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유형 제외한 고의 급제동(23%)과 진로방해(12.4%) 행위 가장 많아
-기소율 49%로 무혐의 처분 51%보다 근소하게 적어
운전자 폭행 사건이 끊이질 않는 가운데 최근 2년 간 보복운전 범죄가 약 9천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인화 의원(대안정치연대/국회 행정안전위원회/광양·곡성·구례)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에서 보복운전이 8,835건 발생했다. 경찰은 2017년부터 특정인을 자동차로 위협하거나 진로 방해, 고의 급제동, 폭행, 협박 등을 한 경우를 실무상 보복범죄로 분류해 통계로 관리해오고 있다.
보복운전 범죄는 2017년과 2018년 각각 4,432건, 4,403건 발생했다. 전체 범죄 건수는 소폭 줄었지만 지역별로는 16개 관할지역 중 대구, 대전, 경기 북부 등 9개 지역에서는 범죄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
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남부 |
경기북부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17년 |
4,432 |
824 |
331 |
322 |
388 |
95 |
113 |
140 |
930 |
333 |
71 |
106 |
145 |
134 |
120 |
175 |
143 |
62 |
’18년 |
4,403 |
684 |
270 |
392 |
328 |
121 |
198 |
152 |
863 |
429 |
85 |
145 |
182 |
94 |
129 |
176 |
125 |
30 |
위반 유형별로는 진로방해나 고의 급제동, 폭행 등 다양한 유형이 종합된 ‘기타’ 유형이 4,651건(52.6%)으로 가장 많았다. 경찰 관계자는 ‘기타’ 유형에는 여러 행위가 중복돼 일어나는 것 뿐만 아니라 경적을 울리거나 침을 뱉는 행위 등 다양한 보복행위가 포함돼있다고 설명했다.
기타 유형에 이어 가장 많은 유형을 차지하는 행위는 2,039건(23.1%)이 발생한 ‘고의 급제동’과 1,095건(12.4%)이 발생한 ‘서행 등 진로방해’ 행위였다. 운전자의 신체나 차량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는 폭행이나 협박, 재물 손괴, 교통사고 야기도 1,050건에 달했다.
구분 |
계 |
서행 등 진로방해 |
고의 급제동 |
폭행 |
협박 |
재물 손괴 |
교통사고 야기 |
기타 |
2017년 |
4,432 |
593 |
1,079 |
56 |
335 |
99 |
140 |
2,130 |
2018년 |
4,403 |
502 |
960 |
22 |
237 |
65 |
96 |
2,521 |
총계 |
8,835 |
1,095 |
2,039 |
78 |
572 |
164 |
236 |
4,651 |
비율(%) |
100 |
12.4 |
23.1 |
0.9 |
6.5 |
1.9 |
2.7 |
52.6 |
반면, 보복운전 범죄 8.835건 중 기소된 건수는 4,325건(49%)으로 최종적으로 무혐의 처분을 받은 4,510건(51%)보다 근소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소된 사건(4,325건) 중 15건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건(4,310건)은 불구속 상태였으며, 혐의없음 처분을 받은 사건(4,510건) 중 경찰 내사 단계에서 경미하거나 합의 등의 이유로 종료된 사건은 2,752건으로 61%였다. (표3 참조)
구분 |
계 |
기 소 |
혐의없음 |
|||||||
합계 |
비율 (%) |
구속 |
불구속 |
합계 |
비율 (%) |
불기소 |
내사종결 |
|||
불입건 |
통고처분 |
|||||||||
2017년 |
4,432 |
2,436 |
55 |
8 |
2,428 |
1,996 |
45 |
906 |
434 |
656 |
2018년 |
4,403 |
1,889 |
43 |
7 |
1,882 |
2,514 |
57 |
852 |
639 |
1,023 |
총계 |
8,835 |
4,325 |
49 |
15 |
4,310 |
4,510 |
51 |
1,758 |
1,073 |
1,679 |
정인화 의원은 “난폭운전에 대한 경고 차원에서 보복운전을 하거나, 상대방의 보복운전에 대응해 보복운전을 한다 하여도 똑같은 가해자가 될 수 있다”며 “보복운전은 도로 위 모두에게 큰 위협이 되는 범죄행위인만큼 보복운전이 근절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