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3 (토)

  • 맑음동두천 25.5℃
  • 맑음강릉 29.3℃
  • 구름조금서울 25.6℃
  • 맑음대전 26.3℃
  • 구름많음대구 27.9℃
  • 맑음울산 22.8℃
  • 맑음광주 25.9℃
  • 맑음부산 22.3℃
  • 맑음고창 24.5℃
  • 맑음제주 23.1℃
  • 구름조금강화 23.2℃
  • 맑음보은 25.1℃
  • 맑음금산 25.2℃
  • 맑음강진군 26.5℃
  • 맑음경주시 28.2℃
  • 맑음거제 22.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등급판정 소, 돼지 증가 … 한우 1등급 이상 75.2%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2년 축산물등급판정 통계연보’발간 -

지난해 소·돼지·오리·말의 등급판정 두수는 2021년에 비해 증가하고, 닭·계란은 감소했다.

 

  이 같은 결과는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발간한 ‘2022 축산물등급판정 통계연보’에서 나왔다. 해당 연보에는 소·돼지·닭·계란·오리·말의 등급판정 결과를 포함하여 총 62종의 통계자료가 수록됐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0pixel, 세로 35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2pixel, 세로 348pixel

[소 판정 두수 및 증감률]

[한우 판정 두수 및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

 

  축종별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지난해 소 등급판정 두수는 101만 1396두로 전년 대비 8.5%가 증가해 2015년 이후 7년 만에 100만 두를 초과했다.

 

  한우 등급판정 두수는 86만 9147두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다. 한우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75.2%로 전년 대비 0.3%p 증가했고, 성별 출현율은 각각 암 47.4%, 수 0.7%, 거세 51.9%로 나타났다.

 

  또한, 한우 거세 평균 경락가격은 20,980원/㎏, 평균 출하월령은 30.7개월로 나타났다. 한우 거세의 평균 도체중량은 461.0㎏, 등지방두께는 12.8㎜, 등심단면적은 97.0㎠, 근내지방도(BMS No.)는 6.2였다.

 

  육우의 등급판정 두수는 8만 2757두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고,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14.7%로 0.2%p 감소했다. 젖소의 등급판정 두수는 5만 9492두로 0.7% 감소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1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2pixel, 세로 30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1pixel, 세로 329pixel

[돼지 판정 두수 및 증감률]

[돼지 등급별 출현율]

 

  지난해 돼지 등급판정 두수는 1854만 5157두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으며, 1등급 이상 출현율은 67.6%로 0.3%p 증가했다.

 

  등외를 제외한 돼지(탕박)의 평균 경락가격은 5,927원/㎏으로 전년 대비 707원(13.5%) 상승했고, 도체중량은 88.1㎏, 등지방두께는 21.1㎜로 나타났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5pixel, 세로 33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6pixel, 세로 366pixel

[닭 도계 수수* 및 등급판정 수수]

[통닭 규격(호수)별 출현율]

 

  닭 등급판정 수수는 1억 1373만 5395수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고, 전체 도계 수수*의 11.1%를 차지했다.

  * 도계 수수: 농림축산검역본부 발표 수치

 

  전체 도계 등급판정 수수 중 50.7%가 통닭으로 판정되었고, 규격별 비율은 12호 21.3%, 13호 19.6%, 11호 15.3%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7pixel, 세로 33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4pixel, 세로 369pixel

[오리 도압 수수 및 등급판정 수수]

[오리 규격(호수)별 출현율]

 

  오리 등급판정 수수는 2018만 8133수로 전년 대비 14.6% 증가했고, 전체 도압 수수*의 33.6%를 차지했고, 규격별 비율은 25호 17.2%, 24호 15.6%, 26호 15.5% 순으로 나타났다.

  * 도압 수수: 농림축산검역본부 발표 수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9pixel, 세로 33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4pixel, 세로 372pixel

[계란 생산 개수* 및 등급판정 개수]

[계란 등급별 출현율]

 

  계란 등급판정 개수는 11억 2047만 4857개로 전년 대비 3.2% 감소했고, 전체 계란 생산 개수*의 6.8%를 차지했다. 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 88.8%, 1등급 11.2%, 2등급 0.0%였다.

  * 계란 생산 개수: 통계청 가축동향조사의 분기별 일평균 생산 개수를 1년치로 환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000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33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ccbf3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7pixel, 세로 333pixel

[말 도축 두수* 및 등급판정 두수]

[말 육질등급별 출현율]

 

  말 등급판정 두수는 691두로 전년 대비 33.1% 증가했고, 전체 도축 두수*의 46.0%를 차지했다. 육질 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 40.7%, 2등급 32.0%, 3등급 26.6%, 등외 0.7%로 나타났다.

  * 말 도축 두수: 농림축산검역본부 발표 수치

 

  한편, 본 통계연보는 축산물품질평가원 누리집(www.ekape.or.kr)*에서 누구나 쉽게 전자파일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 접속경로: 누리집(www.ekape.or.kr) → 정보공개 → 통계정보 → 통계연보

 

  박병홍 원장은 “이번 통계연보가 가축개량, 사양관리, 정책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길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축산물품질평가원은 객관적인 축산데이터 확보와 분석을 통해 소비자 정보를 확대하고 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고사리손으로 뽐낸 ‘인삼‧약초 사랑’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지난달 20일 인삼특작부에서 진행한 ‘어린이 대상 인삼약초 자원 체험‧그림그리기 행사’의 수상작으로 정유담 어린이의 ‘약초자원온실’ 등 10점(대상 1점, 우수상 1점, 장려상 3점, 입선 5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대상 수상작 ‘약초자원온실’> 올해 처음 진행한 이 행사는 우리 인삼, 특용작물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충북 지역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국립약용식물원(충북 음성)에서 진행했다. 행사에는 지역 17개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34명이 참여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현장에서 접수한 그림을 대상으로 내·외부 전문가(4명) 심사를 거쳐 수상작을 뽑았다. 대상은 정유담 어린이의 ‘약초자원온실’ 그림이 차지했다. 정유담 어린이는 인삼, 약초, 버섯이 모두 자라는 온실을 다양한 색감으로 표현했다. 우수상은 약용식물원 오솔길과 점점 자라나는 식물을 표현한 최시은 어린이가 받았다. 장려상은 인삼, 약초, 버섯 자원 체험을 그림으로 표현한 김수민 어린이, 식물의 잎을 도화지에 붙여 독창적으로 약초를 표현한 김정후 어린이, 가족과 즐겁게 약용식물원을 즐기는 모습을 담은 오의택 어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2023년 6월 ‘이달의 임업인’은 강원 춘천의 김은실 씨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2023년 6월 ‘이달의 임업인’으로 강원 춘천에서 지역 특산물인 잣을 활용하여 가공·판매하는 김은실(만49세, 농업회사법인 하늘비)씨를 선정했다. 김은실 대표는 17년 전 귀산촌한 이후 임산물생산·가공·유통을 통해 고소득을 올리는 성공한 여성임업인이다. 김 대표는 1차 산업으로 인식되는 임업에서 고부가가치사업으로 육성·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2017년부터 임산물(잣) 유통·가공시설 설치, 마을특화작목사업 추진(마을작목반 개설), 체험상품의 개발·육성 등 적극적인 임업 활동을 통해 청정임산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잣을 채취하여 수요처에 판매하는 수동적인 판매방식을 개선하여 지역주민들이 생산한 잣을 직접 수매하여 가공하고, 안정적인 판로를 개척하는 등 마을주민의 지속적인 매출 상승을 주도하여 지역 발전에 앞장섰다. 김 대표는 앞으로도 잣나무숲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관광상품의 개발을 통해 마을 주민들이 꾸준한 소득을 얻도록 도움을 주는 임업인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심상택 산림산업정책국장은 “김은실 대표처럼 임산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가공상품 및 체험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 고소득을 올리는 임업인이 많이 나올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