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와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첨단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개발 및 실증의 성공으로 시설원예 농가의 경영비 절감과 농가소득의 증대가 기대되고 있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하, 농기평, 원장 오경태)은 농식품 R&D 과제를 지원하여 “가축분뇨 및 농산부산물을 활용한 농업시스템 개발과 시설채소 하우스의 동절기 에너지 자립 실증”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개발 및 실증에 성공한 시스템은 가축분뇨와 농산 부산물을 이용하여 생산한 바이오가스로 시설 오이 하우스의 동절기 난방용 에너지, 하절기 냉방용 에너지를 자립하는 20톤/일 규모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실증시설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기평은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난 2012년부터 3년간 시설채소 하우스 에너지를 자립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개발 및 실증 연구를 지원해왔다.
※ 연구과제명 : 지역단위 농축산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개발 및 실증 (연구진 : 한경대학교, 동국대학교, 고등기술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연구를 주관한 한경대학교 연구팀은 본 실증시설은 바이오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분리한 후 온실 내 투입하여 광합성 증대를 통한 생육을 촉진하고 수량과 품질을 향상 시켰으며, 혐기소화액은 균질 액비로 전환하여 액체비료로 이용하는 친환경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개념도>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시설 오이농가의 농산물 판매수익을 1.8배(ha당 312→563백만원) 개선하고, 농가경영비를 25%(ha당 172→130백만원) 절감하는 등 약 3배의 경영성과가 개선되었다고 나타났다.
주관연구기관인 한경대학교 윤영만 교수는 개발된 기술은 참여기업인 (주)대우건설, (주)케이이씨시스템이 이전받아 “농식품부 가축분뇨 에너지화 사업(100톤/일 규모)”의 공법사로 선정되어 사업화를 추진 중에 있어 청정에너지 농업ㆍ농촌개발 신모델로 제시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오경태 농기평 원장은 “가축분뇨 및 농산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및 공동자원화시설의 실증을 위한 연구지원 확대로 자원순환농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정책과 R&D와 현장실증이 연계된 성과 창출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