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한국 토종개, 유전적 독창성 지니며 한반도 유입·정착

- 농촌진흥청, 고대·현대 개 2천 258마리 유전체 분석 -

한국 토종개의 뿌리는 어디일까?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무술년 개의 해를 맞아 한국 토종개와 야생·고대·현대의 개 33품종 2천 258마리의 유전체 분석결과를 비교해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대표 토종개인 진돗개1), 풍산개, 경주개동경이는 야생 늑대를 공통 조상으로 기원했지만, 각각의 독특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며 한반도에 정착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체 분석에 활용된 우리나라 토종개는 진돗개(백구, 흑구, 네눈박이2), 호구3), 풍산개(백구), 경주개동경이(백구) 총 3품종, 6개 집단, 189마리이다.

개과(犬科) 야생종으로는 늑대, 코요테 2종을, 고대 품종으로는  차우차우, 샤페이, 아프간하운드, 시베리안허스키 등을, 현대 품종으로는 복서, 보더콜리, 치와와, 그레이트데인 등을 활용했다.

연구진은 개의 디엔에이(DNA)에 존재하는 유전자형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유전자 칩을 이용해 개의 전체 유전체를 비교·분석했다.

먼저, 한국 토종개는 중국 개, 일본 개와 더불어 고대 개 품종들과 유전적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현대 품종들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진돗개, 풍산개, 경주개동경이 3품종의 유전적 근연4)관계가 매우 가까웠고 외국 품종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한국 토종개들이 자신들만의 고유한 집단을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 토종개는 다른 외국 개 품종에 비해 늑대·코요테의 유전자형을 많이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한국 토종개들이 야생성을 더 많이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 우리나라 토종개 중 야생 늑대의 유전적 특징은 풍산개, 경주개동경이, 진돗개 순으로 더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박범영 축산생명환경부장은 “한국 토종개의 유전자원의 보호·육성을 위해서는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관련 연구를 확대해야 한다.”라며“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기술은 관련 지방자치단체에 지속적으로 보급하고 한국 토종개의 유전적 정체성을 세계 애견연맹 등에 알려 세계적인 명견 육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개 품종들 사이에서 한국 토종개의 유전학적인 정체성과 독창성을 정립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국제 과학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5))’에 실렸다.

한편, 한국 토종개들의 유효집단크기6)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어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보호·육성 사업이 시급해 보인다.

한국 토종개의 유효집단크기는 진돗개 흑구 485마리, 진돗개 네눈박이 262마리, 풍산개 백구 110마리, 경주개동경이 백구 109마리에 머물고 있다. 
--------------------------------------------------
1) 전남 진도에서 천연기념물로 관리를 받는 진돗개는 ‘진도개’라 부르지만, 본문에서는 ‘진돗개’로 통일함.
2) 블랙탄(Black&Tan): 진돗개의 모색(털)이 검은 바탕에 얼굴, 복부, 다리가 황색이나 흰색을 띠는 품종.
3) 브린들(Brindle): 호랑이 무늬의 모색을 갖는 진돗개.
4) 개의 품종이나 집단 간에 서로 공유하는 유전자형에 따라서 유전적 거리가 가까운 정도를 말함.
5)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에서 2006년부터 간행되는 과학저널. 논문표준화영향력지수, 83.87
6) 유효집단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집단은 근친도가 높아지고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짐. 유효집단크기가 50마리가 되면 멸종위기종에 가까워짐.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웨어러블 로봇, 전술진화차…산림재난 혁신 연구개발 성과 한눈에 본다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세종시 금강자연휴양림 일원에서 산림과학기술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개발된 웨어러블 로봇 등 산림 재난분야 혁신제품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시연회에는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조달청 및 지방자치단체 등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불진화를 위해 개발된 △스텝업(Step-up) 웨어러블 로봇 △다목적 중형 산불진화차 △고중량 산불진화드론 등 국가 혁신제품 3종이 소개됐다. 산림청에서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은 장시간 산불진화에 투입되는 인력의 피로도 개선,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한 제품이다. 국가 연구개발비 2억 원을 투입해 만든 이 제품은 지난해 12월 국가 혁신제품*으로 지정됐으며 올해 하반기 조달청 시범구매 사업을 통해 강원, 영남권역 등 대형산불 위험지역에 보급될 예정이다. * 최근 5년 이내 국가 연구개발(R&D)이 완료된 제품 중 혁신성이 인정된 제품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하면 진화인력의 허리 및 대퇴부 근력이 강화돼 경사진 현장에서 이동이 쉬워진다. 특히 호스 등 고중량 장비 운반 시 효율성이 증가되고 탑재된 위성항법장치(GPS)로 실시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진화인력의 전략적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