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1월 가뭄 예·경보 발표

- 전국 저수지 저수율 평년 수준 이상 유지
- 기상 전망과 용수 수급 상황 모니터링 등 가뭄상황 지속 관리

정부는 전국 가뭄 상황에 대한 1월 가뭄 예·경보를 발표했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의 100.0%(847.7㎜)로, 경북 영덕군(약한 가뭄)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정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6개월(’24.7.3.~’25.1.2.) 전국 누적 강수량 현황>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

847.7

882.2

845.6

857.0

822.8

870.2

971.0

841.9

856.0

672.8

926.3

809.6

평년값* (㎜)

848.4

919.1

943.3

947.0

935.9

826.4

829.4

855.7

807.7

728.0

894.4

921.3

평년비** (%)

100.0

96.0

90.4

91.3

88.5

105.5

117.5

98.3

106.1

92.5

103.0

88.1

   * 강수량(평년값) : 각 지점의 강수량(평년값)의 총합을 지점수로 나눈 값

  ** 평년비 : 각 지점의 평년비를 먼저 구한 후, 각 지점의 평년비 총합을 지점수로 나눈 값

 *** 전국 : 제주를 제외한 62개 지점

 

  2025년 1월 강수량은 평년보다 대체로 적고 2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며 3월 강수량은 평년보다 대체로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 평년비슷범위(㎜): (1월) 17.4~26.8, (2월) 27.5~44.9, (3월) 42.7~58.5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77.1%로 평년(1995~2024년, 72.3%) 대비 106.6%로 높고, 지역별로도 101.0%(전북) ~ 112.0%(전남)로 평년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 전국 및 시도별 평균 저수율 현황(‘25.1.2. 기준) >

 

 

구 분

전국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전체

영서

영동

저수율(%)

77.1

89.7

89.6

90.2

88.6

84.9

87.7

71.3

72.0

73.2

79.7

평년값(%)

72.3

82.6

83.0

83.2

82.5

78.6

81.1

70.6

64.3

72.3

71.3

평년대비(%)

106.6

108.6

108.0

108.4

107.4

108.0

108.1

101.0

112.0

101.2

111.8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의 저수량은 각각 예년*의 126.8%, 109.3% 수준으로 전국 생활·공업용수는 정상 공급 중이다.

 

    * 댐을 준공한 이후부터 전년(‘24년)까지 관측된 저수량의 평균값

 

  다만, ‘보령댐’ 공급지역인 충남 서부 8개 시·군*은 약한 가뭄(관심) 단계(’25.1.2.~)로,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보령댐 도수로를 가동하는 등 용수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관리하고 있다.

 

    * 보령, 서산, 당진, 서천, 예산, 청양, 태안, 홍성

 

<전국 다목적댐 · 용수댐 저수량 현황(’25.1.2. 기준)>

 

구 분

다목적댐

용수댐

전체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기타

저수량(백만㎥)

8,551.6

4,042.1

2,031.0

1,489.0

757.6

231.9

238.0

예년값(백만㎥)

6,744.8

3,065.7

1,622.9

1,321.6

561.2

173.4

217.8

예년대비(%)

126.8

131.8

125.1

112.7

135.0

133.7

109.3

 

  또한, 일부 섬 지역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생활용수 비상급수 현황(’25.1.2. 기준)>

 

구 분

비상급수 현황

섬 지역

4개 시·군·구* 25개소(2,751명)

 * 인천 중구‧옹진군, 전남 진도군, 경남 통영시

 

 앞으로도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뭄 상황을 매주 점검하면서 가뭄 예‧경보를 매월 발표하고, 가뭄 예방대책을 지속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농업

더보기
‘새 정부 농정공약 달성’ 중앙-지방-민간 협력 강화 방안 모색
농촌진흥청은 7월 7일 오후, 본청에서 전국 9개 도* 농업기술원장과 특광역시 농업기술센터 소장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의회를 열고, 새 정부 주요 농정공약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권재한 청장 주재로 열린 이번 업무협의회에서는 농업 분야 주요 정책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중점 추진 중인 농업연구·개발 및 기술 보급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구체적 민관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농촌진흥청은 농업 생산성 향상과 소득 사업화, 지속 가능한 농업 구현을 위한 첨단기술 융복합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및 확산,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을 활용한 미래 식품 기술 혁신, 케이(K)-종균 산업 육성 및 전략 품목 수출도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이상기상 등 기후 위기에 대응해 안정적 식량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자급률 향상과 저탄소 농업 육성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산업재해 수준의 농작업 재해를 예방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해 건강하고 안전한 농작업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날 권 청장은 모두 발언에서 “정부가 민생 물가 안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주요 농작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하림, 바다의 감칠맛을 담아 ‘더미식 오징어육즙교자’ 출시
‘4세대 육즙만두’ 시장을 개척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더미식(The미식) 오징어육즙교자’를 출시하며 육즙만두 라인업을 한층 강화한다고 8일 밝혔다. ‘더미식 오징어육즙교자’는 진한 육즙을 가득 채운 ‘더미식 육즙만두 시리즈’의 신제품으로, ‘오징어라면’과 ‘오징어 초빔면’에 이은 ‘더미식 오징어 시리즈’의 세 번째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100% 국내산 돼지고기에 신선한 오징어를 그대로 썰어 넣어 해물 특유의 감칠맛을 살리는 동시에 풍부하고 깊은 육즙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양파, 부추, 마늘, 대파 등 4가지 국내산 생채소를 큼직하게 넣어 오징어의 쫄깃한 식감과 조화를 이루며 씹는 즐거움까지 더했다. 만두피는 맹물이 아닌 3시간 동안 우려낸 육수로 반죽해 깊은 맛과 고소함을 더했다. 또 1만 번 이상 치대어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구현했으며, 하림만의 독자적인 공정을 통해 육즙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설계해 한입 베어 물면 바다 향 가득한 진한 육즙이 입안 가득 퍼진다. 하림 더미식은 이번 신제품을 통해 육즙만두 라인업을 총 12종으로 확대했다. 23년 10월 육즙고기·육즙새우·김치·땡초고기 등 교자 4종과 소고기표고·묵은지·부추새우 등 손만

산림

더보기
공정한 예약, 모두에게 열린 휴식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7일, 휴양림 예약사항의 양도·양수 금지 제도에 대한 국민적 인식 제고와 공정한 이용문화 정착을 위해 국내 대표 포털사인 네이버와 협력하여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업은 양도·양수로 인한 불공정 예약 사례를 예방하고, 정당한 절차를 통한 휴양림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취지이며, 민간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국민에게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7일부터 네이버 포털 사이트 내에서 휴양림 예약사항의 양도·양수 금지와 관련된 안내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용자는 숲나들e 누리집(foresttrip.go.kr)의 공지사항을 통해 양도·양수 금지 사유와 제도 안내, 위반 시 제재 내용 등 핵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예약사항의 양도·양수 행위가 공정한 휴양림 이용질서를 저해한다고 판단, 앞으로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양도·양수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더 많은 국민에게 올바른 이용 질서를 알리고, 누구나 공정하게 휴양림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국립자연휴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