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8월의 수산물, 어촌여행지, 해양생물, 등대, 무인도서 선정

- 이달의 수산물로 장어류‧문어를, 어촌여행지로 안산시 흘곶마을·삼척시 갈남마을을, 해양생물로 달랑게를, 등대로 통영운하방파제등대를, 무인도서로 백도를 각각 선정

① 이달의 수산물 – 장어류, 문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장어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0pixel, 세로 1080pixel  프로그램 이름 : mangoboard.net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ae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8pixel, 세로 318pixel

장어류

문어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8월 이달의 수산물로 장어류, 문어를 선정했다.

 

 장어(長魚)는 한자어 그대로 ‘긴 물고기’라는 뜻으로, 크게 민물장어(뱀장어)와 바다장어(붕장어, 갯장어, 먹장어)로 나뉘어 진다.

 

 장어는 구이, 탕, 회, 샤브샤브, 초밥 등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는데, 기름기가 많은 민물장어는 주로 구이나 덮밥으로, 상대적으로 기름기가 적어 맛이 깔끔한 바다장어는 회나 구이, 탕 등으로 먹는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높은 장어는 무더운 여름철 원기 회복에 좋은 보양식이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해 혈액순환 개선 및 심혈관계 질환예방에 효과적이며, 비타민 A가 많아 눈 건강과 피부 탄력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문어는 다리가 8개인 연체동물로, 숙회나 조림, 매콤한 볶음 등으로 먹으며, 무, 양파, 된장을 함께 넣어 삶으면 잡내 없이 부드러운 문어를 먹을 수 있다. 문어는 타우린이 풍부해 원기회복과 콜레스테롤 저하에 좋으며, 아르기닌 함유량이 높아 간 기능 개선과 면역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이달의 수산물인 장어류, 문어를 비롯한 수산물 관련 정보는 어식백세(https://blog.naver.com/korfish01) 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② 이달의 어촌 여행지 – 경기 안산시 흘곶마을, 강원 삼척시 갈남마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흘곶_메추리섬_갯벌체험장 (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96pixel, 세로 3747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3년 05월 03일 오후 2:57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75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Lightroom Classic 12.1 (Windows) F-스톱 : 7.1 노출 시간 : 1/400초 ISO 감도 : 5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80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조리개 우선 모드 측광 모드 : 가운데 중점 평균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d18257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0pixel, 세로 3840pixel

 

흘곶마을 갯벌체험장

갈남마을 전경

  8월 ‘이달의 어촌 여행지’로는 8월 바다의 청량함과 여름의 푸르름을 느낄 수 있는 경기도 안산시 흘곶마을과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갈남마을을 선정하였다.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남쪽 끝에 위치한 흘곶어촌체험휴양마을에서는 갯벌 체험과 돌을 쌓아 갇힌 물고기를 썰물 때 손으로 잡는 전통 어업 방식인 독살체험을 할 수 있다. 마을 인근에는 아름다운 유리작품을 관람하고 공예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유리섬박물관이 있어 아이들과 방문하기에 좋다.

 

  에메랄드빛 바다를 자랑하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갈남어촌체험휴양마을에서는 투명한 바닷속을 들여다보는 스노클링과 투명카누를 즐길 수 있다. 인근 바다를 가로지르는 삼척해상케이블카를 타고 천혜의 자연 절경을 한눈에 조망하는 짜릿한 경험도 할 수 있다. 마을에서 운영하는 공유주방인 ‘비밀키친’에서는 해녀, 마을주민들의 비밀요리법으로 싱싱한 수산물을 직접 요리할 수 있다.

 

  8월 이달의 어촌 여행지에 관한 자세한 관광 정보는 바다여행 누리집(www.seantou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③ 이달의 해양생물 – 달랑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달랑게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302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8년 05월 24일 오후 2:38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N950N 프로그램 이름 : N950NKSU3CRD6 F-스톱 : 1.7 노출 시간 : 1/962초 ISO 감도 : 4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6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가운데 중점 평균 측광 EXIF 버전 : 022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달랑게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0pixel, 세로 695pixel 색 대표 : sRGB EXIF 버전 : 0221

달랑게(Ocypode stimpsoni)

  해양수산부는 8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달랑게(Ocypode stimpsoni)를 선정하였다.

 

  달랑게는 너비 약 28mm, 길이 약 23mm까지 자라며, 등의 가운데가 볼록하여 전체적으로 통통한 사각형 모양이다. 집게발을 앞으로 펴서 뛰는 모습이 ‘달랑달랑’ 흔드는 것처럼 보여서 달랑게라고 이름 붙여졌다. 해양수산부는 2016년 9월부터 달랑게를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달랑게는 모래해변에 서식하며, 먹이활동을 위해 모래해변 상‧하부를 집단으로 왕복하는 이동을 보이고, 구애‧과시‧경고를 하기 위해 집게다리를 마찰시켜 개구리 울음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낸다. 동해안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으로 달랑게의 서식지 범위가 약 80km 북쪽으로 변동*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포항 북구 → 울진(출처:2020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해양생태총서)

 

  달랑게를 비롯한 다양한 해양보호생물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해양환경정보포털(https://www.meis.go.kr)과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https://www.mbris.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④ 이달의 등대 –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운하방파제등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M]DJI_0986.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1pixel, 세로 43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3년 09월 26일 오후 6:45  카메라 제조 업체 : Hasselblad  카메라 모델 : L1D-20c  프로그램 이름 : 10.00.15.04  F-스톱 : 3.2  노출 시간 : 1/50초  IOS 감도 : 1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8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가운데 중점 평균 측광  EXIF 버전 : 02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b4022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4pixel, 세로 297pixel

통영운하방파제등대

통영운하 야경

 

  2024년 8월 ‘이달의 등대’로 경상남도 통영시의 ‘통영운하방파제등대’가 선정되었다. 박경리, 유치환, 김상옥 등 문인들이 많은 통영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여 연필을 형상화한 이 등대는 5초 간격으로 불빛을 깜빡이며 통영운하를 통항하는 선박의 안전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등대가 위치한 통영운하는 호수같은 바닷물 위로 선박이 통항하고, 그 바다 밑의 해저터널엔 사람들이 걸어 다니며, 운하 위로 만들어진 다리 충무교에는 자동차가 통행하는 우리나라 유일의 3중 교통로를 자랑하는 곳이다.

 

  등대 인근에는 동피랑벽화골목, 통영케이블카, 루지 놀이기구 등 인기 관광지와 놀거리가 풍부하며, 특히 8월 9일부터 14일까지 통영한산대첩축제가 개최되어 거북선 노젓기 대회, 무예체험, 수문장사열식, 출정식 등 한산대첩을 기념하고 이순신 장군의 구국정신을 기리는 프로그램도 체험할 수 있다.

 

  통영은 다양한 먹거리들도 많다. 먼 뱃길에 김밥이 쉬지 않도록 밥과 반찬을 따로 싸던 것에서 유래된 충무김밥, 겉에는 꿀을 입히고 속에는 팥소를 넣은 꿀빵, 여름철 보양식인 바다장어 등이 유명하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이달의 등대를 방문하거나 의미가 있는 여행 후기를 작성한 여행자를 연말에 선정하여 예쁜 등대 기념품과 50만 원 상당의 국민관광상품을 증정할 예정이다. 자세한 행사 참여방법 등은 국립등대박물관 누리집(lighthouse-museum.or.kr)의 ‘등대와 바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등대 주변 관광정보는 통영 문화관광 누리집(www.utour.go.kr)에 소개되어 있다.

 

⑤ 이달의 무인도서 – 백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7pixel, 세로 4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76pixel, 세로 787pixel

백도 전경(사진: 고성군 공식블로그)

백도 해식절벽(사진: 전남대 무인도서연구센터)

 

 

 8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문암진리에 위치한 백도(白島)를 선정하였다.

 

  백도는 고도 20m, 면적 3,517㎡인 비교적 작은 섬으로 죽왕면 자작도해수욕장에서 북동쪽으로 약 0.6㎞ 떨어져 있다. 섬을 보면 이름이 백도인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가마우지와 갈매기, 왜가리, 백로와 같은 물새들의 배설물이 밝은 빛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을 더 흰색으로 보이게 만들기 때문이다.

 

  백도는 주절리 방향의 차별침식으로 마치 돌기둥을 쌓아 놓은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섬 상부에는 기반암의 풍화작용에 의해 분리된 암괴(토르, Tor)도 관찰된다.

 

  최상부 암반 틈에서는 초본류인 해국과 담쟁이덩굴, 사철쑥, 땅채송화 등의 식생이 나타난다. 주변해역에는 해양무척추동물인 굵은줄격판담치가 우점하고 있으며, 다시마, 미역, 쇠미역, 개바다참나무잎 등 해조류가 해중림을 형성하고 있다.

 

  백도를 포함한 무인도서 정보는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시스템(http://uii.mof.go.kr)에서, 인근 관광 정보는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문화관광 누리집(https://www.gwgs.go.kr/tour/index.do)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햇빛을 통한 소득창출 마을현장 방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8월 24일 여주시 구양리 ‘마을태양광 발전소’를 방문하였다. 구양리 마을은 주민 주도형 마을태양광사업의 모범사례가 된 곳으로 송미령 장관은 직접 태양광 발전 현장을 둘러본 뒤 마을 주민들과 농업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구양리 ‘마을태양광 발전소’는 ’22년 산업부의 ‘햇빛두레 발전소’ 시범사업 지원을 받아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였다. 발전시설은 마을 공동 소유의 마을회관, 체육시설, 마을창고, 잡종지(농지 전용) 등에 1MW 규모이다. 이를 통해 나오는 수익은 마을협동조합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며, 마을식당 무료급식 운영, 마을 행복버스 운행 등에 쓰이고 있다. 이런 모델을 바탕으로 새 정부는 국정과제로 주민공동체 주도의 햇빛소득마을 500개 조성을 발표하였다. 새정부의 ‘햇빛소득마을’은 마을 공동체를 통해 농지·저수지 등 활용 가능한 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발전 수익을 마을 공동기금으로 활용하는 사업모델을 말한다. 특히, 영농활동과 발전사업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을 적극 도입하여 농지의 기능을 보전하면서 발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태양광 발전시설에 대한 마을 경관 훼손, 발전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식품

더보기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 하림, ‘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요리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The미식(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인라면, 즉석밥, 요리면, 국물요리, 요리밥, 육즙만두, 덮밥소스, 밀키트, 요리양념 등에 이은 더미식의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용기째 전자레인지 혹은 에어프라이어 조리만으로도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트레이 요리 제품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을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요리 준비나 치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집들이나 홈 파티뿐만 아니라 여행, 캠핑 등의 야외 모임에서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한 끼 메뉴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더미식 트레이요리는 ‘닭다리살 구이’, ‘닭가슴살 구이’, ‘순살 닭갈비’, ‘순살 찜닭’, ‘제육볶음’, ‘함박스테이크’, ‘토마토미트볼파스타’등 총 7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트레이 형태로 포장돼 별도의 그릇 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단품 요리 또는 밥반찬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닭다리살 구이’와 ‘닭가슴살 구이’는 100%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했으며, 닭다리살과 닭가슴살 각각의 부위를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