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한전KDN, 공간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차세대 웹 GIS 솔루션 확보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 사회의 모습이 크게 바뀌고 있다. Web과 모바일, 센서 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기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막대한 양의 공간정보가 실시간으로 저장되고 있으며, 실시간 교통상황 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새로운 부가 가치가 창출되고있다. 국내 전력분야에도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전력데이터가 쌓이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분석 솔루션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위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시공간 분석과 시각화 기술이 미비하여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전KDN(사장 박성철)은 이러한 전력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시공간 분석이 가능한 GIS 솔루션인 K-GIS를 개발하였다. K-GIS는 최신 ICT 기술을 융복합하여 대용량 공간정보를 저장, 분석하고 다양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개방형 웹GIS 서비스 플랫폼이다.

 

-----------------------------------------------------------------------------------------------------------------

1)하둡(Hadoop) :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처리할 수 있는 자바 기반의 프레임워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전력수요와 설비수명 예측을 통해 고품질의 전력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체계적 설비관리를 지원한다. 세부 제품군으로 대용량의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하둡 기반의 K-GIS GBD(Geo Big Data)를 포함하여 GSS(Geo Spatial Server), GWS(Geo Web Server), Desktop, SETL(Spatial Extract Transform Load), MapSync, VTS(Vector Tile Server) 총 7개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K-GIS 제품 구성도』

 

한편, 최근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스마트 재난관리통합시스템, 광케이블 통합운영관리시스템, 저압AMI 서버시스템에 K-GIS를 성공적으로 도입, 완료하였다. 앞으로도 여러 전력 분야에서 발생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데이터를 GIS 솔루션과 융합하여 시각화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더욱더 증가될 것으로 예상 된다.

 

한전KDN은 이러한 수요증가에 발맞춰 K-GIS의 공간빅데이터 분석과 여러가지의 시각화 기술을 활용하여 부하예측과 같은 새로운 전력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력 및 에너지신사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국내·외 고객의 새로운 가치 창출에 크게 이바지할 계획이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대체할 수 없는 품격, 우리 한우” 한우만이 가진 신선함과 안전성, 수입육·배양육 완벽 제압
한우는 오랜 시간 한국인의 식문화 속에 함께해온 대표 식재료다. 명절과 잔칫상, 보양식에 빠지지 않는 고기로, 단순한 맛과 품질을 넘어 ‘신뢰할 수 있는 고기’로 자리매김해 왔다. 특히 한우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사육되는 고유 품종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 상징’ 중 하나이기도 하다.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이 담긴 문화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크며, 이러한 상징성과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신뢰는 오늘날에도 소비자들이 한우를 선택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다. 최근 축산물 시장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수입육은 물론, 기술 발전으로 등장한 배양육과 대체식품의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다양한 선택지가 늘어난 만큼 소비 기준 역시 복잡해지고 있으며, 단순한 가격이나 유행보다 ‘신선도’와 ‘안전성’을 함께 고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수입육은 장거리 운송과 냉동·해동 과정을 거치면서 신선도와 위생 관리에서 한계가 있다. 배양육은 생산 과정에서 GMO나 인공 화학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 섭취에 대한 안전성도 아직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다. 대체식품 또한 제조 과정에서 높은 이산화탄소 발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창업박람회서 음식점 위생등급제 상담부스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음식점 위생등급제 참여 확대와 소비자 인지도 제고를 위해 6월 12일(목)부터 14일(토)까지 ‘제일창업박람회 in 서울’에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현장 상담부스를 성황리에 운영했다. 이번 박람회는 창업을 위한 예비 창업자, 프랜차이즈 본사, 관련 기관 및 관련 산업 종사자 등 많은 관계자들이 참여하였다. 해썹인증원은 각 지역 참가 업체와 관람객을 대상으로 ▲음식점 위생등급제 소개 및 기관 안내 ▲음식점 위생등급제 ‘1:1 무상 맞춤형 전문기술상담’ 및 위생교육 ▲표어(“깨끗하게 유별나게 음식점 위생등급제! 외식할 때, 배달앱에서 주문할 때, 위생등급 표시 확인하세요.”) 홍보 및 인지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음식점 위생등급제’는 음식점의 위생 상태를 평가해 우수 업소에 등급(★★★매우우수, ★★우수, ★좋음)을 부여하여, 이를 공개하고 홍보하는 제도로 2017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 주도로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한상배 해썹인증원장은 “일상에서 음식점 위생등급제를 확인하는 소비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라며, “안전한 외식문화 조성을 위해 예비창업자와 기존 운영자분들의 위생관리 역량 향상에 적극 힘

산림

더보기
‘우리가 꼭 지켜야 할 작은 숲’, 국민 곁으로 찾아갑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작은 숲이 품고 있는 소중한 가치를 시민들과 공유하기 위해「우리가 꼭 지켜야 할 작은 숲」이라는 주제로 16일(월)부터 29일(일)까지 정부대전청사와 국립세종수목원을 순회하는 ‘찾아가는 사진전’을 개최한다. 이번 사진전은 국립산림과학원이 2015년부터 발굴해 온 ‘특정산림식물군락’을 국민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정산림식물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지역에서 다양한 이유로 소멸이 우려되는 소규모 혹은 희소한 식물군락을 말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에서 총 613개소의 특정산림식물군락을 발굴해 188개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이번 전시에서는 그중 72개소를 선정해, 각 군락의 생태적 특성과 보호 상태, 보전 방향 등을 사진과 함께 소개한다. 앞서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5.22)을 기념하며 첫 사진전이 열렸고, 이번에는 더 많은 국민과 만나는 ‘찾아가는 순회 전시’로 이어간다. 사진전은 6월 16일(월)부터 20일(금)까지 대전정부청사 지하 1층 로비에서, 6월 21일(토)부터 6월 29일(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분재문화원에서 관람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최형태 산림생태연구과장은 “작지만 흔치않은 숲을 살피는 것은 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