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코로나시대 우리나라 물가 수준은?

- 세계 10개국 주요도시 국제물가조사 결과, 24개 품목 중 9개 품목(국내산 쇠고기, 수입산 쇠고기, 국내산 돼지고기, 바나나, 파인애플, 자몽, 망고, 코카콜라, 칠레산 와인)은 한국이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나
- 국내산 쇠고기(1kg) 한국이 148,029원으로 가장 비쌌고, 10개국 평균 가격(52,247원)에 비해 2.8배 더 비싸
- 수입 과일 8종(바나나, 파인애플, 자몽, 망고, 포도, 레몬, 오렌지,  키위) 모두 10개국 중 1, 2위로 비싸
- 바나나(1다발) 가격 10개국 중 한국(13,200원)이 가장 비싸, ’15년 국제물가 조사 대비 한국은 바나나 가격(6,629원) 99% 인상

  (사)소비자시민모임(회장 백대용)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지난 한해 한국의 물가 수준이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2020년 8월부터 12월까지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독일, 프랑스, 호주 등 세계 10개국 주요도시에서 판매되고 있는 축산물, 수입과일, 가공식품, 주류 등에 대해 각국의 주요 유통매장에서 판매하는 소비자가격을 조사 비교하였다. 

 

  세계 10개국 국제물가 조사 결과, 쇠고기, 돼지고기 등 축산물 가격 한국이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산 쇠고기(등심 1kg)는 한국이 148,029원으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일본 127,723원으로 나타났다. 10개국에서 조사된 국내산 쇠고기(등심 1kg)의 평균 가격은 52,247원으로 한국은 10개국 평균 가격에 비해 2.8배 더 비쌌다.     

 

-  수입 쇠고기(호주산 등심 1kg)도 한국이 65,023원으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일본 60,230원으로 나타났다. 10개국에서 조사된 수입 쇠고기 평균 가격은 41,707원으로 한국은 10개국 평균보다 1.6배 더 비쌌고, 호주 현지 쇠고기 가격인 25,632원에 비해 2.5배 더 비쌌다.  

 

-  국내산 돼지고기(삼겹살 1kg)는 한국이 10개국 중 37,158원으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일본 28,653원, 중국 19,858원 순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 가격이 가장 싼 국가는 스페인으로 1kg당 8,137원이었다. 돼지고기의 10개국 평균 가격은 16,261원으로 한국은 10개국 평균보다 2.3배 비쌌다.

 

-  이번 국제물가 조사결과 한국의 쇠고기, 돼지고기 가격은 10개국 중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 국제물가 조사결과 대비 국내산 쇠고기(한우)는 38.8%, 국내산 돼지고기 가격은 33.0% 올랐다. 지난 해 우리나라는 코로나19로 국내산 쇠고기(한우)와 돼지고기의 가정 소비가 늘면서 가격도 크게 상승했는데, 국제물가 조사결과에도 이와 같은 가격 상승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국제물가조사결과 축산물 가격순위(비싼순 5순위)>

  

품목

순위

국내산 쇠고기

 (등심 스테이크용, 1kg)

수입 쇠고기

(등심 스테이크용, 1kg)

국내산 돼지고기 

(삼겹살, 1kg)

1

한국

148,029 원

한국

65,023 원

한국

37,158 원

2

일본

127,723 원 

일본

60,230 원

일본

28,653 원

3

프랑스

35,774 원 

독일

45,320 원

중국

19,858 원

4

중국

34,943 원

중국

42,249 원

프랑스

13,304 원

5

캐나다

33,497 원 

네덜란드

41,289 원

호주

12,651 원

 

  수입과일 8개 품목(바나나, 파인애플, 자몽, 망고, 수입포도(레드글로브), 레몬, 오렌지, 키위) 모두 10개국 중 한국이 1, 2위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바나나, 파인애플, 자몽, 망고는 한국이 10개국 중 가장 비쌌다. 

 

-  바나나 1다발의 가격은 10개국 중 한국이 13,200원으로 가장 비쌌고, 그 다음으로 일본(12,405원), 중국(10,988원), 독일(8,028원), 호주(7,973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국제물가 조사결과와 비교해 99.1% 인상된 것으로, 바나나의 경우 조사국가 10개국 모두 2015년 가격 대비 26.2%~99.1% 상승했는데, 한국은 10개국 중 가장 가격이 많이 올랐다. 

     바나나(150~180g) 15개 내외 1다발(3kg 이내)       

 

-  파인애플 1개의 가격은 한국이 6,381원으로 가장 비쌌고, 프랑스(6,332원), 스페인(4,262원), 캐나다(3,932원), 일본(3,730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파인애플의 10개국 평균 가격은 4,041원으로 한국은 해외평균에 비해 1.6배 비쌌다.  

 

-  자몽 1개의 가격은 한국이 3,015원으로 가장 비쌌고, 일본(2,495원), 캐나다(1,738원), 중국(1,693원), 호주(1,643원) 순서로 나타났다. 자몽의 10개국 평균 가격은 1,683원으로 한국은 10개국 평균에 비해 1.8배 비쌌다. 특히 올해 한국의 자몽가격은 7월~8월에 유통되던 남아공산이 품절되고 미국산이 수입되기까지 공백이 생기면서 가격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망고 1개의 가격은 한국이 6,834원으로 가장 비쌌고, 호주(3,515원), 독일(3,350원), 프랑스(2,601원), 네덜란드(2,465원) 순으로 나타났다. 망고의 10개국 평균가격은 2,635원으로 한국은 10개국 평균에 비해 2.6배 비쌌다.

 

-  수입포도(레드글로브), 레몬, 오렌지, 키위 국제물가 조사 결과, 4품목 모두 10개국 중 한국이 2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나, 한국의 수입과일 가격은 국제물가와 비교해 전반적으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국제물가 조사결과, 국내 자급률이 없거나 낮아 수입에 의존하는 과일의 경우 우리나라의 가격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와 이상기후 등 불안한 국제 상황에서 수입 의존이 큰 농산물의 경우 생산 국가의 수입 지연이나 물류 대란 등의 가격 상승 요인이 있어 정부는 이에 대비한 물가 안정 정책이 필요하다.





 

<2020년 국제물가조사결과 수입과일 가격순위(비싼순 5순위)>

 

품목

순위

바나나

(1다발, 15개 내외)

파인애플(1개)

자몽(1개)

망고(1개)

1

한국

13,200 원 

한국

6,381 원 

한국

3,015 원 

한국

6,834 원 

2

일본

12,405 원

프랑스

6,332 원 

일본

2,495 원 

호주

3,515 원 

3

중국

10,988 원

스페인

4,262 원 

캐나다

1,738 원 

독일

3,350 원 

4

독일

8,028 원

캐나다

3,932 원 

중국

1,693 원 

프랑스

2,601 원 

5

호주

7,973 원

일본

3,730 원 

호주

1,643 원 

네덜란드

2,465 원 

 

품목

순위

수입 포도 (레드글로브, 700g) 

오렌지(1개)

레몬(1개, 100g)

키위(제스프리, 1개) 

1

호주

10,533 원 

일본

1,802 원 

일본

1,423 원 

일본

1,451 원 

2

한국

7,462 원 

한국

1,790 원 

한국

1,082 원 

한국

1,171 원 

3

일본

6,533 원 

프랑스

1,403 원 

독일

1,055 원 

미국

1,154 원

4

스페인

4,433 원 

미국

1,350 원

호주

1,009 원 

프랑스

1,144 원 

5

프랑스

4,290 원 

독일

1,239 원 

캐나다

867 원 

중국

935 원 

 

  코카콜라와 칠레산 와인 몬테스 알파 까르네쇼비뇽의 가격은 한국이 10개국 중 가장 비쌌고, 펩시콜라(3위), 수입맥주 버드와이저(3위), 하이네켄(2위)은 한국이 비싼 순으로 3위 안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코카콜라(1.5L) 가격은 한국이 3,195원으로 가장 비쌌고, 그 다음으로는 네덜란드(3,010원), 호주(2,760원), 프랑스(2,390원), 미국(2,238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코카콜라의 10개국 평균 가격은 2,182원으로 한국은 10개국 평균 가격에 비해 1.5배 비쌌다. 펩시콜라(1.5L)는 네덜란드(2,240원)가 가장 비쌌고, 미국(2,227원), 한국(2,063원), 호주(2,002원), 프랑스(1,893원) 등의 순서로 한국은 10개국 중 3번째로 비쌌다. 한국의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가격이 10개 국가와 비교해 높은 가운데, 올해 초 코카콜라는 편의점용 코카콜라 가격을 100~200원 인상했고, 펩시콜라는 7.9% 인상했다.

 

<2020년 국제물가조사결과 콜라 가격순위(비싼순 5순위)>

 

 품목

순위

코카콜라

(1.5L)

펩시콜라

(1.5L)

1

한국

3,195 원 

네덜란드

2,240 원 

2

네덜란드

3,010 원 

미국

2,227 원 

3

호주

2,760 원 

한국

2,063 원

4

프랑스

2,390 원 

호주

2,002 원 

5

미국

2,238 원

프랑스

1,893 원 

 

-  칠레산 와인(몬테스 알파 까르네쇼비뇽) 한국 가격은 42,580원으로 10개국 중 가장 비쌌고, 그 다음으로는 일본(26,508원), 미국(26,026원), 독일(21,775원), 중국(21,087원) 순으로 비쌌다. 한국은 2위인 일본과 비교해 1.6배(16,072원)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  수입맥주 버드와이저(1캔) 가격은 호주(3,845원), 일본(2,539원), 한국(1,985원), 캐나다(1,813원), 미국(1,557원) 순으로 비쌌고, 하이네켄(1캔)도 호주(3,111원), 한국(2,696원), 일본(2,618원), 캐나다(1,962원), 미국(1,673원) 순서로 비쌌다. 수입 맥주는 10개국 중 버드와이저는 한국이 3번째, 하이네켄은 한국이 2번째로 비쌌다. 각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자국 브랜드 맥주 1캔의 가격을 조사해 본 결과, 한국은 1,521원으로 10개국 중 4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국제물가조사결과 주류 가격순위(비싼순 5순위)>

 

품목

순위

칠레산 와인

(몬테스 알파 까르네 쇼비뇽, 750ml)

수입맥주

(버드와이저, 

355ml, 1캔)

수입맥주

(하이네켄, 

330ml, 1캔)

자국산 맥주

(330ml, 1캔)

1

한국

42,580 원 

호주

3,845 원 

호주

3,111 원 

호주

3,945 원 

2

일본

26,508 원

일본

2,539 원

한국

2,696 원

일본

2,493 원

3

미국

26,026 원

한국

1,985 원

일본

2,618 원

캐나다

1,765 원

4

독일

21,775 원

캐나다

1,813 원

캐나다

1,962 원

한국

1,521 원

5

중국

21,087 원

미국

1,557 원

미국

1,673 원

프랑스

1,362 원

 

  가공식품 중 우유, 올리브유는 한국이 비싼 순으로 5위 안에 드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밀가루(7위), 설탕(6위), 오렌지주스(6위), 생수(7위) 한국이 대체적으로 10개국 중 6, 7위로 대체로 저렴한 편으로 나타났다. 

 - 자국산 올리브유(1L) 가격은 일본이 14,996원으로 가장 비쌌고, 한국은 12,457원으로 2번째로 비쌌다. 이탈리아산 올리타리아 브랜드 올리브유(500ml)는 한국이 10개국 중 14,792원으로 3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1L)는 미국이 3,069원으로 가장 비쌌고, 한국은 2,631원으로 10개국 중 4번째로 비쌌다. 

 

<2020년 국제물가조사결과 가공식품 가격순위(비싼순 5순위)> 

 

품목

순위

자국산 올리브유

(자국브랜드, 1L)

이탈리아수입 올리브유

(올리타리아, 500mL)

흰우유

(1L)

1

일본

14,996 원 

독일

25,860 원 

미국

3,069 원

2

한국

12,457 원 

스페인

14,911 원 

일본

3,051 원 

3

호주

11,392 원 

한국

14,792 원 

캐나다

2,697 원 

4

프랑스

11,384 원 

중국

11,557 원 

한국

2,631 원 

5

캐나다

7,947 원 

네덜란드

 9,478 원 

중국

2,462 원 

 

 - 밀가루(중력분, 1kg) 가격은 캐나다가 3,494원으로 가장 비쌌고, 그 다음으로는 일본(3,314원), 미국(2,769원), 호주(2,719원), 중국(2,489원) 순으로 비쌌다. 한국은 1,430원으로 7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정백당) 1kg의 가격은 미국이 3,634원으로 가장 비쌌고, 중국(3,365원), 일본(2,762원), 프랑스(2,124원), 캐나다(2,071원) 순이었고, 한국은 1,747원으로 6위로 대체적으로 밀가루, 설탕은 한국이 싼 편으로 나타났다.

 

 - 자국산 브랜드 생수(500ml) 가격은 호주가 1,334원으로 가장 비쌌고, 일본(909원), 미국(865원), 네덜란드(735원), 독일(633원) 순으로 비쌌다. 한국은 자국산 브랜드 생수(500ml) 1병 가격이 454원으로 10개 국 중 7번째였고. 수입 생수 에비앙(500ml) 가격은 중국이 1,833원으로 가장 비쌌고, 한국은 1,151원으로 10개국 중 7번째로 나타나 한국의 생수 가격은 대체적으로 싼 편이었다.

 

<2020년 국제물가조사결과 가공식품 가격순위>

 

품목

순위

밀가루

(중력분 1kg)

설탕

(정백당, 1kg)

오렌지 주스

(1.5L)

자국브랜드 생수

(500ml, 1병)

수입 생수 에비앙

(500ml, 1병)

1

캐나다

3,494 원 

미국

3,634 원

일본

4,741 원 

호주

1,334 원 

중국

1,833 원

2

일본

3,314 원 

중국

3,365 원 

호주

4,445 원

일본

909 원 

미국

1,563 원

3

미국

2,769 원

일본

2,762 원 

프랑스

4,167 원

미국

865 원

캐나다

1,484 원 

4

호주

2,719 원 

프랑스

2,124 원 

독일

3,806 원

네덜란드

735 원 

호주

1,476 원 

5

중국

2,489 원 

캐나다

2,071 원 

미국

3,484 원

독일

633 원 

일본

1,178 원 

한국

7위

1,430 원

6위

1,747 원

6위

3,478 원

7위

454 원

7위

1,151 원

 

  외식 가격에 대해 맥도날드 햄버거 및 스타벅스 커피의 국제물가를 조사한 결과,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카페라떼는 비싼 순으로 5위 안에 드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맥도날드 빅맥 햄버거는 한국 판매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 10개국 중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는 한국이 4위, 카페라떼는 5위, 맥도날드 빅맥 햄버거는 한국 8위, 빅맥 세트는 9위로 나타났다. 

 

<2020년 국제물가조사결과 외식서비스 가격순위(비싼순 5순위)>

 

 품목순위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사이즈)

스타벅스 카페라떼 

(Tall사이즈)

맥도날드 햄버거

(빅맥, 단품)

맥도날드 햄버거

(빅맥, 세트)

1

독일

4,344 원 

프랑스

5,379 원 

 프랑스

6,332 원 

독일

10,336 원 

2

중국

4,263 원 

독일

5,161 원 

독일

5,978 원 

프랑스

10,213 원 

3

일본

4,217 원 

중국

4,945 원 

호주

5,796 원 

네덜란드

10,009 원 

4

한국

4,100 원 

네덜란드

4,698 원 

스페인

5,788 원 

호주

9,716 원 

5

프랑스, 

네덜란드

4,017 원 

한국

4,600 원 

캐나다

5,075 원 

스페인

8,920 원 

한국

 

 

 

 

8위

4,500 원

9위

5,900 원



 

  이번 국제물가조사 결과, 한국이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난 9개 품목에 대해 10개국 평균 가격과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국내산 쇠고기가 10개국 평균 가격과 비교해 가장 가격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10개국 평균가격과 한국의 가격을 비교해 본 결과, 한국이 10개국 중 가장 비싼 9개 품목 모두 10개국 평균보다 최소 1.5배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국내산 쇠고기 가격차는 한국이 10개국 평균에 비해 2.8배(95,782원)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나 9개 품목 중 가격 차이가 가장 컸다.

 

   <10개국 중 한국이 가장 비싼 품목과 10개국 평균 가격의 가격차>

품목

제품

한국 

가격(원)

10개국 

평균가격(원)

한국vs10개국평균 가격차 

축산물

쇠고기(국내산, 등심 1kg)

148,029

52,247

2.8배(95,782원)

수입쇠고기(수입산, 등심 1kg)

65,023

41,707

1.6배(23,316원)

돼지고기(국내산 삼겹살 1kg)

37,158

16,261

2.3배(20,897원)

수입

과일

바나나(1다발)

13,200

8,041

1.6배(5,159원)

파인애플(1개)

6,381

4,041

1.6배(2,340원)

자몽(1개)

3,015 

1,683

1.8배(1,332원)

망고(1개)

6,834

2,635

2.6배(4,199원)

음료

코카콜라(1.5L)

3,195

2,182

1.5배(1,013원)

주류

칠레산와인

(몬테스 알파 까르네쇼비뇽,750ml)

42,580

22,816

1.9배(19,764원)

 

 

 소비자시민모임이 진행했던 2015년과 2020년 가격 변동을 비교해 본 결과, 바나나의 경우 2015년에 비해 99.1% 가격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나 조사품목 중 가격 변동이 가장 컸다. 국내산 쇠고기는 2015년에 비해 38.8%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21개 조사 품목 중 2015년에 비해 가격이 10%이상~20%미만 인상된 품목은   수입포도, 키위, 파인애플, 칠레산와인, 수입맥주 버드와이저 5개 품목이었고, 20%이상~30%미만은 수입쇠고기, 망고, 코칼콜라, 수입맥주 하이네켄 4개 품목, 30%이상~50%미만 국내산 쇠고기, 국내산 돼지고기, 자몽, 오렌지 4개 품목, 50%이상은 바나나(99%) 1개 품목의 가격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변동이 ±10% 수준으로 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품목은 레몬, 밀가루, 설탕, 올리브유, 우유, 오렌지주스, 펩시콜라 7개 품목이었다.

 

<품목별 2015년 대비 2020년 한국의 가격변동>

품목

2020년 가격

2015년 가격

증감율

국내산 쇠고기 등심 1kg

148,809 원 

106,623 원

▲ 38.8%

호주산 수입 쇠고기 등심 1kg

65,023 원 

50,571원 

▲ 28.6%

국내산 돼지고기 삼겹살 1kg

37,158 원 

27,930 원 

▲ 33.0%

수입 포도(레드글로브) 700g

7,462 원 

6,444 원

▲ 15.8%

바나나 1다발

13,200 원 

6,629 원

▲ 99.1%

레몬 1개

1,082 원 

1,046 원 

▲  3.4%

자몽 1개

3,015 원 

2,110 원 

▲ 42.9%

오렌지 1개

1,790 원 

1,339 원 

▲ 33.7%

키위 1개

1,171 원 

1,050 원 

▲ 11.5%

파인애플 1개

6,381 원 

5,447 원

▲ 17.1%

망고 1개

6,834 원 

5,384 원

▲ 26.9%

밀가루 중력분 1kg

1,430 원 

1,468 원

▼  2.6%

설탕 1kg

1,747 원 

1,741 원 

▲  0.3%

자국 브랜드 올리브오일 1L

12,457 원 

13,192 원 

▼  5.6%

우유 1L

2,631 원 

2,598 원 

▲  1.3%

오렌지주스 1.5L

3,478 원 

3,519 원 

▼  1.2%

코카콜라 1.5L

3,195 원 

2,491 원 

▲ 28.3%

펩시콜라 1.5L

2,063 원 

2,102 원 

▼  1.9%

칠레산 와인 

몬테스 알파 카버네 소비뇽

42,580 원 

38,875 원

▲  9.5%

수입 맥주 버드와이저 

1,985 원 

1,748 원

▲ 13.6%

수입 맥주 하이네켄 

2,696 원 

2,106 원

▲ 28.0%

 

■ 소비자시민모임 제언

 

 국내 축산물 공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한 유통구조 개선 필요

   이번 국제물가 조사 결과 국내산 쇠고기뿐만 아니라, 수입 쇠고기, 국내산 돼지고기 가격 모두 한국이 해외 다른 나라와 비교해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5년 전인 2015년과 비교해 축산물 가격은 30% 이상 인상되었다. 코로나19로 축산물의 가정 소비가 늘어나면서 국내산 축산물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있다. 최근 축산물의 가격 인상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조류독감 등으로 축산물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한 것도 가격 인상의 원인이 되고 있어, 축산물 공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한 유통구조 개선이 필요함 

 

 수입농산물 물량 확보 및 우리 농산물 자급률 향상을 위한 정책 필요

   수입과일의 경우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입국가의 생산과 수출이 원활하지 않거나, 국가 간 물자이동 감소 등 다방면의 요인이 가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작년에는 긴 장마와 태풍 등으로 국내산 과일의 작황 부진으로 공급량이 준 것도 수입 과일의 가격 인상 원인이 되었다. 

 

   수입 과일은 국내산 과일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고, 선호 경향도 높아져 소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 19와 이상기후 등 불안한 국제 상황에서 수입 의존이 큰 농산물의 경우 생산 국가의 수입 지연이나 물류 대란 등의 가격 상승 요인이 있어 정부는 수입 농산물의 물량 확보, 수입국가의 다변화 등의 대책과 함께 우리 농산물의 자급률을 높이고, 국산 과일의 수급 안정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