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일본의 상업포경 재개에 심각한 우려”

                      - 우리 수역의 고래자원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될 것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7월 1일부터 재개된 일본의 상업포경과 관련하여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특히, 우리 수역의 고래자원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1986년부터 상업포경을 중지해 오고 있으며, 연근해에는 일본의 상업포경 대상종에 포함된 밍크고래를 비롯하여 총 31종의 고래류가 분포하고 있다. 밍크고래의 경우, J와 O계군으로 구분되며 이 중 J계군은 한반도 수역과 일본 서쪽 연안, 동남쪽 연안에 주로 서식하고, 우리 수역에도 1,500여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특히, 한국과 일본 양국 수역을 왕래하며 서식하는 J계군 밍크고래가 일본의 포경대상에 포함되어 우리나라로의 회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우리 수역의 고래자원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는 한편, 고래의 보존과 이용은 국제포경위원회(IWC :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입장임을 밝혔다. 

 

                         <최근 10년간 한반도 연근해에서 확인된 주요 고래 종>

분류

고래 명

발견 횟수

혼획좌초 횟수

총 계

대형고래류

밍크고래

153

795

948

브라이드고래

-

4

4

혹등고래

-

4

4

참고래

-

3

3

향고래

2

1

3

중형

돌고래류

상괭이

745

10,712

11,457

참돌고래

129

3,856

3,985

낫돌고래

29

529

558

큰머리돌고래

5

21

26

흑범고래

4

18

22

 * 대형고래류는 확인된 고래 종 전부를, 중형‧돌고래류의 경우 발견된 고래 종 중 발견 횟수가 가장 많은 5개 종만 기재

 

                                                 IWC 포획금지대상(13종)

연번

고래 명

연번

고래 명

1

수염고래 (Right Whale)

7

보리고래 (Sei Whale)

2

북극고래 (Bowhead Whale)

8

향고래 (Sperm Whale)

3

꼬마긴수염고래 (Pygmyright Whale)

9

혹등고래 (Humpback Whale)

4

귀신고래 (Gray Whale)

10

밍크고래 (Minke Whale)

11

남극밍크고래 (Antarctic Minke Whale)

5

대왕고래 (Blue Whale)

12

브라이드고래 (Bryde’s Whale)

6

참고래 (Fin Whale)

13

병코고래 (Bottlenose Whale)

* 음영 : IWC 포획금지대상 종 중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확인된 고래 종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농촌진흥청, 수확량·품질 ‘쑥’ 용도별 콩 품종 안내
최근 고온 다습한 날씨가 9월 중하순까지 이어져 콩 품질 저하와 성숙 지연 등이 나타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불리한 기상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콩 생산을 돕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이 개발하고 국립종자원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보급한 용도별 주요 콩 품종의 특성과 재배 유의점을 소개했다. ▲ 장류 및 두부용 콩 ‘다드림’, ‘선유2호’, ‘선풍’ ‘다드림’은 두부 수율이 높고 맛과 식감이 우수한 품종이다. 만생종으로 종자 빛깔이 밝고 백 알의 무게가 30.9g으로 알 크기도 굵다. 쉽게 쓰러지지 않고 착협고*가 높아 기계수확에 적합하나, 건조할 때 꼬투리가 터질 수 있어 제때 수확해야 한다. *착협고: 땅바닥에서 첫 번째 달린 꼬투리의 하단부까지의 높이(높을수록 기계수확 시 안정적) ‘선유2호’는 생육기간이 짧아 이모작에 유리하다. 꼬투리가 잘 터지지 않고 알이 굵어 콩 품질이 우수하지만, 키가 작고 착협고가 낮다. 1.5배 빽빽하게 심으면(밀식재배) 기계수확이 쉽고 수확량을 확보할 수 있다. ‘선풍’은 논 콩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수량성이 높고 쓰러짐과 꼬투리 터짐에 강하다. 일찍 심거나 빽빽이 심으면 쓰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