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맑음동두천 14.3℃
  • 흐림강릉 10.8℃
  • 맑음서울 15.7℃
  • 대전 17.0℃
  • 구름많음대구 16.7℃
  • 흐림울산 15.6℃
  • 흐림광주 17.9℃
  • 흐림부산 16.2℃
  • 맑음고창 13.5℃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14.8℃
  • 구름많음보은 16.3℃
  • 흐림금산 16.5℃
  • 구름많음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6.2℃
  • 흐림거제 16.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장마 뒤 벼 안정생산 병 관리에 달려

- 잦은 비로 습하면 이삭도열병, 세균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등 나타날 수 있어
- 병 발생 여부 자주 살피고 등록 약제로 제때 방제해야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장마가 그치고 나타날 수 있는 병에 대비해 안정생산을 꾀할 수 있는 벼 생육 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벼 이삭이 나오기 시작하는 시기에 잦은 비로 다습한 환경이 지속되면 이삭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이삭도열병, 세균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이 나타날 수 있다. 벼 생육 후기에 계속 발생하는 흰잎마름병과 깨씨무늬병 여부도 수시로 살펴 발견 즉시 방제해야 한다.

 

 도열병은 발생 부위에 따라 크게 잎도열병, 이삭도열병으로 구분된다. 그중 이삭에 발생하는 이삭도열병은 3일 이상 연속으로 비가 내려 습도가 높을 때 온도가 25도(℃) 정도로 낮아지면 잘 발생한다. 감염되면 이삭이 회백색을 띠다가 이삭목을 중심으로 검게 변하고, 병이 심해지면 줄기 사이 마디가 검게 변하며 부러지기도 한다.

 

 

 이삭도열병 피해를 막으려면 이삭이 나오기 전후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 병 발생 전에는 예방을 위해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아족시스트로빈, 트리사이클라졸 등의 성분이 포함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다. 병 발생 후에는 헥사코나졸 등의 치료 효과가 있는 약제 또는 아족시스트로빈, 트리사이클라졸 등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모두 가진 약제를 살포한다. 또한, 질소질 비료를 표준 시비량을 참고해 적절하게 공급한다.

 

 

 세균벼알마름병은 이삭이 나오는 전후 30도 이상의 고온과 다습한 환경이 지속될 때 잘 발생한다. 여름철 고온 현상과 잦은 비로 세균벼알마름병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살펴 초기에 병을 방제한다. 감염되면 이삭이 팬 직후에 벼알이 맺히는 부분부터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해 벼알 전체가 변색한다. 병이 심해지면 이삭이 여물지 않아 쌀 수확량이 줄어들고 품질도 나빠진다. 가스가마이신, 발리다마이신에이 성분이 들어있는 항생제 계통의 약제로 방제한다.

 

 이삭누룩병은 이삭이 패기 전후 비가 자주 내려 다습할 때, 기온이 25도 내외로 낮고 햇볕이 적으면 잘 발생한다. 발생 초기에 이삭에 둥근 공 모양의 황록색 돌출물(곰팡이 포자)이 생기고 점차 검은색으로 변해 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된 약제를 뿌려 방제하고, 질소질 비료를 많이 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흰잎마름병은 장마와 태풍, 침수 등 물에 의해 확산한다. 발생 초기에는 잎끝이 하얗게 마르다가 점차 식물체가 말라 죽는다. 광합성이 원활하지 않아 쌀 품질과 수확량이 떨어진다. 병을 예방하려면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중간기주인 잡초를 제거한다. 특히 논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물길을 정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트렙토마이신, 옥솔린산 등의 항생제 계통 약제로 방제한다.

 

 깨씨무늬병은 양분이 떠내려가기 쉬운 사질토나 오랜 기간 벼를 재배한 논에서 잘 발생한다. 초기에는 황색 테두리에 짙은 갈색 타원형 무늬가 깨알처럼 생기고 병이 심해지면 크기가 점점 커진다. 2023년 가을에 태풍과 잦은 비*로 병이 증가한 사례**가 있다. 사질토 및 상습 발병지에서는 미리 비료를 뿌려 벼 생육을 돕고, 병이 발생하면 오리사스트로빈, 트리사이클라졸, 헥사코나졸 계열 등의 약제로 방제한다.

 

 

 * 2023년 8월 중순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았고 9월 강수일수는 12.1일로 평년(9.3일)보다 많았음

 ** 깨씨무늬병 발생면적(h): (평년) 1만3,785 (2023) 3만 285 (220% 증가)

 

 약제는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등록된 약제를 사용한다. 약제 관련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박진우 과장은 “장마 뒤 나타날 수 있는 각종 병 피해를 줄이려면 수시로 병 발생 여부를 살펴 제때 방제한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생각을 심으면, 세계가 자랍니다.」 농식품부, 국제농업협력(ODA) 민관협력 모델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 이하 농정원)는 국제기구, 기업, 정부 간 국제농업협력(ODA) 사업의 협업모델을 발굴하고, 기업의 사업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민관협력 모델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국민과 기업이 국제농업협력(ODA)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우리 농식품 전후방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할 수 있는 민관협력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농업협력에 관심 있는 국민, 기업, 업체, 대학(원)생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제안 분야는 ▴스마트팜, 농업기반, 농식품 가공·유통, 농약·비료·농기계·종자(종묘) 등 농식품 및 농산업 전후방 산업, ▴농업 정보통신기술, 농업정보시스템, 교육 및 전문인력 육성 등 ICT 및 교육분야, ▴탄소중립, ESG, 동식물 의약품 등 환경 분야로 구성된다. 참가자는 농식품부 및 농정원 홈페이지에서 공모 계획을 확인한 후, 이메일(jslee0817@epis.or.kr)을 통해 4월 23일(수)부터 3주간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다. 제출된 제안서는 서류심사와 발표심사를 거쳐 5월에 최종 수상작을 선정할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광주지원, 온라인 자체평가 설명회 개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광주지원은 4월 17일(목)에 2025년 축산물 자체평가 대상 업체를 대상으로 「2025년 광주지원 온라인 자체평가 설명회」를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해 실시간으로 개최했다. 자체평가는 해썹 인증업체가 관리기준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자체적으로 평가하여 미흡한 부분은 스스로 개선·보완함으로써 자율적 위생관리 능력을 제고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광주지원 관할 축산물 해썹 인증업체의 자율적 위생관리 역량 강화를 목표로 마련된 이번 설명회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한 실시간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자체평가 제출 대상 업체 해썹 담당자 60명이 참석하여 궁금한 사항에 대해 자유롭게 질의하며 ‘온라인 자체평가 시스템’ 이용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다. 이번 설명회의 주요 내용은 ▲‘식품 및 축산물 자체평가 따라하기’ 지침을 활용한 자체평가 방법 및 주의사항 안내 ▲‘온라인 자체평가 시스템’ 사용방법 시연 ▲질의응답 등이다. 설명회에 참석한 축산물 업체 관계자는 “그동안 자체평가를 진행하면서 궁금했던 점이 많았는데, 실시간으로 질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