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18.1월, 아세안이 농식품 제1의 수출시장으로 등극

- 지난해 감소(△1.2%)한 신선농산물 수출은 30%이상 증가 -

(총괄) ‘18.1월 농식품 수출동향을 분석한 결과, 新남방정책 대상인 아세안이 제1의 농식품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으며, 역대 1월 농식품 수출 중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는 아세안 지역 농식품 수출이 전년 1월 동기 대비 27% 증가한 113백만불로, 110백만불(13.6%↑)을 기록한 일본을 제치고 제1의 농식품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으며
    * ‘16.1월(아세안 : 81.4백만불, 일본 76.7)에 이어 두 번째 
 
 ‘18.1월 농식품 수출은 전년 동기(490백만불) 대비 13.7% 증가한 557백만불로 역대 1월 농식품 수출 중 최대 실적(기존 1위 : ’15.1월 494백만불)이라고 밝혔다.

 (국가별) 농식품 수출은 일본‧중국‧미국‧아세안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증가하였으며, 아세안 시장이 제1의 농식품 수출시장으로 떠올랐다.
 
 아세안은 딸기‧배 등 과채류 수출 증가와 매운맛 라면 인기 지속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 
  - 특히, 베트남(41백만불, 49.9%↑)과 인도네시아(18, 55.4%↑)는 50% 급증
    * 주요 수출품목 : (라면) 82백만불, 45.4%↑, (딸기) 5, 24.7%↑, (배) 3, 201.3%↑
 
 또한, 지난해 사드여파 등으로 감소(△10%)했던 중국은 유자차․맥주 등 수요 증가로 8.0% 증가
    * 주요 수출품목 : (맥주) 2백만불, 33.9%↑, (유자차) 2, 73.8%↑
 
 일본은 파프리카(국내 생산량 증가)‧토마토(샐러드 등 식재료 수요 증가) 등 수출 증가, 미국은 소스류(바비큐소스 등)‧배(명절 수요) 등 수요 증가하며 각각 13.6%, 20.6% 증가  
    * 對 일본 주요 수출품목 : (파프리카) 7백만불, 23.7%↑, (토마토) 1, 32.1%↑
    * 對 미국 주요 수출품목 : (소스류) 4백만불, 36.3%↑, (배) 3, 87.6%↑

 (신선농산물) 인삼류‧채소류‧과실류‧버섯류 등 대부분의 품목이 두 자릿수의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년 동기 대비 32.4% 증가한 115백만불을 상회하였다.
 
 인삼류(16백만불, 35%↑)는 2월 명절 수요에 따라 미국(4, 131%↑)․대만(2, 96%↑)으로의 홍삼정․인삼음료 등 선물용 수출 증가
 
 딸기(9백만불, 20.1%↑)․파프리카(7, 23.8%↑) 등 수출호조로 채소류는 전년 동기 29.2% 증가(25백만불)하였으며 특히, 딸기는 국산품종(매향)이 고유의 향․당도․식감 등이 우수하여 홍콩․싱가폴․베트남․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서 인기*가 지속 
    * 태국에서 딸기는 발렌타인데이 최고의 인기 선물로 인식
 
 과실류는 명절 수요에 따른 배(11백만불, 63.7%↑)․사과(1, 75.8%↑)의 미국․대만으로의 수출 증가와 유자차의 對중화권 시장 수요증가*로 전년 동기 30.4% 증가한 29백만불  
    * 유자차는 ‘17년 대만 온라인 히트상품 1위
 
 버섯류(5백만불, 41.9%↑)는 새송이버섯이 타국산에 비해 식감․풍미가 좋아 네덜란드(1, 60%↑)에서, 팽이버섯은 미국(1, 36%↑)에서 수요증가  
 (가공식품) 라면(34백만불, 30.9%↑)‧음료(30, 44.7%↑)‧소스류(19, 44.9%↑) 등의 두 자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 9.7% 증가한 442백만불을 달성하였다.
 
 라면은 매운맛 라면(볶음면 등)에 대한 인기가 지속되며 미국‧동남아(태국, 말련 등)으로 수출 증가
   * 주요국 라면 수출실적 : (미국) 5백만불, 57.6%↑, (말련) 2, 178.9%↑, (태국) 2, 92.9%↑
 음료는 주력 수출국가인 미국(알로에음료), 동남아(과즙‧쌀 음료)의 수출호조로 두 자릿수 증가세
   * 주요국 음료 수출실적 : (미국) 5백만불, 15.4%↑, (인니) 3, 1,045.8%↑, (베트남) 1, 71.5%↑
 
 소스류(19백만불, 44.9%↑)는 중국 수출회복과 미국 내 매운맛에 대한 소비자 관심 지속 증대로 고추장(3백만불, 32.4%↑) 및 바비큐 소스 등의 수출 호조
    * 소스류 주요 국가별 수출실적 : (미국) 4백만불, 36.3%↑, (중국) 3, 64.3%↑
 농식품부는 아세안 등 수출시장 다변화와 對중 관계개선에 따른 중국시장 집중공략 등을 통해 농식품 수출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2월부터 국제식품박람회 참가 등 수출마케팅 사업과 수출컨설팅․상품개발․해외인증 및 바우처사업 등 수출업체 맞춤형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아세안 시장은 한국산 농식품에 대한 인식이 좋은 만큼 온‧오프라인 유통망*(80개 이상)에 한국농식품 상설 판매관을 구축하고 
    * (온라인) Qoo10․Happy Fresh 등 5개, (오프라인) 인니 국내 유통업체 45개, 베트남 현지 유통채널 23개, 싱가폴 K-Fresh Zone 10개 등

  - 젊은 인구층(40세이하 인구비중이 66%, ‘15)을 공략할 수 있는 간편식‧영유아식품 등 맞춤형 상품개발 등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세계 각 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원화강세 등 수출 장애요인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농식품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총동원할 것” 이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미래 축산 기술 공유의 장 마련 …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를 위한 현장 문제 해결형 상용화 기술 및 알고리즘 공모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축산 현장의 문제 해결을 주제로 하며 공모 분야는 △생산관리 △사양관리 △축산 환경개선으로 구분된다. 제출 부문은 상용화 기술과 알고리즘 개발 총 두 개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대회를 통해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용화 기술 우수사례와 알고리즘을 발굴해 확산할 예정이다. 상용화 기술 참가 대상은 스마트 축산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단체이며 알고리즘 개발은 기업·단체 및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다. 특히 공익적 관점의 환경·사회·투명(ESG) 주제에는 가점을 부여해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적극 발굴한다. 상용화 기술 부문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농가와 함께 발표를 진행해 현장의 실제 적용 효과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오는 7월 18일까지 전자우편 및 우편으로 참가 신청을 받아 1차 서면 심사,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7개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5월엔 신나는 숲속 놀이터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8일,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잘 갖춰진 국립자연휴양림을 소개했다. 국립용화산자연휴양림(강원 춘천)은 수직 미끄럼틀, 집재그, 인공암벽 등 활동적인 실내 체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산림레포츠를 즐기려는 가족 단위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립용지봉자연휴양림(경남 김해)과 국립속리산자연휴양림(충북 보은), 국립복주산자연휴양림(강원 철원)에는 밧줄을 이용한 재미난 숲속 놀이시설이 있어 아이들이 균형감각을 키우며 재미있게 놀 수 있다. 국립칠보산자연휴양림(경북 영덕)과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경기 가평)에는 산림복합체험센터 내에 디지털 과학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VR) 체험시설과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놀이터가 조성돼있어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터가 되고 있다. 이런 놀이시설들이 점차 알려지며 정적이고 조용한 곳으로만 여겨지던 국립자연휴양림이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숲속 놀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가족들이 함께 머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 있도록 휴양림 내 놀이시설을 더욱 확충해 나가겠다”라며, “가정의 달 5월에 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