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 이하 축평원)으로부터 한우 디엔에이(DNA) 시료 5만 7000여 점을 지난 21일 인수했다고 밝혔다.
축평원은 가축의 생산부터 판매까지의 유통과정을 기록‧관리하는 축산물이력제 운영에 필요한 동일성 검사1) 를 실시하고 있으며, 검사에 사용되는 한우 디엔에이(DNA) 시료를 2년간 보관·관리하고 있다.
지난해 5월, 농촌진흥청은 축평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보존기간2) 이 만료된 시료를 축산 연구에 활용키로 했다.
국가 생명연구자원 축산분야 중앙은행으로 지정되어 있는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경상남도 함양)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생산된 한우 디엔에이(DNA) 시료 5만 7000여 점에 대한 보관을 완료했다.
* 2014∼2018년 도축 한우 DNA 57,134점(27,449마리)
농촌진흥청은 매년 보존기간이 완료된 시료를 축평원으로부터 기탁 받을 예정이다.
한우 디엔에이(DNA) 시료는 개체별 이력번호, 출생일, 성별 등 이력정보와 근내지방도, 도체중 등 도체 등급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생명연구자원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 앞으로 한우 유전특성 연구, 개량 효율 검증 및 증대, 유전체 정보 분석 등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장승진 원장은 “이번에 기탁한 디엔에이(DNA) 시료는 우리 축산업이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며, 앞으로도 미래 축산업 발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국립축산과학원에 인계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박범영 국립축산과학원장은 “축평원과의 협업을 통해 인수받은 자원이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국제 경쟁력 향상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1) 조사 현장에서 이력번호가 부여된 소 또는 쇠고기로부터 채취한 검사용 시료에 대해 유전자 감식 기법을 활용하여 보관용 시료와 DNA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2) 축산물이력제 동일성 검사를 위해 보관‧관리하는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