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국산 완성형 버섯 배지’ 성장 가능성 확인한다

- 표고, 느타리 등 3.4톤, 10일 동남아시아에 시범 수출 -

 최근 전 세계적인 버섯 생산은 중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완성형 버섯 배지’ 시스템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 표고버섯은 전반적으로 완성형 배지를 사용하고, 양송이는 선진국 위주로 완성형 배지를 재배하며, 국내에서도 45% 이상 사용하고 있음. 느타리 등 일부 버섯은 외국에서 완성형 배지 형태로 수입되고 있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농진고-3년차 시험(배지조성-기본배지).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30pixel, 세로 865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11월 18일 오후 5:03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G988N 프로그램 이름 : G988NKSU1BTI3 F-스톱 : 1.8 노출 시간 : 1/59초 IOS 감도 : 25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5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가운데 중점 평균 측광 EXIF 버전 : 0220

                                     <표고 완성형 배지-‘농진고’ 품종>

 

 완성형 배지(영양체)는 톱밥이나 짚을 재료로 만든 배지에 미리 버섯 씨균(종균)을 접종한 것으로, 온도와 습도, 빛 등 재배 조건만 맞춰주면 바로 버섯이 나온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세계적인 버섯 산업 흐름에 대응하고 국내에서 개발한 완성형 배지의 생산성을 검정하고자 충청북도·강원도·경상남도농업기술원, 한국종균생산협회와 공동으로 10일 베트남에 국산 완성형 배지를 시범 수출한다.

 

 이번 수출은 농촌진흥청 수출농업지원과에서 주관하는 ‘수출용 버섯 종균 제조 기술 개발’의 공동 과제에 따른 것으로 지난해 10월에 이어 두 번째다.

 

 충청북도·강원도·경상남도농업기술원에서 배지를 제조하고,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씨균(종균) 생산기술을, 한국종균생산협회는 배지 검역 등 수출 전반을 맡아 진행했다.

 

 수출 물량은 표고버섯(‘농진고’ 품종) 3톤, 느타리(‘춘추2호’ 품종) 0.3톤, 느티만가닥버섯(‘햇살’ 품종) 0.1톤이다.

 

  10일 검역 후, 11일 선박으로 실어 보내면 베트남 현지에 도착하기까지 일주일 정도 걸린다. 이후 농가에서 배지 품질을 확인하고 각 품목을 재배해(느타리 10일, 느티만가닥버섯 3개월, 표고 4개월 이상 소요) 생산성을 검정할 계획이다.

 

 지난해 10월 첫 번째 수출한 완성형 배지에서 자란 우리 표고는 생산량이 많고 품질도 좋아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됐다.

 

 한국종균생산협회 황선일 국장은 “현재 느타리, 큰느타리 등 다양한 버섯이 완성형 배지 형태로 수입되는 상황에서 경쟁력 있는 국내 제조 기술을 하루빨리 확보해야 한다.”라며 “이번 수출이 국산 완성형 배지 제조 안정화 기술을 확립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장갑열 과장은 “올 8월에는 국산 양송이 품종이 배양된 완성형 배지도 시범 수출할 예정이다.”라며 “올해 말에는 표고, 느타리, 양송이, 느티만가닥버섯, 4품목에 대한 완성형 배지 제조법을 책자로 발간해 우리나라 버섯 배지 제조 기술이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저장기술 현장 적용 확대’ 여름철 배추 수급 사전 점검
농촌진흥청은 시에이(CA)저장고, 엠에이(MA) 기술 등 저장 기술을 현장에 확대, 적용해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7월 10일 충북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APC)를 찾아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도입 현장을 둘러보고, 보급 과정에서 생긴 어려움과 개선점을 논의했다. *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저장된 농산물의 생리적인 특성을 자동으로 감지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는 2세대 시에이저장고 최근 이상기후로 농산물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이를 완화할 방안으로 능동형 시에이(CA) 저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봄배추를 장기 저장해 여름철에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2024년 개발,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에 설치한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에 지난달 10일 봄배추를 입고했다. 앞으로 3개월 동안 저장 중 신선도를 실증할 계획이다. 이곳에 저장된 봄배추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이티, aT)가 정부 수매로 확보한 약 69톤과 민간업체 3곳에서 각각 7톤씩을 제공해 모두 90톤이다. 권재한 청장은 “대형 유통센터에서 이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