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3월 주택 통계(미분양, 매매·전월세거래량 및 건설실적) 발표

- (미분양 주택) 3월말 전국 미분양 주택 27,974호로 전월 대비 10.8% 증가

- (거래량) 3월 주택 매매거래량 5.3만 건으로 전월 대비 23.8% 증가, 전월세 거래량 25.0만 건으로 전월 대비 3.8% 증가

- (건설실적) 3월 누계 인허가는 11.2만호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 착공 8.4만호로 34.8% 감소, 분양 6.5만호로 9.6% 감소, 준공 7.9만호로 16.8% 감소

 

1. 미분양 주택

 

‘22.3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27,974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25,254호) 대비 10.8%(2,720호) 증가하였다.

 

 

   * ‘21.3월 15,270호 → ‘21.7월 15,198호 → ‘21.11월 14,094호 → ‘22.3월 27,974호

 

  수도권은 2,921호로 전월(2,318호) 대비 26.0%(603호)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25,053호로 전월(22,936호) 대비 9.2%(2,117호) 증가하였다.

 

   * (수도권) ‘21.3월 1,520호 → ‘21.7월 1,381호 → ‘21.11월 1,472호 → ‘22.3월 2,921호

   * (지   방) ‘21.3월 13,750호 → ‘21.7월 13,817호 → ‘21.11월 12,622호 → ‘22.3월 25,053호

 

준공 후 미분양은 7,061호로 전월(7,133호) 대비 1.0%(72호) 감소하였다.

 

   * ‘21.3월 9,965호 → ‘21.7월 8,558호 → ‘21.11월 7,388호 → ‘22.3월 7,061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1,689호로 전월(2,019호) 대비 16.3%(330호) 감소하였고, 85㎡ 이하는 26,285호로 전월(23,235호) 대비 13.1%(3,050호) 증가하였다.

 

2. 주택 거래량

 

【➊ 주택 매매거래량】

 

 ’22.3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53,461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월(‘22.2월, 43,179건) 대비 23.8% 증가, 전년 동월(’21.3월, 102,109건) 대비 47.6% 감소하였으며, 5년 평균(86,450건) 대비 38.2% 감소하였다.

 

   *  연도별 3월 거래량(만건):  (’18)9.3 → (’19)5.1→ (’20)10.9→ (’21)10.2→ (’22)5.3

 

  또한, ’22.3월까지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은 138,349건으로 전년 동기(279,809건) 대비 50.6% 감소, 5년 평균(236,466건) 대비 41.5% 감소하였다.

 

    *  연도별 3월 누계(만건):  (’18)23.3→ (’19)14.5→ (’20)32.5→ (’21)28.0→ (’22)13.8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

< 월별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68pixel, 세로 62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7pixel, 세로 636pixel

 

 (지역별) 수도권(20,109건)은 전월 대비 24.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59.3% 감소, 지방(33,352건)은 전월 대비 23.4%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6.8% 감소

 

  ’22.3월까지 누계 기준, 수도권(52,467건)은 전년동기 대비 63.5% 감소,
지방(85,882건)은 36.8% 감소하였다.

 

< ’22.3월 지역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22.3월

’22.2월

’21.3월

증감률(’22년 3월)

누계(1∼3월)

전월比

전년

동월比

5년 3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3월누계평균比

전 국

53,461

43,179

102,109

23.8%

△47.6%

△38.2%

138,349

△50.6%

△41.5%

수도권

20,109

16,149

49,358

24.5%

△59.3%

△56.0%

52,467

△63.5%

△57.6%

서 울

5,098

4,615

11,122

10.5%

△54.2%

△63.8%

14,544

△59.7%

△62.0%

지 방

33,352

27,030

52,751

23.4%

△36.8%

△18.0%

85,882

△36.8%

△23.9%

 

 (유형별) 아파트(32,487건)는 전월 대비 23.8% 증가, 전년 동월 대비 53.5% 감소, 아파트 외(20,974건)는 전월 대비 23.8%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5.0% 감소

 

  ’22.3월까지 누계 기준, 아파트 거래량(83,184건)은 전년동기 대비 57.2% 감소, 아파트 외(55,165건)는 35.5% 감소하였다.

 

< ’22.3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22.3월

’22.2월

’21.3월

증감률(’22년 3월)

누계(1∼3월)

전월比

전년

동월比

5년 3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3월누계평균比

전체

53,461

43,179

102,109

23.8%

△47.6%

△38.2%

138,349

△50.6%

△41.5%

아파트

32,487

26,232

69,827

23.8%

△53.5%

△44.3%

83,184

△57.2%

△49.0%

(수도권)

8,722

6,881

30,802

26.8%

△71.7%

△70.3%

22,489

△75.7%

△72.3%

(서  울)

1,236

1,404

4,495

△12.0%

△72.5%

△83.2%

3,921

△75.3%

△81.0%

아파트외

20,974

16,947

32,282

23.8%

△35.0%

△25.4%

55,165

△35.5%

△25.0%

 

【➋ 전월세 거래량】

 ※ (유의사항)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
됨에 따라 시계열 데이터(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평균比) 사용에 유의할 필요

 

  ㅇ 또한,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율이 낮은 갱신 계약 거래 건수가 과소 반영될 가능성이 높음(동 사유로 전월세 거래량은 국가승인통계가 아님)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2.3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50,079건**으로 집계되었다.

 

    * 임대차 신고대상이 아닌 계약의 경우 종전방식의 확정일자로 신고

   ** 임대차신고제 17.3만 건 + 확정일자 7.7만 건

 

  전월(240,881건) 대비 3.8% 증가, 전년 동월(219,457건) 대비 14.0% 증가,  5년 평균(188,396건) 대비 32.7% 증가하였다.

 

    * 연도별 3월 거래량(만건) :   (’18)17.8→(’19)17.7→(’20)20.0→(’21)21.9→(’22)25.0

 

  또한, ’22.3월까지 누계 전월세 거래량(695,457건)은 전년 동기(598,151건) 대비 16.3% 증가, 5년 평균(537,827건) 대비 29.3% 증가하였다.

 

    * 연도별 3월 누계(만건) : (’18)49.2→(’19)53.3→(’20)59.8→(’21)59.8→(’22)69.5

 

< 월별 전국 전월세 거래량 >

< 월별 서울 전월세 거래량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all.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88pixel, 세로 45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서울.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6pixel, 세로 425pixel

 

  (지역별) 수도권(172,758건)은 전월 대비 8.8%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3.9% 증가, 지방(77,321건)은 전월 대비 5.8%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4.2% 증가

 

< ’22.3월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22.3월

’22.2월

’21.3월

증감률(’22년 3월)

누계(1~3월)

전월比

전년

동월比

5년 3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3월누계평균比

전 국

250,079

240,881

219,457

3.8%

14.0%

32.7%

695,457  

16.3%

29.3%

수도권

172,758

158,769

151,730

8.8%

13.9%

35.5%

464,315  

16.3%

31.0%

서 울

82,791

77,962

72,785

6.2%

13.7%

32.4%

224,815  

17.1%

28.6%

지 방

77,321

82,112

67,727

△5.8%

14.2%

26.9%

231,142  

16.2%

26.0%

 

(유형별) 아파트(115,476건)는 전월 대비 4.4%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9.2% 증가, 5년 평균 대비 37.3%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134,603건)는 전월 대비 3.3% 증가, 전년 동월 대비 9.8% 증가, 5년 평균대비 29.1% 증가하였다.

 

《 ’22.3월 주택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전체주택

아파트

아파트 외

거래량

거래량

전월 比

전년

동월 比

5년평균 比

거래량

전월 比

전년

동월 比

5년평균 比

전 국

250,079

115,476

4.4%

19.2%

37.3%

134,603

3.3%

9.8%

29.1%

수도권

172,758

73,418

8.7%

21.3%

41.8%

99,340

8.9%

8.9%

31.2%

서 울

82,791

26,656

7.2%

26.4%

35.9%

56,135

5.7%

8.6%

30.8%

지 방

77,321

42,058

△2.2%

15.6%

30.1%

35,263

△9.8%

12.5%

23.3%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126,237건)은 전월 대비 1.7% 증가, 전년 동월 대비 0.3% 증가, 5년 평균대비 15.9% 증가하였다.

 

  월세 거래량(123,842건)은 전월 대비 6.0%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2.4% 증가, 5년 평균 대비 55.8% 증가하였다.

 

《 ’22.3월 임차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22.3월 거래량

증감률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 평균 比)

합계

전세

월세

합계

전세

월세

전 국

250,079

126,237

123,842

3.8% /  14.0% / 32.7%

1.7% / 0.3% / 15.9%

6.0% / 32.4% / 55.8%

수도권

172,758

88,198

84,560

8.8% / 13.9% / 35.5%

8.2% / △0.2% / 16.7%

9.5% / 33.4% / 62.9%

서 울

82,791

39,210

43,581

6.2% / 13.7% / 32.4%

4.9% / 0.0% / 12.2%

7.4% / 29.8% / 58.0%

지 방

77,321

38,039

39,282

△5.8% /  14.2% / 26.9%

△10.6% / 1.3% / 14.1%

△0.7% / 30.1% / 42.3%

 

  ‘22.3월까지 누계 기준, 월세 거래량 비중은 48.0%로 전년 동월(42.1%) 대비 5.9%p 증가, 5년 평균(41.6%) 대비 6.4%p 증가하였다.

 

   * 연도별 3월 누계(%) : (’18)41.1→ (’19)40.9→ (’20)39.9→ (’21)42.1→ (’22)48.0

 

《 ‘22.3월 누계 거래 건 중 월세 거래량 비중 (단위: %) 》

구 분

전체주택

아파트

아파트 외

5년 평균

'20

'21

'22

5년 평균

’20

’21

’22

5년 평균

’20

’21

’22

전 국

41.6

39.9

42.1

48.0

34.8

33.7

35.9

39.5

47.6

45.7

47.3

55.5

수도권

40.8

39.1

41.8

47.9

34.3

33.5

37.3

41.3

45.7

43.6

45.0

52.9

서 울

43.9

40.8

45.3

51.4

33.0

28.4

38.7

41.6

49.3

47.0

48.3

56.0

지 방

43.2

41.5

42.6

48.2

35.5

34.0

33.7

36.6

52.1

50.8

53.2

62.1

 

  ※ 해당 자료는 전체 임차시장의 전‧월세 비율이 아닌 확정일자(임대차신고 포함) 신고 집계건의 전·월세 비율이며, 상대적으로 갱신계약 비율이 높은 전세거래 건수가 과소 추정 될 수 있으므로 자료 해석에 유의할 필요

 

 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거래량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eb.or.kr/r-one,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주택 건설실적

 * 전체주택 대상, 3월 누계기준

 

【➊ 인허가 실적】

 

 (종합)   3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112,282호로 전년 동기 대비(105,184호) 6.7% 증가하였다.

 

< 월별 인허가 실적 추이 >

< 연간 3월 누계 인허가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수정 인허가 선그래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37pixel, 세로 630pixel

Not suppported image format.

 

 (지역별) 수도권은 42,947호로 전년 동기 대비 18.7% 감소, 지방은 69,335호로 전년 동기 대비 32.4%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전 국

42,154

112,282

45,354

105,184

△7.1%

6.7%

△4.2%

△4.3%

△4.4%

△1.2%

수도권

16,988

42,947

22,067

52,805

△23.0%

△18.7%

△24.6%

△30.7%

△20.2%

△23.6%

(서울)

3,031

12,828

6,691

16,290

△54.7%

△21.3%

△59.8%

△31.4%

△53.1%

△22.3%

(인천)

1,806

2,616

401

2,430

350.4%

7.7%

14.1%

△59.8%

40.8%

△48.4%

(경기)

12,151

27,503

14,975

34,085

△18.9%

△19.3%

△9.4%

△25.1%

△10.3%

△20.5%

지  방

25,166

69,335

23,287

52,379

8.1%

32.4%

17.3%

25.2%

10.3%

20.6%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89,708호로 전년 동기 대비 12.1%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22,574호로 전년 동기 대비 10.3%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42,154

112,282

45,354

105,184

△7.1%

6.7%

△4.2%

△4.3%

△4.4%

△1.2%

아파트

32,696

89,708

34,677

80,007

△5.7%

12.1%

3.6%

4.6%

11.4%

15.6%

(수도권)

11,957

30,363

16,326

38,396

△26.8%

△20.9%

△23.2%

△30.2%

△10.7%

△16.1%

(서울)

1,105

7,571

4,281

9,761

△74.2%

△22.4%

△76.1%

△29.5%

△65.5%

△5.7%

비아파트

9,458

22,574

10,677

25,177

△11.4%

△10.3%

△24.0%

△28.5%

△36.0%

△37.4%

 

【➋ 착공 실적】

 

 (종합) 3월 누계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84,108호로 전년 동기 대비(129,025호) 34.8% 감소하였다.

 

< 월별 착공 실적 추이 >

< 연간 3월 누계 착공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수정 착공 선그래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6pixel, 세로 525pixel

Not suppported image format.

 

  (지역별) 수도권은 50,655호로 전년 동기 대비 31.6% 감소, 지방은 33,453호로 전년 동기 대비 39.2%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전 국

39,756

84,108

58,737

129,025

△32.3%

△34.8%

△6.4%

△13.0%

△9.5%

△13.6%

수도권

22,874

50,655

30,755

74,027

△25.6%

△31.6%

△1.1%

△5.1%

4.5%

4.7%

(서울)

7,590

16,472

4,231

10,925

79.4%

50.8%

40.8%

16.2%

27.3%

15.0%

(인천)

3,486

7,304

5,547

8,332

△37.2%

△12.3%

5.6%

17.7%

39.8%

54.7%

(경기)

11,798

26,879

20,977

54,770

△43.8%

△50.9%

△18.2%

△18.5%

△12.2%

△8.4%

지  방

16,882

33,453

27,982

54,998

△39.7%

△39.2%

△12.7%

△22.8%

△23.4%

△31.7%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63,361호로 전년 동기 대비 40.3%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20,747호로 전년 동기 대비 9.1%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9,756

84,108

58,737

129,025

△32.3%

△34.8%

△6.4%

△13.0%

△9.5%

△13.6%

아파트

30,433

63,361

47,694

106,196

△36.2%

△40.3%

2.1%

△5.8%

6.4%

0.7%

(수도권)

18,067

39,109

24,350

60,500

△25.8%

△35.4%

15.6%

9.6%

37.0%

36.2%

(서울)

5,924

11,912

1,961

5,654

202.1%

110.7%

162.7%

78.9%

156.6%

100.2%

비아파트

9,323

20,747

11,043

22,829

△15.6%

△9.1%

△26.3%

△29.5%

△39.1%

△39.8%

 

【➌ 분양(승인) 실적】

 

 (종합) 3월 누계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65,274호로 전년 동기 대비(72,229호) 9.6% 감소하였다.

 

< 월별 분양 실적 추이 >

< 연간 3월 누계 분양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수정 분양 선그래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2pixel, 세로 529pixel

Not suppported image format.

 

  (지역별) 수도권은 38,000호로 전년 동기 대비 19.3% 증가, 지방은 27,274호로 전년 동기 대비 32.5%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전 국

21,041

65,274

39,328

72,229

△46.5%

△9.6%

△33.1%

20.1%

△30.6%

24.3%

수도권

13,522

38,000

12,218

31,852

10.7%

19.3%

△15.3%

36.1%

△2.8%

62.8%

(서울)

499

2,617

82

1,460

508.5%

79.2%

△74.7%

△26.2%

△78.5%

△37.9%

(인천)

4,398

7,179

1,363

5,514

222.7%

30.2%

43.3%

17.2%

125.7%

85.7%

(경기)

8,625

28,204

10,773

24,878

△19.9%

13.4%

△21.0%

54.6%

△10.6%

84.8%

지  방

7,519

27,274

27,110

40,377

△72.3%

△32.5%

△51.5%

3.2%

△54.1%

△6.6%

 

 (유형별) 일반분양은 51,435호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 임대주택은 6,069호로 전년 동기 대비 47.2% 감소, 조합원분은 7,770호로 전년 동기대비 14.7%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21,041

65,274

39,328

72,229

△46.5%

△9.6%

△33.1%

20.1%

△30.6%

24.3%

일반분양

15,537

51,435

22,946

51,630

△32.3%

△0.4%

△14.8%

42.8%

△20.3%

38.0%

임대주택

1,804

6,069

10,775

11,489

△83.3%

△47.2%

△76.3%

△33.0%

△73.4%

△30.4%

조합원분

3,700

7,770

5,607

9,110

△34.0%

△14.7%

△34.2%

△16.3%

△8.4%

18.7%

 

【➍ 준공(입주) 실적】

 

  (종합) 3월 누계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78,524호로 전년 동기 대비(94,409호) 16.8% 감소하였다.

 

< 월별 준공 실적 추이 >

< 연간 3월 누계 준공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수정 준공선그래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31pixel, 세로 597pixel

Not suppported image format.

 

  (지역별) 수도권은 44,551호로 전년 동기 대비 22.1% 감소, 지방은 33,973호로 전년 동기 대비 8.8%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전 국

32,538

78,524

27,992

94,409

16.2%

△16.8%

△5.5%

△34.4%

8.4%

△22.9%

수도권

16,107

44,551

13,767

57,162

17.0%

△22.1%

△2.5%

△27.6%

18.6%

△10.3%

(서울)

6,718

16,725

5,724

21,656

17.4%

△22.8%

31.8%

△12.2%

40.0%

△2.5%

(인천)

238

7,246

1,118

3,462

△78.7%

109.3%

△81.7%

76.7%

△80.8%

96.7%

(경기)

9,151

20,580

6,925

32,044

32.1%

△35.8%

△9.6%

△46.3%

21.4%

△28.7%

지  방

16,431

33,973

14,225

37,247

15.5%

△8.8%

△8.3%

△41.6%

0.0%

△34.9%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56,58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8%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21,936호로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월

1∼3월

32,538

78,524

27,992

94,409

16.2%

△16.8%

△5.5%

△34.4%

8.4%

△22.9%

아파트

25,167

56,588

21,090

71,444

19.3%

△20.8%

0.4%

△36.3%

28.2%

△17.2%

(수도권)

11,963

31,926

9,723

43,846

23.0%

△27.2%

10.4%

△26.1%

56.8%

3.3%

(서울)

5,119

11,542

3,651

15,381

40.2%

△25.0%

95.6%

1.0%

148.2%

29.5%

비아파트

7,371

21,936

6,902

22,965

6.8%

△4.5%

△21.3%

△28.9%

△29.0%

△34.6%

 


농업

더보기
‘치유농업’ 발전 위한 관학 공동연구…농촌진흥청·건국대 협약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와 9월 8일 건국대학교에서 이승돈 청장과 원종필 총장을 비롯해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유농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건국대 ‘디지털 인문 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사업(2025~2030년)’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촌진흥청에 협력을 제안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치유농업 분야에서 △과학적 효과 검증 연구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정책 개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양성 △공동 홍보 및 확산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학의 연구·기술 역량을 모아 농업·인문학·생명공학·의학이 융합된 치유농업 분야 연구개발에 정진할 예정이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치유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학이 긴밀히 협력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원종필 건국대학교 총장은 “건국대는 1946년 개교 이래 농업 교육과 연구를 대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선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 참여한다. 이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품질 평가, 스마트축산 등 다양한 주제로 국민을 만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생산자단체 6곳이 주최하고 233개 업체가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축산의 고유가치와 디지털 이행’을 주제로 진행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스마트축산에서 인공지능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만드는 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현장에서 △스마트축산의 주요기술 △스마트축산의 주요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품질 분석 과정 △인공지능 기술 도입 후 품질평가 관련 주요 성과 등을 소개한다. 또한, 스마트축산 퀴즈 이벤트를 마련해 관람객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 방문 후,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면 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축산박람회가 축산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축산유통 전문기관으로서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발맞춘 기술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식품

더보기
학교 우유급식, 선택 아닌 필수…정책적 확대 필요성 제기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학부모들의 시각을 반영해 학교 우유급식의 의미와 개선 과제를 정리했다. 이는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학교 우유 지원체계 개선 정책토론회’에서 학부모와 학생이 직접 참여하지 못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 조치다. 지난 8월 25일 국회박물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우유급식을 둘러싼 다양한 시각이 오갔다. 일부 영양교사들은 배식과 재고 관리 등 현장의 업무 부담을 지적했지만, 낙농업계는 이미 공급 체계가 표준화돼 있다며 우유급식이 아동·청소년의 영양 불균형을 보완하는 핵심 제도임을 강조했다. 패널들 사이에서도 학부모와 학생의 목소리가 빠진 점이 아쉽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학부모들의 현장의 목소리를 담았다. 전국학부모단체연합 김미성 공동대표는 “요즘 아이들은 간편식과 가공식품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단백질과 칼슘은 부족하고, 당분과 나트륨은 과다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러한 영양 불균형을 보완하는 데 우유가 효과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유급식이 단순한 음료 제공을 넘어 사회적 안전망으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맞벌이 가정에서는 아침마다 우유를 챙겨주기 어렵고, 경제적

산림

더보기
산림청, 청렴 생활화를 위한 이색 문화행사 개최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정부대전청사에서 직원들과 청렴 공감대를 형성하고 청렴한 공직문화 확산을 위해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과 공동으로 ‘청렴문화행사’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산림청 및 소속·산하기관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반부패 의지를 다지기 위한 결의대회를 시작으로 청렴한 공직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특히, 공직생활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갑질을 태권도 단체 시범으로 표현한 ‘청렴태권도’와 청탁금지법·이해충돌방지법·행동강령 등 공직자가 반드시 준수해야 할 사항을 사례 위주로 소개하는 ‘청렴특강’도 열렸다. 끝으로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 공모전 수상작을 소개하는 등 다양한 청렴 사례들을 공유했다. 아울러, 산림청은 반부패·청렴에 대한 직원들의 관심과 참여 유도를 통해 청렴 의식을 향상시키는 한편, 청렴문화 확산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기관별 청렴활동 경진대회, 공모전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해 오고 있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청렴문화 행사를 통해 직원 모두가 청렴 의무를 이해하고 청렴한 공직자의 모습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라며, “산림청이 국민들에게 사랑받고 신뢰받는 기관이 되도록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