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집에서 즐기는 경북 안동의 별미” 하림, ‘더미식 안동국시’ 출시

- 경북 안동지역 대표 향토음식 안동국시를 더미식만의 레시피로 완성한 상온 밀키트 간편식
- 사골 양지 육수에 고소한 참기름으로 풍미 살린 국물…부드러운 양지와 대파·애호박으로 풍성함 더해
- 직접 우린 육수와 감자 전분으로 반죽해 도톰하게 뽑아낸 건면으로 전문점 수준의 안동국시 맛 구현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경북 안동지역의 별미를 집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더미식(The미식) 안동국시’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더미식 육개장칼국수’, ‘더미식 초계국수’에 이어 한국의 특색 있는 요리면을 전문점에서 먹는 맛 그대로, 손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상온 밀키트로 구현한 제품이다. 하림은 날씨가 추워질수록 외식보다는 밀키트 등 가정간편식을 선호하는 소비자 니즈를 반영해 겨울 별미로 안동국시를 선보이게 됐다고 밝혔다.

 

 

국시는 국수의 경상도 방언으로, 경북 안동 양반가에서 귀한 손님 상에 내어놓던 국수 음식이 대중화된 것이 바로 안동국시이다. 안동국시는 안동건진국수라고도 불리며, 따뜻한 국물로 내놓으면 안동국시, 차가운 국물로 내놓으면 건진국시라고 한다. 종가마다 국물 재료의 차이가 있으나 대중적으로 소고기 양지를 사용하고 있다.

 

하림은 분말이나 소스로는 흉내 낼 수 없는 깊고 진한 안동국시 소고기 국물을 구현하기 위해 사골, 소고기, 양지 등을 20시간 이상 정성껏 푹 고아 낸 육수를 사용했다. 여기에 간장에 숙성하고 증기로 쪄낸 부드러운 식감의 소고기 양지와 국내산 대파, 애호박을 건더기로 푸짐하게 넣었다.

 

쫄깃하고 잘 불지 않는 국시면 역시 더미식만의 특별한 점이다. 기름에 튀기지 않은 담백한 건면으로 고운 감자 전분을 넣고 직접 우린 육수로 반죽해 면 자체가 고소하다. 또한, 짧은 시간에 평균 130℃의 강한 열풍으로 균일하게 건조한 후 저온으로 서서히 말려 면발 안에 수많은 미세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방식인 제트노즐 공법 건조로 말려 면발이 탄력 있고 진한 소고기 국물이 잘 베여 국물과 잘 어우러진다.

 

하림은 전문점 수준의 안동국시 맛을 구현하기 위해 수많은 레시피 연구와 테스트를 거쳤다. 더미식 셰프팀은 줄을 서서 먹는 전국의 안동국시 맛집을 돌며 레시피를 개발했으며, 수차례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더미식만의 노하우를 담아 더미식 안동국시를 완성했다.

 

하림 관계자는 “육개장칼국수의 고객 반응이 좋아 담백한 칼국수 라인인 안동국시까지 출시하게 됐다. 더미식 안동국시 한그릇으로 집에서도 안동 지역 맛집에서 먹는 맛과 경험을 그대로 느끼시면 좋겠다”며 “앞으로도 한국의 전통적인 면 요리를 집에서 즐길 수 있도록 계속해서 요리면 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농업

더보기
‘저장기술 현장 적용 확대’ 여름철 배추 수급 사전 점검
농촌진흥청은 시에이(CA)저장고, 엠에이(MA) 기술 등 저장 기술을 현장에 확대, 적용해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7월 10일 충북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APC)를 찾아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도입 현장을 둘러보고, 보급 과정에서 생긴 어려움과 개선점을 논의했다. *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저장된 농산물의 생리적인 특성을 자동으로 감지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는 2세대 시에이저장고 최근 이상기후로 농산물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이를 완화할 방안으로 능동형 시에이(CA) 저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봄배추를 장기 저장해 여름철에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2024년 개발,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에 설치한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에 지난달 10일 봄배추를 입고했다. 앞으로 3개월 동안 저장 중 신선도를 실증할 계획이다. 이곳에 저장된 봄배추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이티, aT)가 정부 수매로 확보한 약 69톤과 민간업체 3곳에서 각각 7톤씩을 제공해 모두 90톤이다. 권재한 청장은 “대형 유통센터에서 이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