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익는 시기 빠르고 추위에 강한 우리 밀 ‘조한’

- 쫄깃한 국수용 우리 밀, 수량도 10a당 517kg으로 많아 -

밀의 재배면적 확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해 익는 시기가 빠르고 추위에 강한 신품종 밀이 개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익는 시기가 빠르면서 추위에 강하고 생산량이 많은 국수용 밀 신품종 '조한'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조한'은 익는 시기가 대비 품종 '금강'에 비해 빠르고 추위에 견디는 정도가 강하며 수량이 10a당 517kg으로   약22% 더 많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10.0%, 글루텐 함량은 7.3%로 국수용으로 적합하고, 밀가루 색이 밝은 편이다.

'조한'으로 국수를 만든 결과, 면색이 밝고 점성과 탄성이 높아  쫄깃한 식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개발한 '조한'의 종자는 농촌진흥청 종자증식 단계를 거쳐 2018년부터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한편, 국내 밀 소비량은 국민 1인당 연간 34kg으로 쌀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자급률은 1.2%로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 밀 자급률 향상이 시급하다.

국산 밀은 보통 가을에 씨를 뿌리고 추운 겨울을 지난 다음 6월 상순쯤에 수확하기 때문에 농약사용이 적으며, 당해 생산된 밀을 제공해 안전하고 신선하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밀 품종개발은 주로 익는 시기를 앞당기고 생산량의 증대를 목표로 진행돼 왔으나, 추위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수량이 적은 단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돼 왔다.

농촌진흥청 작물육종과 강천식 연구사는 "국산 국수용 밀 '조한' 개발로 농가소득 증대와 국산 밀 재배면적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농촌진흥청, 수확량·품질 ‘쑥’ 용도별 콩 품종 안내
최근 고온 다습한 날씨가 9월 중하순까지 이어져 콩 품질 저하와 성숙 지연 등이 나타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불리한 기상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콩 생산을 돕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이 개발하고 국립종자원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보급한 용도별 주요 콩 품종의 특성과 재배 유의점을 소개했다. ▲ 장류 및 두부용 콩 ‘다드림’, ‘선유2호’, ‘선풍’ ‘다드림’은 두부 수율이 높고 맛과 식감이 우수한 품종이다. 만생종으로 종자 빛깔이 밝고 백 알의 무게가 30.9g으로 알 크기도 굵다. 쉽게 쓰러지지 않고 착협고*가 높아 기계수확에 적합하나, 건조할 때 꼬투리가 터질 수 있어 제때 수확해야 한다. *착협고: 땅바닥에서 첫 번째 달린 꼬투리의 하단부까지의 높이(높을수록 기계수확 시 안정적) ‘선유2호’는 생육기간이 짧아 이모작에 유리하다. 꼬투리가 잘 터지지 않고 알이 굵어 콩 품질이 우수하지만, 키가 작고 착협고가 낮다. 1.5배 빽빽하게 심으면(밀식재배) 기계수확이 쉽고 수확량을 확보할 수 있다. ‘선풍’은 논 콩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수량성이 높고 쓰러짐과 꼬투리 터짐에 강하다. 일찍 심거나 빽빽이 심으면 쓰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