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서 전국 생산량의 35% 이상을 차지하는 무, 당근, 참다래 등 농작물에 대한 농약등록시험이 대부분 육지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주 생산지인 제주도의 토양성질과 환경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는 감귤 뿐만 아니라 월동채소 등 다양한 밭작물의 주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전국 생산량의 무 35.7%, 당근 38.2%, 양배추 25.7%, 메밀 36%, 참다래 40% 이상을 제주가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작물들의 농약등록을 위해 약효약해시험, 작물잔류성시험, 후작물 잔류성시험 등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제주를 제외한 육지에서 진행되고 있다.
2018, 2019년 진행된 약효약해시험의 경우 무는 197건 중 제주도에서 11건(5.6%), 당근은 54건 중 7건(13%), 양배추는 96건중 8건(8.3%), 메밀은 1건 중 0건(0%), 참다래는 37건 중 5건(13.5%, 2019년 0건)에 불과했다.
작물잔류성시험의 경우 무는 208건 중 1건, 당근은 83건 중 0건, 양배추는 63건중 0건, 참다래는 33건 중 6건(2019년 0건)으로 더욱 심각했다.
2020년부터 진행된 후작물 잔류성시험은 무와 당근에 대해서만 전국에서 각각 20건, 12건 진행 됐지만 제주는 1번도 시행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비트, 브로콜리, 콜라비, 고사리 등 전국 생산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에 대해서도 제주도에서 충분한 시험이 안 되고 있다.
농약등록시험은 신규 농약등록시 필요한 절차로 농작물 병해충 방제 등 효과 점검을 통해 농가 보급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고시에서는 ‘농약의 등록시험 기준과 방법’ 상 ‘작물잔류성 시험의 기준 및 방법’으로 ‘지역 또는 성질이 다른 토양 2개소 이상 선정하여 실시한다’고 돼 있다.
하지만 성질이 다른 토양을 갖고 있고 전국 생산량의 30%이상 차지하는 품목이 다수인 제주도에 이러한 규정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의 토양은 화산활동의 결과로 생긴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유기물함량, 보수력, 통기성, 용적밀도 등 육지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위성곤 의원은 "제주가 전국 생산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작물들의 농약등록시험 시 제주의 토양과 환경에서 시험이 이루어져 이를 근거로 제주 농민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제주도 특성에 맞는 농약등록시험이 가능하도록 적극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주지역의 전국 생산량 25%이상 작물의 약효약해시험 현황(‘18~’19년)>
작물명 |
제주지역 시험 건수 |
전체건수 |
비율 |
무 |
11 |
197 |
5.6% |
감귤 |
235 |
236 |
99.6% |
당근 |
7 |
54 |
13.0% |
메밀 |
0 |
1 |
0.0% |
양배추 |
8 |
96 |
8.3% |
참다래 |
5 |
37 |
13.5% |
합계 |
266 |
621 |
100% |
<제주지역의 전국 생산량 25%이상 작물의 작물잔류성시험 현황(‘18~’19년)>
작물명 |
제주지역 시험 건수 |
전체건수 |
비율 |
무 |
1 |
208 |
0.5% |
감귤 |
47 |
65 |
72.3% |
당근 |
0 |
83 |
0.0% |
양배추 |
0 |
63 |
0.0% |
참다래 |
6 |
33 |
18.2% |
합계 |
54 |
452 |
100% |
<제주지역의 전국 생산량 25%이상 작물의 후작물 잔류성시험 현황(‘20년)>
연번 |
시험년도 |
작물명 |
시험장소 |
구분 |
시험농약 |
1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다이아지논 |
2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보스칼리드 |
3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아족시스트로빈 |
4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이미다클로프리드 |
5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클로란트라닐리프롤 |
6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클로티아니딘 |
7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펜디메탈린 |
8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플루벤디아마이드 |
9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플루오피람 |
10 |
2020 |
무 |
전라남도 담양군 |
직권시험 |
플루톨라닐 |
11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다이아지논 |
12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보스칼리드 |
13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아족시스트로빈 |
14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이미다클로프리드 |
15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클로란트라닐리프롤 |
16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클로티아니딘 |
17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펜디메탈린 |
18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플루벤디아마이드 |
19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플루오피람 |
20 |
2020 |
무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플루톨라닐 |
21 |
2020 |
당근 |
전라남도 곡성군 |
직권시험 |
메톡시페노자이드 |
22 |
2020 |
당근 |
전라남도 곡성군 |
직권시험 |
보스칼리드 |
23 |
2020 |
당근 |
전라남도 곡성군 |
직권시험 |
클로란트라닐리프롤 |
24 |
2020 |
당근 |
전라남도 곡성군 |
직권시험 |
터부포스 |
25 |
2020 |
당근 |
전라남도 곡성군 |
직권시험 |
포레이트 |
26 |
2020 |
당근 |
전라남도 곡성군 |
직권시험 |
플루톨라닐 |
27 |
2020 |
당근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메톡시페노자이드 |
28 |
2020 |
당근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보스칼리드 |
29 |
2020 |
당근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클로란트라닐리프롤 |
30 |
2020 |
당근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터부포스 |
31 |
2020 |
당근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포레이트 |
32 |
2020 |
당근 |
충청남도 논산시 |
직권시험 |
플루톨라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