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과기정통부, 2024년 정보보호 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 국내 정보보호 산업의 매출액, 수출액, 인력 현황 등 조사
-‘23년 기준 정보보호 산업 규모는 16.8조 원, 전년대비 4% 성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회장 조영철)와 함께‘23년 국내 정보보호 산업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2024 정보보호 산업 실태조사」 (국가승인통계 승인번호 제127013호) 결과를 발표하였다.

 

  정보보호 산업 실태조사는 정보보호 기업의 규모, 매출, 인력 현황 등을 조사하여 국내 정보보호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파악하고, 향후 정보보호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2023년 기준 정보보호산업 개황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래프.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0pixel, 세로 289pixel

 

  조사 결과, 국내 정보보호 기업은 1,708개사로 전년도 1,594개사 보다 약 7.2% 증가했으며, 그 중 정보보안 기업은 814개사(전년 대비 10.4%↑), 물리보안 기업은 894개사(전년 대비 4.3%↑)로 나타났다.

 

(단위: 개사)

 

구분

정보보안

기업 수

물리보안

기업 수

합계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2023

814

10.4

894

4.3

1,708

7.2

2022

737

9.2

857

1.1

1,594

5.1

 

 ‘23년 국내 정보보호 산업 전체 매출액은 약 16조 8,3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0% 상승했으며, 정보보안 약 6조 1,455억 원(전년 대비 9.4%↑)과 물리보안 약 10조 6,856억 원(전년 대비 1.2%↑)으로 조사되었다.

 

  정보보안 분야*는 네트워크 보안 해결책(솔루션), 보안 체계 유지관리·보안성 지속 서비스가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물리보안 분야**는 출입통제 장비 등의 매출이 증가한 반면, 출동・영상보안 서비스 등의 매출이 감소하였다.

 

 

   * 네트워크보안 해결책(솔루션) 1조 8,030억 원(19.5%↑), 보안체계 유지관리・보안성지속서비스 6,644억 원(23%↑)

  ** 출입통제장비 1조 2,269억 원(12.8%↑), 출동보안서비스 1조 8,026억 원(10.6%↓), 영상보안서비스 3,392억 원(31%↓)

 

(단위: 백만원)

 

구분

정보보안

매출액

물리보안

매출액

합계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2023

6,145,479

+9.4

10,685,568

+1.2

16,831,047

+4.0

2022

5,615,295

+23.4

10,563,226

+13.4

16,178,521

+16.7

2021

   4,549,734

+16.0

   9,311,446

+12.1

13,861,180

+13.4

 

 ‘23년 국내 정보보호 산업 전체 수출액은 약 1조 6,800억 원으로 16.3% 감소하였으며, 정보보안 약 1,478억 원(전년 대비 4.8%↓), 물리보안 약 1조 5322억 원(전년 대비 17.2%↓)으로 조사되었다.

 

  정보보안 분야*는 네트워크 보안 해결책(솔루션) 등의 수출이 감소하였고, 보안 자문 및 보안관제 서비스의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물리보안 분야**는 보안용 카메라, 보안용 저장장치 수출이 감소한 반면, 생체인식 보안체계의 경우 전년에 이어 수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 네트워크 보안 해결책(솔루션) 500억 원(30%↓), 보안자문서비스 116억 원(93.6%↑), 보안관제서비스 86억 원(138.6%↑)

  ** 보안용 카메라 6,815억원(25.4%↓), 보안용 저장장치 1,695억원(22%↓), 생체인식 보안체계 2,136억원(110.5%↑)

 

(단위: 백만원)

 

구분

정보보안

수출액

물리보안

수출액

합계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2023

147,757

△4.8

1,532,245

△17.2

1,680,002

△16.3

2022

155,267

+1.7

1,851,469

△3.8

2,006,736

∆3.4

2021

    152,604

+4.8

   1,924,176

+8.8

   2,076,780

+8.5

 

 ‘23년 정보보호 기업의 전체 종사자 수는 총 60,308명으로 전년 대비 7.0% 감소하였으며, 정보보안* 종사자 수는 23,947명(전년 대비 4.1%↑)으로 증가한 반면, 물리보안** 종사자 수는 36,361명(전년 대비 13.1%↓)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엔지니어 9,039명(24%↑), 연구·개발 6,891명(9.5%↑), 정보보안 관제 2,656명(15.9%↓)

  ** 하드웨어직 4,122명(23.9%↑), 설계, 시공 및 감리직 3,112명(30.%↑), 영업직 3,073명(23.6%↓), 시설 관리 경비 (△약 5,000명 추산)

 

(단위: 명, %)

 

구분

정보보안

종사자수

물리보안

종사자수

합계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2023

23,947

+4.1

36,361

△13.1

60,308

△7.0

2022

22,997

+29.9

41,834

△8.8

64,831

+2.0

2021

17,699

+11.8

45,863

+18.0

63,562

+16.2

 

  김남철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철통 보안(제로트러스트)의 도입과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해 보안 사고틀이 변화하면서, 정보보호 산업에서는 기술의 혁신과 인적 자원의 고도화, 제도 개선 등의 다양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면서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국내 정보보호 산업이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써, 앞으로도 정확하고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은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www.ksecurity.or.kr)과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www.kisia.or.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햇빛을 통한 소득창출 마을현장 방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8월 24일 여주시 구양리 ‘마을태양광 발전소’를 방문하였다. 구양리 마을은 주민 주도형 마을태양광사업의 모범사례가 된 곳으로 송미령 장관은 직접 태양광 발전 현장을 둘러본 뒤 마을 주민들과 농업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구양리 ‘마을태양광 발전소’는 ’22년 산업부의 ‘햇빛두레 발전소’ 시범사업 지원을 받아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였다. 발전시설은 마을 공동 소유의 마을회관, 체육시설, 마을창고, 잡종지(농지 전용) 등에 1MW 규모이다. 이를 통해 나오는 수익은 마을협동조합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며, 마을식당 무료급식 운영, 마을 행복버스 운행 등에 쓰이고 있다. 이런 모델을 바탕으로 새 정부는 국정과제로 주민공동체 주도의 햇빛소득마을 500개 조성을 발표하였다. 새정부의 ‘햇빛소득마을’은 마을 공동체를 통해 농지·저수지 등 활용 가능한 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발전 수익을 마을 공동기금으로 활용하는 사업모델을 말한다. 특히, 영농활동과 발전사업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을 적극 도입하여 농지의 기능을 보전하면서 발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태양광 발전시설에 대한 마을 경관 훼손, 발전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식품

더보기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 하림, ‘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요리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The미식(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인라면, 즉석밥, 요리면, 국물요리, 요리밥, 육즙만두, 덮밥소스, 밀키트, 요리양념 등에 이은 더미식의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용기째 전자레인지 혹은 에어프라이어 조리만으로도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트레이 요리 제품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을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요리 준비나 치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집들이나 홈 파티뿐만 아니라 여행, 캠핑 등의 야외 모임에서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한 끼 메뉴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더미식 트레이요리는 ‘닭다리살 구이’, ‘닭가슴살 구이’, ‘순살 닭갈비’, ‘순살 찜닭’, ‘제육볶음’, ‘함박스테이크’, ‘토마토미트볼파스타’등 총 7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트레이 형태로 포장돼 별도의 그릇 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단품 요리 또는 밥반찬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닭다리살 구이’와 ‘닭가슴살 구이’는 100%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했으며, 닭다리살과 닭가슴살 각각의 부위를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