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5.1포인트) 대비 1.6% 상승한 127.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품목군별로 곡물, 유지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으나, 육류의 가격은 전월 수준을 유지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4.9월) 124.6 → (10월) 126.9 → (11월) 127.7 → (12월) 127.4 → (’25.1월) 125.1 → (2월) 127.1
| 품목군 | ’25.2월 지수 | 전월 대비 | 전년 동월 대비 | ||||
| ’25.1월 | 증감폭 | (증감률) | ’24.2월 | 증감폭 | (증감률) | ||
| 곡물 | 112.6 | 111.8 | 0.8 | (0.7%) | 113.8 | -1.2 | (-1.1%) | 
| 유지류 | 156.0 | 153.0 | 3 | (2.0%) | 120.9 | 35.1 | (29.0%) | 
| 육류 | 118.0 | 118.0 | 0 | (0.0%) | 112.5 | 5.5 | (4.9%) | 
| 유제품 | 148.7 | 143.0 | 5.7 | (4.0%) | 120.7 | 28 | (23.2%) | 
| 설탕 | 118.5 | 111.2 | 7.3 | (6.6%) | 140.8 | -22.3 | (-15.8%) | 
| 전체 | 127.1 | 125.1 | 2 | (1.6%) | 117.4 | 9.7 | (8.3%) | 
최근 이상기후, 재배면적 감소, 환율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한 수입 원자재를 원료로 하는 가공 제품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정부는 코코아 가공품, 과실주스 등 식품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를 적용, 다양한 세제 및 자금 지원실시, 식품업계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식품 물가가 안정되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