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꿀 먹고 자란 번데기 ‘꿀데기<수벌 번데기>’ 로 에너지 젤리 만든다

- 어린이, 어르신, 식단 조절 성인용 개발…간편하게 영양 섭취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대체 단백질 원료로 주목받고 있는 꿀데기(수벌 번데기)의 영양성분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소비자 맞춤형 에너지 젤리를 개발했다.

 

 꿀데기는 ‘꿀을 먹고 자란 번데기’라는 뜻으로, 대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된 수벌 번데기의 애칭이다.

 

 수벌 번데기는 외부와 차단된 벌집 안에서 애벌레 시기 벌꿀이나 로열젤리, 화분만 먹고 자란 친환경 고단백 식품으로, 한시적 식품 원료로 인정됐다.

 

 단백질(52%), 지방(26%), 탄수화물(16%) 등 단백질과 불포화지방 함량이 높고, 특히 인지질과 칼륨(K), 인(P) 등 무기물, 필수아미노산, 비타민이 풍부하다.

 

 또한 수벌 번데기의 생리활성 탐색 결과, 항산화, 항비만, 항염증,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농촌진흥청은 소비자 관점에서 에너지 젤리의 시장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비자패널 40명을 대상으로 맛과 질감 등 관능 평가를 비롯해 품질평가를 실시했다. 연구진은 평가결과를 제품개발 과정에 적극 반영해 최종 제품을 완성했다.

 

  에너지 젤리는 물로 추출한 꿀데기 농축액을 주원료로 만들었고, 젤리 하나에는 1g의 꿀데기 단백질이 함유돼 있다.

  섭취 대상에 따라 어린이, 어르신, 식단 조절 성인용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어린이용에는 아카시아꿀과 오렌지 향을 더해 달고 상큼한 맛을 냈다. 어르신용에는 밤꿀과 흑마늘을 첨가해 영양을 더했고, 식단 조절 성인용에는 아카시아꿀만 넣어 담백한 맛을 살렸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에너지 젤리에 대해 특허와 상표, 디자인 출원1) 을 완료했으며, 한국양봉농협에 기술이전 해 제품화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농업생물부 홍수명 부장은 “수벌 번데기가 식품소재로 활용되면, 최근 아카시아꿀 작황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봉농가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소득원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전북 완주군에서 양봉을 하는 유희영 농업인은 “그동안 버려지던 수벌 번데기가 농가에 안정적인 소득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가 믿고 찾는 수벌 번데기를 생산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1)  꿀데기 상표 출원번호(40-2021-0165831)

2)  소방: 벌 방, 육각형의 벌 방

 

 

 수벌 번데기 특성

□ “수벌 번데기”란?

 ○ 꿀벌은 여왕벌(蜂王, queen)과 수천수만 마리의 일벌(動蜂, worker), 수벌(雄蜂, drone)로 이루어져 있으며 3가지 벌들은 형태와 하는 일이 서로 다름

 ○ 벌통 1개에 300∼3,000마리의 수벌이 존재하며, 성충은 여왕벌보다는 체구가 작고, 일벌보다는 2∼3배 체구 큼.

 ○ 수벌은 일벌, 여왕벌과 달리 외적을 방어하기 위한 벌침을 갖고 있지 않으며, 여왕벌과의 교미 이외에는 역할이 없어 식량만 소비하기 때문에 양봉업자들이 그동안 폐기되었으나 2020년 7월 9일 한시적 식품 원료로 등록

 ○ 수벌은 유충 시기 3일간은 일벌이 공급하는 로열젤리를, 이후 4일간은 꿀과 화분을 먹이원으로 하며, 벌집이 밀랍으로 봉해진 이후의 유충과 번데기 시기에는 먹이가 공급되지 않음.

□ 영양성분

 ○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며 단백질의 필수아미노산 조성이 좋고, 지방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풍부함. 또한, 인지질, 칼륨, 인,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C 함량도 풍부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38001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3pixel, 세로 43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3pixel, 세로 398pixel

 

아미노산 함량 (mg/100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3pixel, 세로 388pixel

무기물 (mg/100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0pixel, 세로 369pixel

비타민 (mg/100g)

 

수벌 번데기 생산

□ 수벌 번데기 채취 및 수거

 ○ 수벌 번데기는 이른 봄부터 초가을까지 여왕벌이 산란할 수 있는 환경만 되면 가능하지만, 양봉농가의 노동력과 벌꿀 생산 등을 고려하여 무밀기에 부가 소득원으로 적합

 ○ 수벌 전용 소초광(소방2) 은 지름 6.28 mm, 일벌 소초광 지름 4.96 mm)을 벌통에 삽입한 후 23일 경과 후에 채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3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2pixel, 세로 724pixel

 

 

꿀데기(수벌 번데기) 함유 에너지 젤리

 ○ 소비자 패널 활용 꿀데기 신제품 시장테스트

  - (일시·장소) 21.5.27.(목) 9:00∼13:30, 농산업경영과 영상회의실

  - (참석자) 소비자패널, 관련 공무원, 농업인 등 47명

  - (주요내용) 품질평가, 적정 가격, 포장단위 등 시장대응 전략

  - (조사방법) 제품에 대한 시식․관능 평가를 설문과 FGI로 진행

  - (결과)

 

대상

어린이용

어르신

식단 조절 성인용

성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6pixel, 세로 10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pixel, 세로 10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pixel, 세로 105pixel

맛, 향

아카시아꿀과 오렌지 향 첨가로 단맛과 상큼한 맛

밤꿀과 흑마늘을 함유하여 쌉싸름한 맛

아카시아꿀 함유 담백한 맛

제품

디자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7pixel, 세로 119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6pixel, 세로 64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f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9pixel, 세로 674pixel


농업

더보기
‘인삼, 약용작물’ 집중호우 피해 치명적…예방 철저
농촌진흥청은 최근 장마철마다 자주 나타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삼과 약용작물 재배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철저한 정비와 병 예방을 당부했다. 우리나라는 6~8월에 전체 강수량의 60% 이상에 해당하는 비가 집중해서 내린다. 장마 기간에 국지성 폭우가 내리면 인삼과 약용작물이 물에 잠기거나 재배지가 유실되는 등의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인삼은 습기에 매우 민감한 작물로 장기간 비가 내리면 지상부가 시들고 잎이 일찍 떨어진다. 뿌리의 경우 털이 탈락하거나 전체적으로 부패해 싹이 나지 않을 수 있다. 뿌리를 약재로 쓰는 황기, 지황, 천궁도 침수에 취약해 물 빠짐이 좋지 않은 밭에 오래 두면 시듦 증상과 뿌리 부패 관련 병 등이 확산하게 된다. 특히, 침수 피해를 본 식물체는 잎 표면에 앙금과 오물이 쌓여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물기가 남은 상태에서 햇빛에 노출되면 잎이 데쳐진 듯 물러져 시듦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 번 물에 잠긴 인삼과 약용작물은 회복이 어려우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가에서는 재배지 물길을 정비하고 자동 양수기를 설치해 대비한다. 인삼은 6시간 이상 침수되면 뿌리 부패 정도를 판단해 조기 수확을 고려해야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편하게 집보신하세요” 하림 더미식, 여름철 보양식 삼계탕 2종 출시
올 여름 역대급 더위가 예고된 가운데,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림이 국물요리 제품을 앞세워 여름철 보양식 시장 공략에 나섰다. 종합식품기업 하림의 간편식 브랜드 ‘The미식(더미식)’은 여름 보양식의 대표 메뉴인 삼계탕 2종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신제품은 ‘삼계탕’과 ‘닭다리 삼계탕’으로 100% 국내산 신선한 닭을 사용했으며, 더미식만의 차별화된 조리 기술로 맛을 한층 끌어올렸다. 끓이기 전 닭고기를 한 번 쪄내는 ‘자숙’ 공정을 통해 기름기를 제거하고, 깔끔하고 담백한 국물 맛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삼계탕’은 45호 닭 한 마리를 통째로 사용했으며, 얼리지 않은 냉장육으로 닭고기 식감이 부드럽고 쫄깃하다. 생강, 양파, 마늘 등을 넣고 정성껏 4시간 이상 고아낸 육수에 국내산 수삼, 밤, 잣, 은행, 찹쌀 등을 더해 깊은 풍미와 풍부한 식감을 살렸다. ‘닭다리 삼계탕’은 큼직한 통닭다리만을 사용해 한 마리 삼계탕이 부담스러웠던 소비자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삼계탕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아낸 국물에 찹쌀을 듬뿍 넣어 구수한 맛을 더했다. 더미식 삼계탕 2종은 상온 파우치 형태로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며, 각 900g,

산림

더보기
동부산림청,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동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여름철 산간 계곡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산림오염 및 훼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기간(2025. 7. 1.∼ 8. 31.)”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점단속 대상은 산림 내 취사, 오물·쓰레기 투기, 무허가 물놀이 시설 등 불법 시설물 설치, 산림 무단점유 등 여름철 다수 발생하는 산림 내 불법행위로 동부지방산림청 및 소속 7개 국유림관리소 산림특별사법경찰을 중심으로 단속반을 편성하고 효과적인 단속을 위하여 산림 드론도 투입할 계획이다. 단속 적발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산림 내 취사, 흡연 등에 대해서는 적발 즉시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한편, 동부지방산림청은 지난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을 실시하여 임산물 불법채취 등 29명을 입건하였으며, 110명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동부지방산림청장은 “산림 내 불법행위로 인해 산을 찾는 휴양객들이 즐거움을 잊지 않도록 단속을 엄중히 실시하여 산림피해를 최소화하겠다.”라며, “올바른 산림보호 문화 정착을 위해 국민들의 적극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