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초여름 무더위 속, ‘편리함’과 ‘맛·영양’ 모두 잡은 간편식 인기

- 초여름 날씨에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 정식품 ‘간단요리사 진한 콩국물’ 등 복잡한 조리 과정 없이도 맛과 영양 챙길 수 있는 제품 주목

최근 초여름 날씨가 이어지면서 쉽고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간편식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여기에 치솟는 외식 물가로 집밥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면서, 식품업계는 복잡한 조리 과정 없이도 맛과 영양을 챙길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정식품의 식재료 브랜드 ‘간단요리사’ 시리즈는 번거로운 조리 과정을 단축하면서 깊은 풍미를 더해줄 수 있는 제품이다. 간단요리사 '진한 콩국물'과 '진한 콩국물 검은콩'은 콩을 껍질째 갈아 넣어 깊은 고소한 맛을 구현했으며, 여름철 별미인 콩국수와 초계국수는 물론 보양식인 콩국삼계탕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어 무더위로 떨어진 입맛을 돋우기에 제격이다. 전통방식 그대로 콩을 갈아 만든 콩즙을 최대 99.41% 함유해 본연의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멸균팩 포장으로 실온 보관이 가능해 편의성도 뛰어나다.

 

 

간단요리사 ‘진한 콩국물’과 ‘진한 콩국물 검은콩’은 최근 KBS 2TV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 시즌4’에 등장하며 눈길을 끌기도 했다. 문세윤과 김종민을 비롯한 출연진은 ‘간단요리사’를 활용해 간편하게 콩국수를 만들어 먹으며 진하고 신선한 맛을 극찬했고, 꿀떡에 ‘진한 콩국물’을 부어 MZ세대에게 인기 있는 ‘꿀떡 시리얼’을 만드는 등 새로운 활용법도 제시했다.

 

여름철 몇 가지 재료만으로도 근사한 한 끼를 완성할 수 있게 돕는 만능소스도 주목받고 있다. 농심의 매콤한 사천식 짜장맛을 담은 ‘사천짜파게티 만능소스’와 스낵 ‘먹태깡’의 인기를 이어 만든 ‘먹태청양마요 만능소스’가 대표적이다. ‘사천짜파게티 만능소스’는 볶은 춘장과 고춧가루, 양파를 활용해 사천짜파게티의 깔끔하게 매운 풍미를 살린 제품으로, 육류, 해산물, 튀김 등 모든 요리와 매콤하게 어울린다. ‘먹태청양마요 만능소스’는 다진 청양고추와 북어분말 건더기로 특유의 매콤하면서도 고소한 맛을 구현해 삼각김밥이나 주먹밥과 함께 먹거나, 치킨·피자를 찍어 먹는 소스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을 겨냥해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저당 및 저칼로리 음식도 출시되고 있다. 팔도는 국내 비빔라면 최초로 설탕을 첨가하지 않고 맛을 낸 ‘팔도비빔면 제로슈거’를 출시했다. 알룰로스를 활용해 식약처 무당류 표시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액상스프는 고유의 풍미를 유지하면서 상큼한 맛을 더했다. 면발은 신규 배합을 적용해, 기존 제품 대비 밀가루 사용을 줄이고 전분 함량을 높여 탄력을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하림은 ‘동대문엽기떡볶이’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식단 관리 중인 소비자와 매운맛 마니아의 입맛을 동시에 사로잡을 ‘하림e닭 소스 잘 먹은 닭가슴살·닭다리살’ 제품을 선보였다. 해당 제품은 ‘오리지널맛’, ‘마라맛’, ‘로제맛’ 등 총 5가지로 구성되며, 제품 한 팩(110g) 기준 단백질 함량은 최대 23g, 당류는 3.6g 수준으로 조절해 다이어트 중인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즐기기 좋다.

 

여름을 맞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제철 과일 맛 제품도 출시됐다. 오리온은 수박, 멜론, 망고 등을 활용한 여름 시즌 한정 과일 맛 제품 6종을 선보였다. 부드러운 생크림에 달콤한 망고를 더한 ‘초코파이하우스 망고’, 각각 수박과 멜론의 과즙을 활용해 과일 본연의 맛을 살린 ‘초코파이 정(情) 수박’과 ‘후레시베리 멜론’, 주황빛 멜론 초코칩을 사용한 ‘촉촉한멜론칩’, 멜론을 담은 젤리 ‘코코멜론 알맹이’와 마이구미와 자몽이 만난 ‘마이구미 자몽허니블랙티’ 등 다양한 제철 과일 디저트를 어디서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과학과 정책의 협력” 양봉산업 위기 해결 나선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한국양봉학회와 함께 8월 28일부터 29일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제41차 한국양봉학회 하계학술대회’를 열고 있다. ‘양봉, 연구와 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과학의 협력’을 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꿀벌 감소 문제와 이상기상, 꿀벌응애 등 병해충 피해, 수입 벌꿀 증가와 국내 벌꿀 소비 둔화 등 양봉산업과 농가 위기 대응을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국내외 연구자, 정책기관, 산업계, 농가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정책 수립과 연구에 필요한 농업 현장의 의견을 제안하는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첫날(28일) 기조 강연에서는 곽경택 영화감독의 ‘영화 속 꿀벌, 환경과 생명의 메시지’와 정철의 경국대 교수의 ‘최신 양봉 연구 동향’ 발표가 있었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산림과학원이 우수 양봉농가와 지자체 담당자, 신규 연구자를 대상으로 최신 양봉 기술을 전수하는 공동 연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꿀벌 우수 품종 육성 및 보급 체계 ∆꿀벌 병해충 특성과 양봉용 의약품 사용 기술 ∆디지털 양봉 관리 기술 ∆벌꿀 생산 우수 밀원수 특성 등을 발표했다.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건강기능식품 수출지원 본격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6일(화)부터 27일(수)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2025 건강기능식품 글로벌 수출전략 세미나 및 1:1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6개국 유통 전문가와 300여 명의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회장 정명수, 건기식협회)와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와 국제적 협력 관계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 미국, 베트남,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요 수출 대상 국가의 유통사 구매 담당자 10명을 초청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행사 첫날에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34개소가 ‘1:1 수출상담회’에 참여했다. 상담회를 통해 각 업체는 유통사별로 제품 소개 및 수출 애로사항에 대해 구매 담당자와 직접 소통했고, 일부 업체는 별도의 회의까지 연계되는 성과를 거뒀다. 행사 마지막 날에는 ‘수출전략 세미나’가 열렸다. 세미나에서는 ▲전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을 통한 일본 시장 진출 전략 ▲중국 최대 온라인 유통 플랫폼 티몰*(Tmall)을 활용한 중국 진출 전략 ▲미국 한인 대표 유통

산림

더보기
산림청, 백두대간법 20주년 맞아 성과 및 미래 방향성 공유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백두대간법)’ 시행 20주년을 기념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임호선 국회의원, 한국환경생태학회,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녹색연합, 백두대간옛길보존회, 백두대간보전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백두대간 산림생태계의 20년간 변화상 △백두대간 보호·산림복원의 성과와 미래비전 △백두대간 보전과 시민사회의 역할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으며, 내년에 수립되는 10년 기본계획에 반영해 백두대간 보전 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백두대간법은 2005년 무분별한 개발행위로 인한 산림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국토를 건전하게 보전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행됐다. 산림청은 현재 6개도, 108개 읍·면·동을 포함하는 27만7,645헥타르(ha)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을 지정해 보전·관리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백두대간 생태축을 연결·복원하는 사업을 통해 도로로 단절됐던 이화령, 육십령 등 13개소를 복원해 야생동물과 국민들의 지역 간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주변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재하고 통행자와 작업자의 안전 등을 고려한 특수 건축공법을 활용해 백두대간의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