전자원 확보 경쟁 및 국내 산업계의 생명소재 천연물질의 67%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산림생명자원의 유망소재 발굴 및 산업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국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집중 확보 부터 기능성 소재 연구를 통한 산업화에 이르기까지의 전략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림생명자원의 새로운 가치창출로 국가 신성장 동력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22년말 현재 산림생명자원 242만 7천점 보유(종자, 영양체, DNA, 표본) 이번 4대 추진전략(12개 핵심과제)은 ▲ 산림생명자원 보존·관리 강화 및 이용실태 분석 ▲ 산림바이오센터 조성 등 산업화 기반 구축 ▲ 산림바이오 소재 개발 및 산업화 원천기술 확보 ▲ 산림바이오산업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