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8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소폭 하락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8월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8.9포인트) 대비 1.3% 하락한 176.6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식량가격지수는 ‘17.5월부터 7월까지 이후 3개월 연속 상승하다가 하락하였으며, 곡물, 설탕 및 육류의 하락률이 커서 유지류, 유제품의 상승률을 상쇄한 것에 기인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7.4월)168.9→(5월)172.9→(6월)175.3→(7월)178.9→(8월)176.6
 
< 상승 품목군 >

 (유지류) ’17.7월(160.4포인트)보다 2.5% 상승한 164.4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류는 지난 2개월 연속 하락 이후 팜유 및 다른 주요 유지류 가격의 상승으로 반등하였다. 
 팜유 가격은 예상보다 낮은 동남아시아 생산량과 말레이시아에서 재고 보충 필요성이 대두될 정도의 꾸준한 수요로 상승하였다.  
 대두유 가격은 내수 증가를 촉발할 수 있는 미국의 바이오디젤 수입 정책의 변경으로 상승하였으며, 유채씨‧해바라기유 가격은 예상보다 낮은 세계 가용량으로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유제품) ’17.7월(216.6포인트)보다 1.4% 상승한 219.7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2% 높은 수준이나, ‘14.2월 최고치(275.4포인트)보다는 20% 낮은 수준이다.  
 버터, 전지분유 가격은 유럽과 북미내의 유지방 수요 강세에 따른 수출 가용량 감소로 상승하였다. 
 반면, 탈지분유 가격은 수출 가용량 증가 전망에 따라 하락 압박을 받고 있으며 국제 치즈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 하락 품목군 >

 (곡물) ’17.7월(162.2포인트)보다 5.4% 하락한 153.4포인트 기록

 지난 3개월간 상승세를 보였던 곡물가격은 8월에는 풍부한 세계 공급량으로 하락하였으며, 밀 가격은 흑해지역 생산량 증가 전망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 전월 대비 8% 하락하였다. 
 특히 남미의 옥수수 등 주요 잡곡 가격은 막대한 수출 가용량으로 인해 하락하였으며, 쌀 가격은 신곡 확보 직전의 가용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입 둔화로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설탕) ’17.7월(207.5포인트)보다 1.7% 하락한 203.9포인트 기록

 국제 설탕가격은 연초부터 하락세였으며 이번 하락은 브라질, 태국, 인도 등 주요 생산국의 양호한 사탕수수 수확 전망이 영향을 미쳤다. 
 국제 수요 약세와 중국과 인도의 높은 수입 관세 등도 가격 하락에 원인을 제공하였다. 

 (육류) ’17.7월(174.5포인트)보다 1.2% 하락한 172.4포인트 기록

  육류 가격은 올해 1월 대비 8.5% 높은 수준이나 ‘14.8월 최고치(212.0포인트) 보다는 18.7% 낮은 수준이다.  
 쇠고기 가격은 호주의 수출용 공급 증대와 미국내 공급량 증가 전망으로 하락하였으며 양고기, 돼지고기, 가금육의 수입 수요는 강세이지만, 주요 생산지역의 공급량 또한 충분하여 사실상 가격 변동이 없었다.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610.9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0.1%(2.6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3백만톤(0.5%↑), 잡곡 1,359(0.9%↑) / 밀 749(1.5%↓)
 2017/18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591.4백만톤으로 2016/17도 대비 0.9%(23.2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6백만톤(1.3%↑), 잡곡 1,354(1.3%↑) / 밀 731(0.1%↓)
 2017/18년도 기말 재고량은 719.1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1.9%(13.8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1백만톤(0.3%↑) / 잡곡 286(0.5%↓) / 밀 262(5.9%↑)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농촌진흥청, 수확량·품질 ‘쑥’ 용도별 콩 품종 안내
최근 고온 다습한 날씨가 9월 중하순까지 이어져 콩 품질 저하와 성숙 지연 등이 나타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불리한 기상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콩 생산을 돕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이 개발하고 국립종자원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보급한 용도별 주요 콩 품종의 특성과 재배 유의점을 소개했다. ▲ 장류 및 두부용 콩 ‘다드림’, ‘선유2호’, ‘선풍’ ‘다드림’은 두부 수율이 높고 맛과 식감이 우수한 품종이다. 만생종으로 종자 빛깔이 밝고 백 알의 무게가 30.9g으로 알 크기도 굵다. 쉽게 쓰러지지 않고 착협고*가 높아 기계수확에 적합하나, 건조할 때 꼬투리가 터질 수 있어 제때 수확해야 한다. *착협고: 땅바닥에서 첫 번째 달린 꼬투리의 하단부까지의 높이(높을수록 기계수확 시 안정적) ‘선유2호’는 생육기간이 짧아 이모작에 유리하다. 꼬투리가 잘 터지지 않고 알이 굵어 콩 품질이 우수하지만, 키가 작고 착협고가 낮다. 1.5배 빽빽하게 심으면(밀식재배) 기계수확이 쉽고 수확량을 확보할 수 있다. ‘선풍’은 논 콩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수량성이 높고 쓰러짐과 꼬투리 터짐에 강하다. 일찍 심거나 빽빽이 심으면 쓰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