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전국 30개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의 악취개선 성과 확산 보고회 개최

-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 30개소 지역주민의 66%가 악취개선 체감 -
- 집중관리 농가(77개소)의 축사 내부 암모니아 농도
약 50% 감소(4월: 16ppm → 10월: 8)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11월 24일 축산환경관리원에서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 30개소에 대한 추진내용 및 악취저감성과 공유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보고회는 농식품부가 지자체와 협력하여 선정한 고속도로, 혁신도시 인근 등의 30개 축산악취 우려지역에 대한 지역별 악취개선 활동 및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농식품부, 환경부, 축산환경관리원, 시민단체, 현장전문가 등 30여명이 참석하였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축산악취집중관리지역 10개소에 대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집중관리지역을 30개소로 확대하고 축산악취개선사업과 연계하여 지역단위 축산악취관리를 추진하였다.

   

 

< (참고) 10개소의 주요 성과(‘20) >

 

 

 

◇ (지역주민 체감) 8개 지역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약 58.3%(432명 중 252명)가 악취개선 체감한 것으로 조사

◇ (암모니아 수치) 대표적인 악취 물질로 알려진 암모니아 수치가 당초(7월)  평균 24.5ppm에서 최종(11월) 13.8ppm으로 44% 감소(106개소, 월2회 측정)

 

 우선, 지자체, 관계기관 등과 협업하여 30개 지역내 축산농가 및 가축분뇨처리시설 700여개소에 대해 악취원인을 진단하고 단기·중장기 악취관리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b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5pixel, 세로 542pixel

 

 

   - 집중관리가 필요한 101개소에 대해서는 축산환경관리원 등의 전문가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주요 현장진단 결과>

 

구분

주요 악취발생 원인

개선방안(단기)

축사내부

▪슬러리피트, 돈사바닥 등 분뇨적체

▪외벽, 사료조, 피트 등 고착분뇨 및 먼지

▪분뇨외부 배출 및 처리시설 정상화

▪고압세척, 미생물 살포 등 청소관리

축사외부

▪축사·처리시설 개방운영

▪폐자재, 잡초 등 정리정돈 불량

▪시설밀폐 및 악취저감시설 설치

▪폐자재 처리 및 제초작업 등 관리

처리시설

▪처리시설 운영불량, 장비고장 등으로 분뇨 부패, 악취저감시설 미설치

▪처리시설 적정운영 교육이수, 설치업체 점검 등 운영정상화, 악취저감시설 설치

처리여건

▪처리시설 용량 및 퇴·액비 살포지 등 부족으로 분뇨처리 불가 

▪지자체 공공처리시설, 지역 내 자원화시설 등 협의로 분뇨처리여건 개선

기타

▪지역주민 축산시설 기피로 민원 지속 제기 및 사업추진 반대

▪지역협의체 구성·운영 및 활성화로 갈등해소방안 마련(농가 적극참여)

 

 또한, 축산악취개선사업과 연계하여 농가의 악취원인에 맞는 악취저감시설(안개분무, 액비순환시설 등), 가축분뇨처리시설(퇴비사, 액비저장조, 정화처리시설) 등을 지원하여 성과를 배가시켰다.  

 

 아울러, 지역의 악취관리 및 소통기구로서 지자체, 축산농가, 지역주민, 생산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악취개선 지역협의체를 구성하여 간담회, 우수 현장방문 등을 통해 지역여건에 맞는 악취저감방안을 모색하고, 지역 내 축산악취 갈등을 조정하였다.

 

 

< 지역협의체 주요 활동 내용 >

 

 

 

 ㅇ (간담회) 지역 내 악취개선 현황 및 애로사항 검토, 지역 개선방안 도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22pixel, 세로 61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pixel, 세로 12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cd0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5pixel, 세로 256pixel

 

 ㅇ (현장방문) 지역협의체 현장방문 및 교육을 통하여 구성원간 책임의식 제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3pixel, 세로 34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3pixel, 세로 33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23a2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92pixel, 세로 2992pixel

 

 

 이러한 축산악취 집중관리를 통해 대표적인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농도 등 수치적인 악취감소 이외에도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전문가 컨설팅을 실시한 농가들(77개소)의 암모니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 4월 대비 10월 암모니아 농도가 50%(16ppm → 8ppm) 감소되는 성과가 있었으며,

 

 축산악취집중관리지역 30개소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주민의 66.3%(729명 중 483명)가 `악취개선을 체감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50001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8pixel, 세로 2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50001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1pixel, 세로 288pixel

 

 

 이번 성과보고회에서는 해당 지역의 컨설팅팀이 악취개선활동 사례를 발표하고, 미흡 사항에 대해 전문가들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를 만들었다. 주요 지역의 개선사례는 다음과 같다.

 

① (악취저감시설 설치) 시설투자 없이 축사의 철저한 관리만으로는 악취저감에 한계가 있는 농가들은 바이오커튼, 안개분무시설, 바이오필터, 세정탑 등 시설 여건에 맞는 적정 악취저감시설을 설치하여 지역의 악취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A 농가 암모니아 35ppm → 3, △ 9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2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3pixel, 세로 15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2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6pixel, 세로 15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96pixel, 세로 79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7pixel, 세로 356pixel

바이오 커튼 설치

안개분무시설 설치

 

② (퇴비사 밀폐) 주요 악취발생장소인 퇴비사, 액비저장조 등이 개방되어 악취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농가들은 퇴비사, 액비저장조 등 악취발생 장소를 최대한 밀폐화하고, 여건상 공사 등이 불가능한 경우는 단기적으로 지역주민과 협의하여 천막·덮개 등을 활용한 외부 노출 최소화를 통해 악취가 개선된 사례들도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B농가 암모니아 5ppm → 1, △ 8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3pixel, 세로 33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8pixel, 세로 33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1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6pixel, 세로 17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1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1pixel, 세로 148pixel

퇴비사 밀폐

액비저장조 밀폐

 

 ③ (분뇨배출 주기 단축) 축사 내 가축분뇨 장기적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가축분뇨 위탁처리시설과의 수거주기 단축협의*, 슬러리 피트 청소주기 단축 등을 통해 축사 내 가축분뇨 적체기간을 최소화하였다. (C농가 암모니아 30ppm → 5, △ 83%)

     * 가축분뇨 신속수거를 통한 악취저감을 위해 가축분뇨 일 35m3이상 추가 반입 협의 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7pixel, 세로 4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7pixel, 세로 27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5pixel, 세로 75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1pixel, 세로 755pixel

피트내 적체분뇨 배출 및 청결 개선

가축분뇨 신속수거 업무협약 체결

 

④ (지역내 소통 강화) 축산농가와 지역주민간 축산악취갈등이 심화된 지역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지역협의체 등 농가-주민-지자체간 소통채널을 활성화하고, 간담회 및 현장방문 등을 통해 악취문제 해결방안을 발굴하는 동시에 선제적 대응을 추진하여 악취개선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전북) 잦은 소통을 통해 대립하던 농가와 주민들 관계가 협력관계로 전환, 감정민원 해결

ㅇ (경기) 가축분뇨 적정처리시설 설치 반대 주민과 소통하고, 주민과 농가간의 오해 해결  

ㅇ (충남) 주요민원 지점인 캠핑장에서 손님이 많은 주말에 특별 악취 관리 요구 → 농가에서 주말 가축·분뇨 반출 자제, 매주 목요일마다 청소 관리하여 민원 감소

 

 ⑤ (농가 교육/컨설팅) 악취저감 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축산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악취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악취저감시설 적정운영 방법, 미생물 살포 및 가축분뇨 관리 등에 대한 매뉴얼 보급 및 교육을 통해 악취가 상당히 감소됐다고 평가했다. (D농가 암모니아 농도 12ppm → 3, △ 7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61pixel, 세로 8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8pixel, 세로 29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1pixel, 세로 49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pixel, 세로 737pixel

액비순환시스템 정상화

세정탑 관리매뉴얼

바이오커튼 정상화

 

 ⑥ (ICT 활용 모니터링) 악취측정 ICT장비를 활용하여 고농도 암모니아 지속 배출 농가·시설을 선별하고, 취약시간 분석 및 현장점검 등을 통해 악취저감시설 운영시간을 확대하고, 고액분리기의 가동시간 및 퇴비 교반시간 변경 등 맞춤형 집중관리를 추진하여 큰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A시설 집중관리대상 지정 후 데이터 추이 분석 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cfc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6pixel, 세로 271pixel

 

10월 2주차 평균 30.1ppm 최고 50ppm

11월 1주차 평균 14.5ppm (△52%)

 

 

 ⑦ (가축분뇨 적정처리) 액비 반출의 어려움*으로 인해 가축분뇨처리가 지연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기존의 퇴액비화 시설 대신 정화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여 가축분뇨를 신속히 처리하고 악취도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 가축질병 발생에 따른 차량 출입제한, 액비 살포지 부족 등

 

 또한, 성과보고회에 참여했던 대전충남시민환경연구소 최충식 소장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축산악취민원은 축산농가와 주민간의 정서적인 이유가 큰 만큼, 지역협의체 활동을 통한 악취개선사례가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일부 악취지역의 농장들은 현장의 지속적인 개선요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사례들도 있어 현장의 단속과 집중 점검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정경석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이번 30개 지역 악취개선 성과 보고회를 통해 악취개선 활동과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함으로써 축산악취개선에 대한 지역적 붐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며,

  

 앞으로도 축산악취로 인한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 환경친화적 축산업 전환을 위해 축산농가 스스로가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가루쌀, 우리학교 급식에서도 곧 만나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대한급식신문이 주관하는 「2024년 우수 급식·외식산업대전」에서 전국 급식 관계자에게 가루쌀 가공식품과 특급호텔 셰프들이 개발한 가루쌀 급식메뉴를 소개한다. 올해「우수 급식·외식산업대전」은 4월 22일(월)부터 24일(수)까지 3일동안 코엑스에서 진행되며, 23일(화)과 24일(수) 이틀에 걸쳐 호텔 전문 쉐프가 직접 개발한 가루쌀 메뉴를 전국 급식 관계자에게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급식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루쌀 식자재를 전시하고 올해 출시 예정인 가루쌀 부침가루와 라이스밀크, 가루쌀 빵을 먼저 맛볼 수 있는 시음·시식행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가루쌀은 물에 불리지 않고도 가루를 내기 좋은 쌀의 종류로, 폐수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새로운 식품 원료이며 글루텐프리, 대체식품 등 새로운 시장 확대를 주도할 수 있는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농식품부는 국내 쌀 수급균형과 식량자급률을 제고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식품기업, 외식기업뿐 아니라 지역 제과업체와도 다양한 가루쌀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급식에 적용할 수 있는 가루쌀 식품으로 4개 부스에서 8개 내외 업체(약40종)의 제품이 소개될 계획이며, 소면(미듬영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