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차 연구용역은 ‘17.4월 낙농수급조절협의회 원유수급점검분과(제3차) 회의에서 “수급매뉴얼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낙농진흥회가 매뉴얼의 이론적 근거 및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 원유수급점검분과는 낙농수급조절협의회 소속 분과로 정부, 진흥회, 농촌경제연구원, 유가공협회, 유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원유수급상황 점검하고 대응방안 등을 논의하는 협의체임
지난 ‘11년 구제역직후 무분별한 원유증산조치로 인해 ‘14․‘15년에 원유생산량 과잉이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당시 수급상황에 대한 구성원간 견해차이 및 대응 매뉴얼 부재로 인하여 원유수급 안정까지 오랜 시일이 걸렸던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된 것이 연구용역을 추진하게 된 배경이다.
* 배추, 양파, 한우, 돼지 등 농축산업의 다른 품목의 경우 이미 ‘13년부터 수급매뉴얼을 마련․시행중임
연구용역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연구책임자 지인배 박사)이 맡아 수행하였으며, ‘17년 9월말부터 약 4개월의 연구기간을 거쳐 원유수급단계별 위기판단기준 및 대응요령 등을 제시했다.

낙농진흥회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금년부터 수급상황을 점검하는데 시험적으로 활용(수급지수에 의한 수급상황 판단)해 본 후 현실 적용이 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낙농수급조절협의회에 상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