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유제품, 곡물은 상승세, 설탕은 하락세 유지

- 4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수준 유지 -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8.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3.1포인트 3월 육류(169.8→170.5), 곡물(165.6→165.7) 및 설탕(185.9→185.5) 가격이 보정되어 3월 식량가격지수 일부 조정(172.8→173.1)
)과 비슷한 173.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식량가격지수는 ‘17.8월 이후 올해 1월까지 전반적인 하락세였으나 3개월 연속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유제품과 곡물 가격은 상승한 반면, 설탕, 유지류, 육류 가격은 하락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8.1월)168.5→(2월)171.4→(3월)173.1→(4월)173.5

< 상승 품목군 >

 (유제품) ’18.3월(197.4포인트)보다 3.4% 상승한 204.1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 11% 높은 수준이다. 이는 모든 유제품에 대한 수입수요 강세와 더불어 뉴질랜드의 예상보다 적은 우유 생산량으로 인한 시장의 우려에 기인하였다.

 (곡물) ’18.3월(165.7포인트)보다 1.7% 상승한 168.5포인트 기록
 
 곡물 가격은 4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월과 비교해 15.4% 높은 수준으로 밀, 잡곡, 쌀 모두 최근 상승세를 기록하였다.  
 
 밀 가격 상승은 최근 미국의 기상 관련 위험요인과 활발한 교역상황이 영향을 미쳤으며, 옥수수 가격은 아르헨티나 가뭄으로 인한 생산 악화, 미국의 재배면적 감소전망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쌀 가격은 인도네시아 정부수매와 필리핀 정부 수입 입찰에 따라 상승하였다. 
< 하락 품목군 >

 (설탕) ’18.3월(185.5포인트) 보다 4.8% 하락한 176.6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4.3% 낮은 수준으로 태국과 세계 제2대 설탕생산국인 인도의 역대 최대 생산량에 따른 설탕시장 공급과잉이 작년 12월부터 계속된 설탕 가격 하락을 이끌었다.
 
 그 밖에, 브라질 통화 가치 하락과 설탕 수출 증대를 겨낭한 인도 및 파키스탄 정부의 지원정책이 예상됨에 따라 추가적 영향을 미쳤다.

 (유지류) ’18.3월(156.8포인트)보다 1.4% 하락한 154.6포인트 기록

  유지류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하였으며, 유지류 가격지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팜유 가격은 수요증가 둔화 추세와 동남아시아에서의 계절적 생산 증가 전망으로 하락하였다.
 
  대두유 가격은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 증가로 하락세가 유지되었고, 해바라기씨유는 수출 공급량이 충분치 않을 거라는 예상에 따라 상승하였다. 

 (육류) ’18.3월(170.5포인트)보다 0.9% 하락한 169.0포인트 기록
 
 육류 가격은 전년 동기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쇠고기와 돼지고기 가격은 소폭 하락하였고 가금육과 양고기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쇠고기 가격은 북남미 수출량 증가로, 돼지고기 가격은 수입 수요 둔화로 하락하였다. 

< 2018/19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2018/19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607.0백만톤으로 2017/18년도 대비 1.6%(41.2백만톤)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11백만톤(1.3%)↑, 잡곡 1,350(2.6%↓) / 밀 747(1.5%↓)
 2018/19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625.9백만톤으로 2017/18년도 대비 0.6%(16.2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9백만톤(1.0%↑), 잡곡 1,374(0.4%↑) / 밀 743(0.8%↑)
 2018/19년도 기말 재고량은 735.5백만톤으로 2017/18년도 대비 2.7%(20.6백만톤)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3백만톤(1.2%↑) / 잡곡 284(8.1%↓) / 밀 279(0.8%↑)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미래 축산 기술 공유의 장 마련 …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를 위한 현장 문제 해결형 상용화 기술 및 알고리즘 공모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축산 현장의 문제 해결을 주제로 하며 공모 분야는 △생산관리 △사양관리 △축산 환경개선으로 구분된다. 제출 부문은 상용화 기술과 알고리즘 개발 총 두 개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대회를 통해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용화 기술 우수사례와 알고리즘을 발굴해 확산할 예정이다. 상용화 기술 참가 대상은 스마트 축산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단체이며 알고리즘 개발은 기업·단체 및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다. 특히 공익적 관점의 환경·사회·투명(ESG) 주제에는 가점을 부여해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적극 발굴한다. 상용화 기술 부문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농가와 함께 발표를 진행해 현장의 실제 적용 효과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오는 7월 18일까지 전자우편 및 우편으로 참가 신청을 받아 1차 서면 심사,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7개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5월엔 신나는 숲속 놀이터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8일,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잘 갖춰진 국립자연휴양림을 소개했다. 국립용화산자연휴양림(강원 춘천)은 수직 미끄럼틀, 집재그, 인공암벽 등 활동적인 실내 체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산림레포츠를 즐기려는 가족 단위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립용지봉자연휴양림(경남 김해)과 국립속리산자연휴양림(충북 보은), 국립복주산자연휴양림(강원 철원)에는 밧줄을 이용한 재미난 숲속 놀이시설이 있어 아이들이 균형감각을 키우며 재미있게 놀 수 있다. 국립칠보산자연휴양림(경북 영덕)과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경기 가평)에는 산림복합체험센터 내에 디지털 과학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VR) 체험시설과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놀이터가 조성돼있어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터가 되고 있다. 이런 놀이시설들이 점차 알려지며 정적이고 조용한 곳으로만 여겨지던 국립자연휴양림이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숲속 놀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가족들이 함께 머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 있도록 휴양림 내 놀이시설을 더욱 확충해 나가겠다”라며, “가정의 달 5월에 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