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회장 황현식)는 ’23년 국내 디지털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2024년 디지털크리에이터미디어산업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2023년 국가통계 승인 이후 두 번째로 발표된 결과로, 조사대상 기업(표본 수)을 기존 500개에서 1,000개로 확대하여 업계 현황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하였다. 특히, 본 조사는 올해 11월 통계청 주간의 ‘2024년 국가통계 개발·개선 우수사례’에 선정되며 신뢰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은 만큼 이번 조사 결과가 산업 현황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주요 결과로 △ 사업체 수는 13,514개, △ 매출액은 5조 3,159억 원, △ 종사자 수는 42,378명이며, △ 사업체당 연평균 58.1편의 작품(콘텐츠)을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디지털창작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의 빠른 성장세를 확인한 결과로 해당 분야가 매체 시장의 주요 축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 2023년 기준 디지털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미디어)산업 개황 >
구분 |
2022년 |
2023년 |
전년대비 |
|
|
성장률 |
|||
기업 수 |
11,123개 |
13,514개 |
+2,391개 |
+21.5% |
매출액 |
4조 1,254억 원 |
5조 3,159억 원 |
+1조 1,906억 원 |
+28.9% |
종사자 수 |
35,375명 |
42,378명 |
+7,003명 |
+19.8% |
우선, 국내 디지털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사업체 수는 13,514개로 전년도 11,123개보다 약 21.5% 증가했으며, 분야별로는 △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10,007개(23.8%↑), △ 광고/판촉(마케팅) 2,132개(0.7%↓), △ 관리(매니지먼트)(MCN*) 1,232개(49.9%↑), △ 온라인 비디오 공유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143개(101.4%↑)로 조사되었다.
* MCN(Multi Channel Network) : 1인미디어 창작자와 계약을 통해 작품(콘텐츠)의 기획·제작·유통, 법률, 판촉을 종합 지원하는 기획사
< 주요 분야별 사업체 수(전년 대비) >
구분 |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
광고/판촉 |
관리 (다중경로연결망, MCN) |
온라인 비디오 공유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
합계 |
2023 |
10,007개 |
2,132개 |
1,232개 |
143개 |
13,514개 |
2022 |
8,083개 |
2,147개 |
822개 |
71개 |
11,123개 |
증감률 |
23.8% |
△0.7% |
49.9% |
101.4% |
21.5% |
’23년 국내 디지털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의 전체 매출액은 5조 3,1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9% 성장하였으며, 분야별로는 △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2조 737억 원(30.5%↑), △ 광고/판촉 1조 7,663억 원(12.6%↑), △ 관리(다중경로연결망, MCN) 7,531억 원(14.1%↑), △ 온라인 비디오 공유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7,229억 원(135.3%↑) 순으로 조사되었다. 업체당 평균 매출은 3.9억이며, 매출 5억원 미만 업체가 대다수(65.4%, 8,838개)로 나타났다.
< 주요 분야별 매출액(전년 대비) >
구분 |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
광고/판촉 |
관리 (다중경로연결망,MCN) |
온라인 비디오 공유 온라인 체제 기반 (플랫폼) |
합계 |
2023 |
2조 737억 원 |
1조 7,663억 원 |
7,531억 원 |
7,229억 원 |
5조 3,159억 원 |
2022 |
1조 5,897억 원 |
1조 5,684억 원 |
6,601억 원 |
3,072억 원 |
4조 1,254억 원 |
증감률 |
30.5% |
12.6% |
14.1% |
135.3% |
28.9% |
’23년 국내 디지털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기업의 종사자 수는 42,378명으로 전년 대비 19.8%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종사자 5인 미만 사업체가 83.5%(1.1만개)를 차지하여 산업 생태계가 영세 사업체 중심으로 운영되고 30대이하 청년이 58.7%(2.4만명)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주요 분야별 종사자 수(전년 대비) >
구분 |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
광고/판촉 |
관리 (다중경로연결망,MCN) |
온라인 비디오 공유 온라인 체제 기반 (플랫폼) |
합계 |
2023 |
23,806명 |
10,488명 |
6,105명 |
1,978명 |
42,378명 |
2022 |
19,436명 |
10,320명 |
4,647명 |
972명 |
35,375명 |
증감률 |
22.5% |
1.6% |
31.4% |
103.6% |
19.8% |
< 주요 분야별 종사자 수 및 업체당 평균 종사자 수 >
|
자체 작품(콘텐츠)을 제작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74%(1만개)로 연평균 58.1편을 제작하였다. 작품(콘텐츠)의 장르는 △ 옷차림․미용 등 생활양식(라이프스타일)(36.5%), △ 교육․강의 등 정보전달(26.6%), △ 여행 등 취미(22.7%) 순이며, 작품(콘텐츠)을 유통하는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은 △ 유튜브(68.1%), △ 인스타그램(10.8%), △ 네이버TV(7.3%) 순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 최준호 방송진흥정책관은 “디지털 창작자 매체(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은 매체의 핵심 축으로 자리잡으며 새로운 사업 모형과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며,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영세 창작자(크리에이터) 및 사업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본 실태조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와 한국전파진흥협회(www.rapa.or.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