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최근 5년간 가정폭력 검거인원 21만 5천명

접근금지 등 경찰 긴급임시조치 건수도 8,594건
폭행·상해행위 85% 가장 많아
가해자 80% 남성, 피해자 75% 여성

최근 5년간 가정폭력으로 경찰에 검거된 사람이 21만 5천 명에 달했고 피해자는 18만 명으로 나타났다.

 

정인화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광양·곡성·구례)이 국정감사를 위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전국에서 가정폭력 사건은 약 19만건 발생했다. 가정폭력 범죄 특성상 한 가족 내 가해자가 여러 명인 경우가 많아 검거인원은 사건수보다 많은 21만 5천 명이었다. [표1]

 

[표1. 최근 5년간 가정폭력 범죄 검거건수 및 검거인원]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6월

총계

검거건수(건)

40,828

45,619

38,583

41,905

21,199

188,134

검거인원(명)

47,543

53,511

45,264

43,576

24,669

214,563

 

 가정폭력 사건 수 분석

최근 들어 가정폭력 사건은 증가 추세였다. 2016년 45,619건에서 2017년 38,583건으로 하락했지만 2018년 다시 증가해 41,905건이 발생했다. 올해도 6월까지 21,199건이 발생해 이미 작년 절반 수준을 넘어섰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가장 큰 증가 추이를 보인 지역은 광주로 2017년 891건에서 2018년 1,215건으로 36.4% 증가했고, ▲ 부산이1,627건에서 2,024건으로 24.4%, ▲ 충남이 1,367건에서 1,700건으로 24.4%, ▲ 경북이 1,557명에서 1,877명으로 20.6% 증가해 그 뒤를 이었다.

 

[표2. 최근 5년간 지역별 가정폭력 범죄사건 현황]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17대비증감(%)

2019.6월

총계

계(건)

40,828

45,619

38,583

41,905

8.6

21,199

188,134

서울

6,924

7,745

6,721

6,981

3.9

3,371

31,742

부산

1,553

1,870

1,627

2,024

24.4

1,075

8,149

대구

1,634

2,335

1,797

2,064

14.9

988

8,818

인천

2,897

3,093

2,513

2,531

0.7

1,345

12,379

광주

917

907

891

1,215

36.4

648

4,578

대전

1,325

1,762

1,597

1,655

3.6

775

7,114

울산

1,135

10,868

985

976

-0.9

437

14,401

경기남부

13,777

1,176

9,120

9,964

9.3

5,378

39,415

경기북부

3,670

2,996

2,923

-2.4

1,398

10,987

강원

1,235

1,352

1,350

1,405

4.1

690

6,032

충북

1,129

1,443

1,107

1,169

5.6

720

5,568

충남

1,154

1,610

1,367

1,700

24.4

776

6,607

전북

1,020

1,204

984

1,109

12.7

480

4,797

전남

1,366

1,602

1,394

1,556

11.6

697

6,615

경북

1,953

1,922

1,557

1,877

20.6

1,052

8,361

경남

2,008

2,272

1,914

2,079

8.6

1,088

9,361

제주

801

788

663

677

2.1

281

3,210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범죄 재발위험성이 클 경우 경찰이 취하는 가해자 접근금지, 통신제한 등 긴급임시조치도 증가했다. 긴급임시조치는 2015년 2,121건에서 2016년 1,769건, 2017년 1,183건으로 점차 감소했으나 2018년 1,787건으로 다시 증가하였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작년 수준인 1,734건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표3]

 

[표3. 최근 5년간 경찰 긴급임시조치 건수]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6월

총계

합계

2,121

1,769

1,183

1,787

1,734

8,594

*경찰 긴급임시조치 :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8조의2에 따른 조치를 말함

1호 :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의 주거 또는 점유하는 방실(房室)로부터의 퇴거 등 격리

2호. :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의 주거, 직장 등에서 100미터 이내의 접근 금지

3호. : 피해자 또는 가정구성원에 대한 「전기통신기본법」 제2조제1호의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 금지

 

 가정폭력 유형별 분석

범죄 유형을 살펴보면 폭행이나 상해행위 등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5년~2016년 발생한 101,054건 중 폭력 행사가 86,043건(85.1%)이었고, 2017년부터 올해 6월까지 발생한 113,509건도 폭행이 74,826건(65.9%)을 차지했다. 폭행을 넘어 상해에 이르거나 집단 또는 위험한 도구를 이용한 특수폭행 등도 19,480건(17.2%)에 달했다. [표4]

 

[표4. 최근 5년간 가정폭력범죄 유형별 현황]

 

 

 

유형

2015년

2016년

소계(명)

비율

(%)

 

유형

2017년

2018년

2019년

6월

소계(명)

비율

(%)

총계(명)

47,543

53,511

101,054

100

 

총계(명)

45,264

43,576

24,669

113,509

100

폭력

41,591

44,452

86,043

85.1

 

폭행·

존속폭행

31,138

28,063

15,625

74,826

65.9

재물손괴

2,607

3,448

6,055

6.0

 

상해·

특수폭행등

6,287

8,151

5,042

19,480

17.2

협박·모욕

1,674

3,309

4,983

4.9

 

재물손괴

3,105

3,047

1,894

8,046

7.1

감금

107

178

285

0.3

 

협박·

존속협박

2,514

1,257

691

4,462

3.9

기타

1,564

2,124

3,688

3.6

 

강간·추행

221

224

94

539

0.5

 

 

 

 

 

 

체포·감금

252

139

73

464

0.4

* 2017년부터 유형을 세분화해 관리

 

모욕·

명예훼손

73

77

57

207

0.2

 

 

 

 

 

 

기타

(학대,유기등)

1,674

2,618

1,193

5,485

4.8

 

 가정폭력 가해자 및 피해자 분석

가해자 구성을 살펴보면 5년간 검거인원 총 214,563명 중 171,464명(79.9%)이 남성이었다. 연령별로는 ▲ 40대(67,282명/31.4%), ▲ 30대(51,525명/24%), ▲ 50대(49,709명/23.2%) 순으로 나타나 가정을 이룬 세대에 78.5%가 집중됐다. [표5]

 

[표5. 최근 5년간 가정폭력범죄 가해자 성별/연령별 현황]

구분

’15년

’16년

’17년

’18년

’19.6월

총계

비율

계(명)

47,543

53,511

45,264

43,576

24,669

214,563

100

38,696

42,710

35,997

34,623

19,438

171,464

79.9

8,847

10,801

9,267

8,953

5,231

43,099

20.1

구분

’15년

’16년

’17년

’18년

’19.6월

총계

비율

계(명)

47,543

53,511

45,264

43,576

24,669

214,563

100

19세 미만

558

677

621

589

333

2,778

1.3

30세 이하

4,733

5,612

4,996

4,698

2,652

22,691

10.6

31∼40세

11,215

13,286

10,817

10,219

5,988

51,525

24.0

41∼50세

15,884

16,936

14,144

13,107

7,211

67,282

31.4

51∼60세

11,310

12,287

10,399

10,186

5,527

49,709

23.2

60세 초과

3,843

4,713

4,287

4,777

2,958

20,578

9.6

 

반면, 피해자를 살펴보면 180,923명 중 135,663명(75%)이 여성이었으며 사건 발생 초기에 피해자가 노출을 꺼리는 등의 사정으로 성별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도 10.3%였다.

 

연령대는 여성의 경우 ▲ 40대(38,346명/28.3%), ▲ 30대(34,640명/25.5%), ▲ 50대(25,581명/18.9%) 순으로 30대~50대가 72.7%였고, 남성 피해자는 20세 이하 미성년자가 21.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남성 피해자는 여성과 달리 전 연령대에 걸쳐 있었고 특히 60대 이상 피해자가 16.4%로 같은 연령대 여성(9.1%)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표6]

 

[표6. 최근 5년간 가정폭력범죄 피해자 성별/연령별 현황]

구분

’15년

’16년

’17년

’18년

’19.6월

총계

비율

40,711

45,467

38,277

36,891

19,577

180,923

100

5,360

6,512

5,712

6,032

3,096

26,712

14.8

31,325

33,958

28,605

27,409

14,366

135,663

75.0

불상

4,026

4,997

3,960

3,450

2,115

18,548

10.3

구분

연령대

’15년

’16년

’17년

’18년

’19.6월

총계

비율

20세이하

1,118

1,543

1,217

1,226

673

5,777

21.6

21-30세

689

837

829

833

486

3,674

13.8

31-40세

771

913

852

884

489

3,909

14.6

41-50세

905

1,106

982

1,017

457

4,467

16.7

51-60세

997

1,091

914

1,001

492

4,495

16.8

60세 초과

880

1,022

918

1,071

499

4,390

16.4

소계

5,360

6,512

5,712

6,032

3,096

26,712

100.0

20세이하

1,573

1,862

1,609

1,627

860

7,531

5.6

21-30세

3,704

4,359

3,697

3,564

1,869

17,193

12.7

31-40세

8,043

8,812

7,420

6,740

3,625

34,640

25.5

41-50세

9,665

9,735

7,931

7,365

3,650

38,346

28.3

51-60세

5,962

6,306

5,365

5,209

2,739

25,581

18.9

60세 초과

2,378

2,884

2,583

2,904

1,623

12,372

9.1

소계

31,325

33,958

28,605

27,409

14,366

135,663

100.0

불상

4,026

4,997

3,960

3,450

2,115

18,548

100.0

 

정인화 의원은 “가정폭력은 사회 구성의 기초인 가정을 파괴하고,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히는 중대범죄”라며, “가족 내의 일이라는 이유로 경찰이 소극적인 대응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건 초기부터 대응을 강화하는 등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전환과 함께 강력한 근절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