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농산물우수관리(GAP)인증 농산물 생산․유통기반 확대 추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주명, 이하 ‘농관원’)은 국민들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20년에 이어 ’21년에도 GAP 농산물 생산․유통기반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농산물우수관리(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제도: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환경 보전을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 및 유통의 각 단계에서 농업환경과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제도

 

 국민들의 먹거리 안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06년 GAP 인증제도 도입 이후 GAP 생산․유통기반이 확대되고, 국민들의 GAP 인증에 대한 신뢰도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20년 GAP 인증농가는 ’19년(99천호) 대비 15.4% 증가한 114천호로 전체 농가(1,007천호)의 11.3%를 차지하였다.

   ② GAP 관리시설*은 890개소로 ’19년(817개소) 대비 8.9% 증가하였다.

 * GAP 관리시설은?  GAP 농산물의 위생적인 수확 후 관리(절단, 세척, 박피, 건조 등)를 위한 시설로 ’20년말 RPC 186개소, APC 362개소, 기타 수확 후 관리시설 342개소 등을 지정․운영

 

   ③ GAP농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는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19년(70.5%)대비 8.2%p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농관원 기관 및 주요정책 인지도 조사 결과보고서」

 - GAP 인증품의 신뢰도 조사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신뢰 정도를 조사 

 - 조사대상 : 전국 20세 이상 65세 이하 일반국민 1,000명

 - 조사기간 : 2020.10.10.-11.6.(15일간)

 - 표본오차 : ±3.1%(95% 신뢰수준)

 - 조사방법 : 전화면접 조사

 - 조사기관 : ㈜현대리서치연구소

 

 GAP, 친환경인증 농산물 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국내 농약사용량은 지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농약 사용량*은 ’19년 16.7천톤으로 ’06년 24.1천톤 대비  30.7% 감소하였고, 농경지 단위면적(ha)당 농약 사용량도 ’19년 10.2kg으로 ’06년 12.9kg 대비 20.9% 감소하였다.(e-나라지표, www.index.go.kr)

    * 농약사용량 : (’06) 24.1천톤 → (’13) 18.7 → (’19) 16.7

    * 단위면적(ha)당 사용량 : (’06) 12.9kg → (’13) 10.9 → (’19) 10.2    

 농관원에서는 ’21년 GAP인증 농가 및 재배 면적, GAP 관리시설 확대 등 GAP 생산․유통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한다.


 

<생산기반 확대>

   ① ‘GAP 인증 기준 등’ 보완* 및 GAP 인증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관리를 강화한다.

     * (GAP 기준보완) 농산물 세척 용수에 대한 연 1회 이상 미생물검사 실시 등

     * (관리시설 기준보완) 세척농산물 처리 시설의 내벽, 천장 기준 개선 등

     * (안전성 조사 4200건) 농산물 잔류농약 3,700건, 농산물 및 자재 등의 식중독균(’20년 200건 → ’21년 500건 확대) 

   ② GAP인증 농가 및 관리시설 확대를 위해 농가 등을 대상으로 GAP 인증 컨설팅*을 확대하고, GAP 인증 전문가**를 육성한다. 

     * GAP인증 컨설팅: 농업인 ’20년 4,000명→’21년 4,760 / 관리시설: ’20년 10개소→’21년 20

     ** 인증기관 심사원: ’20년 300명 → ’21년 400, 내부심사자(1,000명) 등

 

<유통기반 확대 및 소비촉진>

   ③ GAP인증 농산물 홍보 및 급식주간 운영, GAP 우수사례 확산, GAP 농산물 체험행사** 등을 통해 소비를 촉진한다.

     * 기획판매전(온․오프라인 매장), 급식주간(어린이집), 경진대회 및 GAP 활성화 대회, 사이버 박람회 개최, 온라인쇼핑몰 배너광고 및 이벤트(매월), 유튜브(농업 및 농산물 관련 유튜브 광고), SNS(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 소비자단체(200명), 학교영양사(840명), 유통관계자(160명) 등

   ④ 일반 농산물을 GAP인증 농산물로 둔갑 판매하거나 GAP 인증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행위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다.

     * GAP 인증 위반 벌칙 : 거짓표시 등의 위반행위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농관원 이주명 원장은 “농관원에서는 사람과 환경을 중시하는 농정의 기본방향 하에서 국민들이 농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GAP 농산물 생산․유통기반을 지속 확대하고, 철저한 사후 관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강조하면서  

  - 소비자에 대해 사람과 환경을 중시하는 GAP, 친환경 등 인증 농식품의 가치를 인식하고, GAP 등 인증 농산물에 대한 소비를 확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