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7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4℃
  • 구름많음강릉 19.8℃
  • 흐림서울 17.4℃
  • 맑음대전 19.7℃
  • 구름많음대구 18.5℃
  • 구름많음울산 21.3℃
  • 구름조금광주 19.8℃
  • 구름많음부산 19.7℃
  • 구름조금고창 19.0℃
  • 흐림제주 19.4℃
  • 구름많음강화 14.6℃
  • 구름조금보은 18.0℃
  • 구름조금금산 19.7℃
  • 구름많음강진군 19.0℃
  • 구름많음경주시 21.4℃
  • 구름조금거제 20.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22년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연구개발 활동 조사현황 발표

- ‘22년 연구개발(R&D) 투자 52.89조원(전년 대비 12.2% 증가),

연구개발 참여 인원 23.58만명(전년 대비 2.7% 증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2년에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연구개발(R&D)에 52.89조원(전년 대비 5.76조원 증가, 12.2%↑)을 투자하였고 같은 기간 연구개발에 참여한 인원*은 23.58만명(전년 대비 6.3천명 증가, 2.7%↑)이라고 밝혔다.

 

  * 국제기준인 OECD가이드(프라스카티 매뉴얼)에 따라 상근상당(FTE, Full Time Equivalent) 인원으로 산출했을 때 21.38만명(전년 대비 5.7천명 증가, 2.7%)

 

 < 연구개발비 추이 (조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900008.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8pixel, 세로 464pixel

 

< 연구개발 인력 추이(만명) >

 

 

연구개발 참여 총 인원(HC 기준)

상근상당 연구개발 인력(FTE 기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bc0004.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1pixel, 세로 45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bc0002.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8pixel, 세로 460pixel

* H.C.(Head Count) : 인원 수

  F.T.E.(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정도에 따라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인력(상근상당 인력)

 

 2022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연구개발비 52.89조원은 전산업분야 기업들의 연구개발비 89.42조원의 59.1%에 해당하는 규모로서 대기업(42.20조원, 79.8%)의 투자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벤처기업(4.91조원, 9.3%), 중견기업(3.23조원, 6.1%), 그리고 중소기업(2.55조원, 4.8%)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 업종별로는 반도체·전자부품 등 정보통신방송기기업(48.18조원, 91.1%)이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3.95조원, 7.5%)이나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0.75조원, 1.4%) 보다 높았다. 그리고 정부·공공재원(1.99조원, 3.8%)에 비해 민간‧해외 재원(50.90조원, 96.2%)을 더 활용했으며, 이론연구 중심의 기초연구(6.19조원, 11.7%)나 응용연구(8.59조원, 16.2%) 보다는 시장수요에 맞춘 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한 개발연구(38.11조원, 72.1%)에 더 많은 금액이 투자되었다.

 

< 2022년 정보통신기술 기업 연구개발비 투자 주요 항목 분석  >

 

 

① (기업유형별) 대기업 42.20조원(79.8%) > 벤처기업 4.91조원(9.3%) > 중견기업 3.23조원(6.1%) > 중소기업 2.55조원(4.8%)

 

② (업종별) 정보통신방송기기업 48.18조원(91.1%) >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 3.95조원(7.5%) >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 0.75조원(1.4%)

 

③ (단계별) 개발연구 38.11조원(72.1%) > 응용연구 8.59조원(16.2%) > 기초연구 6.19조원(11.7%)

 

④ (재원별) 민간·해외 50.90조원(96.2%) > 정부·공공 1.99조원(3.8%)

  

2022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연구개발 참여인원(HC)은 23.58만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년보다 약 6천3백명(2.7%) 증가한 수치로서 전산업 분야 연구개발 참여인원인 52.30만명의 45.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 비율을 고려하여 산출한 상근상당 연구인력(FTE) 기준으로는 21.38만명으로 전년 대비 5천7백명(2.7%) 증가했으며 전산업 분야 상근상당 연구인력(45.74만명) 대비해서도 46.7%의 비율을 보였다.

 

 연구개발 참여인원(HC)을 역할별로 구분할 경우, 연구원 20.41만명(86.6%), 연구보조 2.51만명(10.6%), 행정지원 0.66만명(2.8%)이었으며, 이 중 기업  유형별 연구원은 대기업이 9.68만명(47.4%)으로 가장 많았고 벤처기업 5.72만명(28.0%), 중소기업 3.27만명(16.0%), 중견기업 1.74만명(8.5%) 순이었다. 한편, 상근상당 연구인력(FTE)을 역할별로 구분할 경우에는 연구원 19.10만명(89.3%), 연구보조 1.98만명(9.3%), 행정지원 0.30만명(1.4%)으로 연구원   비중이 전년보다 0.6%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 전영수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 ICT 기업들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확대에 힘입어서 ICT 분야 수출경쟁력이 지속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정부는 민간과 역할을 분담해서 기업이 직접 투자하기 힘든 미래 핵심기술에 대한 도전적 R&D 투자를 확대하는 등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보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민간 투자 활성화 지원과 제도개선 등을 위해서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본 통계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202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조사기관 : 73,661개) 결과 중 ICT 기업(17,688개)에 관한 항목을 별도 분석한 것으로, 국가통계 포털(http://kosis.kr)과 ICT통계포털(http://www.itstat.go.kr) 등에서   일반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농업

더보기
농식품 인재를 육성할 현장 전문가를 모십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대한민국 농수산식품 유통과 수출·식품산업 분야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콘텐츠’와 ‘강사 인력풀’을 모집한다. 교육 콘텐츠 분야는 상·하반기로 나눠 접수한다. 상반기 모집은 6월 30일까지이며, 하반기 모집은 8월 1일부터 11월 5일까지 진행된다. 선정 기준은 환경 변화와 시장 트렌드에 부합하고 기존 교육과정과 차별화된 콘텐츠 여부로, 우수한 콘텐츠를 제안한 강사는 해당 과목의 강의 우선권을 부여받고, 2026년 정규 교육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강사 인력풀은 관련 분야 종사자, 현직 강사, 관련 학위·자격증 보유자로서 교육원에서 강의가 가능한 자를 대상으로 11월5일까지 모집한다. 선정된 강사는 향후 교육원 강사로 활동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모집은 ▲지역먹거리 ▲수출 ▲도매시장 ▲푸드테크 ▲산지유통 ▲창업 ▲생산·수급 ▲디지털 전환 등 총 8개 핵심 분야에 ‘펫푸드 산업’ 등의 기타 영역도 포함해 현장과 미래를 아우르는 폭넓은 교육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기운도 유통이사는 “농수산식품유통교육원은 매년 1만여 명의 교육생을 배출하는 명실상부한 농수산식품 산업 분야 대표 전문교육 기관”이라며, “급변하는

축산

더보기
코로나19 이후 세계 축산 동향은? … 가치사슬 관점에서 살펴본 각국의 축산유통 정보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축산물의 생산, 도축‧가공, 소비, 교역 등의 과정을 가치사슬 관점으로 살펴본 ‘2024년 해외 축산 정보’ 보고서를 발간했다. * 가치사슬이란, 상품‧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원재료, 노동력, 자본 등의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을 말함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 이후, 각국에서는 축산물 공급 체계에서 취약점이 발견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축산정책 과제가 추진되었다. 미국과 일본은 유통망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 지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은 생산과 유통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고 소비자 수요 변화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의‘2024년 해외 축산 정보’에는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일본 △스페인 △뉴질랜드 등 주요국의 축산업 쟁점에 대한 심층 조사와 주요 교역 대상 국가*의 축산업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조사 내용이 들어있어 전 세계 축산업의 현황과 변화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 주요 교역 대상 국가(총 27개국): 미국, 캐나다, 브라질, 프랑스, 독일, 스페인,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일본,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식품

더보기
우유 없는 아몬드 우유? 식물성 음료는 우유가 아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식물성 음료’를 ‘우유’로 혼동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우유와 식물성 음료는 원재료부터 영양 성분, 가공 방식까지 본질적으로 다른 제품”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우유는 뼈 건강과 근육 회복, 신경계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강상 이점을 지닌 천연식품으로, 청소년과 성인의 기초 영양을 책임지는 대표적인 단백질·칼슘 공급원이다. 또한 살균과 균질화 외 별다른 가공 없이 제조되며, 브라질 NOVA 식품분류시스템 기준으로도 1군(최소 가공) 식품에 해당된다. 반면, 식물성 음료는 식물성 음료는 곡물이나 견과 등을 원료로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친 가공식품으로, 맛과 영양을 보강하기 위해 첨가물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우유와는 본질적으로 다르고 원유가 단 한 방울도 들어 있지 경우에도 ‘우유’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의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식물성 음료’와 ‘우유’는 영양 성분도 확연히 다르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의 ‘2024 우유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70.6%는 우유를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