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8월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8.9포인트) 대비 1.3% 하락한 176.6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식량가격지수는 ‘17.5월부터 7월까지 이후 3개월 연속 상승하다가 하락하였으며, 곡물, 설탕 및 육류의 하락률이 커서 유지류, 유제품의 상승률을 상쇄한 것에 기인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7.4월)168.9→(5월)172.9→(6월)175.3→(7월)178.9→(8월)176.6
< 상승 품목군 >
(유지류) ’17.7월(160.4포인트)보다 2.5% 상승한 164.4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류는 지난 2개월 연속 하락 이후 팜유 및 다른 주요 유지류 가격의 상승으로 반등하였다.
팜유 가격은 예상보다 낮은 동남아시아 생산량과 말레이시아에서 재고 보충 필요성이 대두될 정도의 꾸준한 수요로 상승하였다.
대두유 가격은 내수 증가를 촉발할 수 있는 미국의 바이오디젤 수입 정책의 변경으로 상승하였으며, 유채씨‧해바라기유 가격은 예상보다 낮은 세계 가용량으로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유제품) ’17.7월(216.6포인트)보다 1.4% 상승한 219.7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2% 높은 수준이나, ‘14.2월 최고치(275.4포인트)보다는 20% 낮은 수준이다.
버터, 전지분유 가격은 유럽과 북미내의 유지방 수요 강세에 따른 수출 가용량 감소로 상승하였다.
반면, 탈지분유 가격은 수출 가용량 증가 전망에 따라 하락 압박을 받고 있으며 국제 치즈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 하락 품목군 >
(곡물) ’17.7월(162.2포인트)보다 5.4% 하락한 153.4포인트 기록
지난 3개월간 상승세를 보였던 곡물가격은 8월에는 풍부한 세계 공급량으로 하락하였으며, 밀 가격은 흑해지역 생산량 증가 전망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 전월 대비 8% 하락하였다.
특히 남미의 옥수수 등 주요 잡곡 가격은 막대한 수출 가용량으로 인해 하락하였으며, 쌀 가격은 신곡 확보 직전의 가용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입 둔화로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설탕) ’17.7월(207.5포인트)보다 1.7% 하락한 203.9포인트 기록
국제 설탕가격은 연초부터 하락세였으며 이번 하락은 브라질, 태국, 인도 등 주요 생산국의 양호한 사탕수수 수확 전망이 영향을 미쳤다.
국제 수요 약세와 중국과 인도의 높은 수입 관세 등도 가격 하락에 원인을 제공하였다.
(육류) ’17.7월(174.5포인트)보다 1.2% 하락한 172.4포인트 기록
육류 가격은 올해 1월 대비 8.5% 높은 수준이나 ‘14.8월 최고치(212.0포인트) 보다는 18.7% 낮은 수준이다.
쇠고기 가격은 호주의 수출용 공급 증대와 미국내 공급량 증가 전망으로 하락하였으며 양고기, 돼지고기, 가금육의 수입 수요는 강세이지만, 주요 생산지역의 공급량 또한 충분하여 사실상 가격 변동이 없었다.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610.9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0.1%(2.6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3백만톤(0.5%↑), 잡곡 1,359(0.9%↑) / 밀 749(1.5%↓) 2017/18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591.4백만톤으로 2016/17도 대비 0.9%(23.2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6백만톤(1.3%↑), 잡곡 1,354(1.3%↑) / 밀 731(0.1%↓) 2017/18년도 기말 재고량은 719.1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1.9%(13.8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1백만톤(0.3%↑) / 잡곡 286(0.5%↓) / 밀 262(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