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 큰 폭으로 성장 중

- 2015년 시장규모 2조 3,291억원, 최근 5년 사이 연평균 8.4% 성장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건강기능식품 시장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현황) 국민들의 소득증대로 웰빙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한 노후생활이 중시되고 있다.

* 기대수명 : (1960) 52.4(2014) 82.4

 이에 따라 국민들의 건강검진율*(19세 이상)‘0748.6%에서 ’1561.3%로 증가하고, 아웃도어 산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최근 2년 동안 건강을 위해 건강검진을 받은 비율(2015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식품업계에서도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의)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 포함)한 식품을 말한다.(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3조제1)

* 일반식품과 달리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등 과학적 근거를 평가하여 기능성 원료를 인정함

 국가별로는 다른 개념과 제도에 의해 다양한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 미국(식이보충제), 유럽(식품보충제), 일본(보건기능식품), 중국(보건식품)

(시장규모) 건강기능식품‘15년도 국내 시장규모23,291억원으로, ‘1116,855억원 이후 연평균 8.4%의 성장세보이고 있다.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1-2015

연평균성장률

총 출하액

 

13,682

14,091

14,820

16,310

18,230

7.4%

 

국내 출하액

13,126

13,507

14,066

15,640

17,326

7.2%

 

해외 수출액

556

584

754

670

904

12.9%

수입액

3,729

3,532

3,854

4,412

5,965

12.5%

국내 시장 규모

16,855

17,039

17,920

20,052

23,291

8.4%

연도별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식품의약품안전처1) 총 출하액 :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에서 출하하는 금액 (국내 판매액+수출액)

2) 국내 시장 규모 = 국내 출하액 + 수입액

3) 연도별 적용 환율(/1$), 종가기준 대미 연평균 환율,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1,107.99(2011), 1,126.76(2012), 1,095.04(2013), 1,053.12(2014), 1,131.52(2015)

 품목별로 살펴보면 홍삼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제품의 출하액이 6,685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38.6%)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개별인정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 개별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심사를 거쳐 인정받은 영업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개별인정된 원료(개별인정형 원료)를 사용한 제품

품목명

2011

2012

2013

2014

2015

홍삼

6,980

6,294

5,627

6,093

6,685

개별인정제품

1,419

1,790

2,296

3,128

3,123

비타민 및 무기질

1,555

1,622

1,726

1,397

2,041

프로바이오틱스

278

373

618

1,214

1,320

밀크씨슬 추출물

-

-

308

676

698

알로에

691

687

628

565

530

EPA DHA 함유 유지

-

-

-

-

474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

206

440

95

217

259

인삼

231

318

272

333

239

식이섬유

116

168

167

171

var 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Int("680"); var imageLoaded = function(obj) { // Run onload code. var title = obj.attr('title'); obj.attr('alt', title); obj.removeAttr('title'); var image_align_class = ""; var clazz = obj.attr('class'); if (clazz != null && clazz.length > 0) { image_align_class = " "+clazz; } // 에디터에서 들어간 기사가 아닐 경우, 태그 씌우지 않음 if(obj.attr('xtype') === undefined) { return; } obj.attr('class', 'img'); obj.removeAttr('xtype'); var w = obj.width(); if (isNaN(w)) { w = 0; } var h = parseInt(obj.css('height')); if (isNaN(h)) { h = 0; } if (w <= 0) { var timg = new Image(); timg.src = this.src; w = parseInt(timg.width); if (isNaN(w)) { //... } } if (w > MYNEWS_PHOTO_LIMIT_WIDTH) { var pct = parseFloat(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Float(w); w = MYNEWS_PHOTO_LIMIT_WIDTH; if (pct > 0 && pct < 1 && h > 0) { h = Math.floor(parseFloat(h) * pct); } } obj.css('width', w+"px"); if (h > 0) { obj.css('height', h+"px"); } if(image_align_class.trim() == "sm-image-c") { obj.wrap("
"); } else { obj.wrap("
"); } if (title != null && title.length > 1) { // 기본 공백 무시 if (title.indexOf('▲') == -1) { title = '▲ ' + title; } // obj.after("
"+title+"
"); obj.after("
"+title+"
"); } // 이미지 테이블 처리 if(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ews_body_area').length > 0){ if(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ews_body_area')[0].getElementsByTagName('img').length > 0){ imgTag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news_body_area')[0].getElementsByTagName('img'); for(i = 0; i < imgTag.length; i++){ width = imgTag[i].width; tableTag = imgTag[i].parentNode.parentNode.parentNode.parentNode.parentNode; if(tableTag.tagName == 'TABLE'){ tableTag.setAttribute('style',"width:" + width + "px;margin:10px auto"); } } } } } var img_caption = setInterval(make_caption, 1000); function make_caption() { /* $("img[xtype='photo']").each(function() { if($(this).width() > 0) { imageLoaded($(this)); clearInterval(img_caption); } }); */ $("div.news_body_area img").each(function() { if($(this).width() > 0) { imageLoaded($(this)); clearInterval(img_caption); } }); }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정식품, 단백질 음료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 디지털 광고 영상 공개
오리지널 1등 두유 베지밀 및 국내 최초의 특수의료용도식품 브랜드 그린비아를 생산·판매하는 ㈜정식품(대표 정연호)이 단백질 음료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액티브)’의 신규 디지털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광고 영상은 AI 기술을 활용해 제작된 콘텐츠로, 영상에는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에 함유된 타우린과 아르기닌 성분의 활기찬 에너지로 ‘오늘도, 내일도 오운완(오늘 운동 완료)’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실제 인물이 아닌 AI로 구현한 가상 인물이 등장해 실제 모델만큼 정교한 인물 표현과 자연스러운 스토리텔링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진짜 사람인 줄 알았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정식품은 이번 광고 영상 공개와 함께 지난 12일부터 2개월여간 피트니스센터 전문 OOH 기업 어시스트핏(Assistfit)과 협업해 수도권 내 어시스트핏 제휴 피트니스센터 600곳에서 영상을 송출하고 있으며 오는 6월 15일까지 SNS 인증샷 이벤트를 함께 진행한다. 참여 방법은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와 함께 인증샷을 촬영하고 베지밀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태그한 뒤, 필수 해시태그를 포함해 개인 계정에 업로드하면 된다.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선정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