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농촌진흥청, 2021년산 농산물 소득조사 결과 발표

- 평균 소득률 전년 대비 1.3%p 증가, 9월 중순 자료집 발간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021년도에 생산된 50개 농산물의 소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년 대비 단위면적당(10a) 노지채소 소득은 16%, 특용작물은 4% 감소했다. 하지만 식량작물 6%, 시설채소 12%, 노지과수 19%, 시설과수 11%, 화훼 9%가 증가하여 평균 소득률은 48.6%(전년 대비 1.3%p 증가)로 나타났다.

 

 

<식량작물>

<노지채소>

<시설채소>

<노지과수>

<시설과수>

<화훼>

<특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brown-ric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vegetabl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eenhouse (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fruits.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eenhous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flowe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inseng.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소득 6%↑

소득 16%↓

소득 12%↑

소득 19%↑

소득 11%↑

소득 9%↑

소득 4%↓

 

 

 소득이 높은 작목은 촉성오이, 시설딸기, 시설포도 등 시설작목이었다. 10아르(1,000m2)당 촉성오이는 1,261만 원, 시설딸기는 1,192만 원, 시설포도는 1,152만 원으로 조사됐다. 노지작목 중 노지포도는 733만 원, 블루베리는 419만 원, 배는 386만 원 등으로 과수 소득이 높았다. 오이는 출하 비중이 높은 봄·가을 작형의 시장공급이 감소하여 가격이 상승했다.

* 오이(도매가격): (’20) 1,640원/kg → (’21) 1,710(전년 대비 4%↑, 평년 대비 11%↑)

 

 

소득순위

시설작목

노지작목

1위

오이(촉성)

소득: 1,261만원/10a

노지포도

소득: 733만원/10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ucumbe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2019년 소득 1위

2020년 소득 1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ap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2019년 2위

2020년 1위

2위

시설딸기

소득: 1,192만원/10a

블루베리

소득: 419만원/10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trawberry.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2019년 소득 4위

2020년 소득 4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blueberry.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2019년 1위

2020년 3위

3위

시설포도

소득: 1,152만원/10a

소득: 386만원/10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ap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2019년 소득 6위

2020년 소득 2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pea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2pixel, 세로 103pixel

2019년 5위

2020년 6위

 

 최근 3년간(2019~2021년) 인삼(4년근), 노지생강, 블루베리의 소득이 지속해서 하락했다. 인삼(4년근)과 노지생강은 가격 하락, 블루베리는 수량 감소와 경영비 증가로 소득이 감소했다.

 

 

작목/연도

‘19년

‘20년

‘21년

비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inseng.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인삼(4년근)

소득(만원)

884

868

754

소득 ↓

수량(kg)

656

613

631

-

가격(원/kg)

25,281

23,834

21,138

가격 ↓

경영비(만원)

777

592

580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inge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생강

소득(만원)

413

336

169

소득 ↓

수량(kg)

1,419

1,568

1,864

-

가격(원/kg)

5,079

4,610

2,727

가격 ↓

경영비(만원)

309

395

344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blueberry.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블루베리

소득(만원)

497

426

419

소득 ↓

수량(kg)

486

406

395

수량 ↓

가격(원/kg)

16,523

18,384

19,884

-

경영비(만원)

327

333

370

경영비 ↑

 

 노지채소는 최근 3년간 소득순위 변동이 매우 컸다. 특히 조미채소(생강, 대파, 쪽파)와 근채류(무, 당근) 순위 변동이 심했다. 전통적 식량작물인 밀(23만 원), 쌀보리(20만 원), 겉보리(12만 원) 등은 겨울 및 출수기 기상 양호로 수량이 증가해 소득도 늘었다. 하지만 단위면적당 소득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지채소(조미채소류)

노지채소(근채류)

작목/연도

‘19년

‘20년

‘21년

작목/연도

‘19년

‘20년

‘21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inge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생강

3위

4위

17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radish.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가을무

13위

22위

18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een onion.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3pixel, 세로 544pixel대파

15위

10위

19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radish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고랭지무

20위

12위

20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een onion(small).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쪽파

10위

2위

4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arrots.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당근

19위

13위

28위

 

 최근 3년간(2019∼2021년) 소득변동이 적은 작목은 시설딸기로 나타났다. 과수원·시설 기반 재배기술이 안정화된 과수·시설채소는 변동이 적은 데 비해 기상에 따라 작황과 수량 변동이 크고 전년 시세에 따라 작목전환이 상대적으로 쉬운 노지채소는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안정화를 위해서는 농가의 연차간 소득 변동이 적은 작목 선택이 중요하다.

 

 

작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4pixel, 세로 174pixel

풋옥수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4pixel, 세로 174pixel

가을배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4pixel, 세로 174pixel

시설딸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2pixel, 세로 10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4pixel, 세로 174pixel

시설포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4pixel, 세로 174pixel

시설장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7pixel, 세로 177pixel

인삼(4년근)

2019

5.7

8.6

5.1

5.1

10.2

11.1

8.4

2020

6.9

8.2

5.2

5.4

9.1

13.7

9.0

2021

7.3

8.0

5.6

6.3

7.9

18.1

8.7

평균

6.6

8.3

5.3

5.4

9.1

14.3

8.7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대푯값을 중심으로 자료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소득 변동계수(CV)가 작을수록 연도별 소득변동이 적어 안정적인 작목으로 분류(CV = 표준오차/평균×100%)

 

 전년 대비 소득 증가 작목은 34개, 소득 감소 작목은 16개로 분석됐다. 소득이 20% 이상 증가한 작목은 밀(292%), 참깨(70%), 파프리카(58%), 복숭아(53%), 노지수박(45%), 노지포도(22%), 시설딸기(20%) 등 11개였다. 이 작목들은 지속적인 수요로 가격이 유지 또는 증가하고, 생육기 및 수확기 작황이 양호하여 소득이 증가했다.

 

(기준: 만원, %, 년1기작/10a)

 

소득증감률순위

작목

’20년

’21년

소득증감률

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wheat bread.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6

23

291.8

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esame-oil.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참깨

54

92

69.9

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paprika.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파프리카

679

1,074

58.1

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barley.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겉보리

8

12

55.7

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peach.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복숭아

176

270

53.4

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watermelon.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노지수박

185

269

44.8

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pea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2pixel, 세로 103pixel

291

386

32.8

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perilla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들깨

55

67

22.8

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kiwi.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참다래

272

334

22.6

1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ap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노지포도

598

733

22.4

1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trawberry.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시설딸기

993

1,192

20.0

 

 반면, 소득이 20% 이상 감소한 작목은 노지당근(△63%), 노지생강(△50%), 노지고랭지무(△43%), 노지대파(△37%) 등 노지채소였다. 전년 출하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기상 여건이 양호해 공급이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장기화로 수요가 줄면서 가격 하락과 소득 감소로 이어졌다.

 

 

소득증감률

순위

작목

’20년(만원)

’21년(만원)

소득증감률(%)

4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hinese cabbag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고랭지배추

127

101

△20.2

4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abbage.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양배추

120

92

△23.4

4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reen onion(big).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3pixel, 세로 544pixel

대파

212

134

△37.0

4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radish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고랭지무

201

115

△43.1

4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inge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생강

336

169

△49.7

5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arrots.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12pixel 프로그램 이름 : www.inkscape.org

당근

188

69

△63.2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조성주 과장은 “농가에서 실질적인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품종 및 재배 기술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수요자 맞춤형 농산물을 생산하고, 농산물 시장수요를 고려한 적정 재배면적 확보와 비용 절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농산물 소득조사는 농업인 작목 선택, 경영개선 연구·지도, 농업정책 지원, 영농 손실보상 산정 등에 활용된다. 이번 결과는 9월 중순 ‘2021년 농산물소득자료집’으로 발간되고, 농촌진흥청 누리집(www.rda.go.kr), 농업경영정보시스템(amis.rda.go.kr),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 볼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재배 쉽고 수확량 많은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24’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최근 느티만가닥버섯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재배 안정성과 생산성을 한층 높인 하얀색 품종 ‘백마루24’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느티만가닥버섯은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고 조리 활용도*가 높아 성장 잠재력이 큰 품목이다. 하지만, 갈색 품종에서 분리된 하얀색 품종(변이종)은 재배 안정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까다로워 생산에 차질을 빚어왔다. * 느티만가닥버섯은 팽이버섯보다 머리가 크고 대가 굵어서 오독오독 씹는 맛이 좋음. 찌개, 볶음, 구이용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일본에서는 매우 대중적인 버섯임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2021년 개발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를 기반으로, 수량성과 균일성을 한층 강화한 ‘백마루24’를 새롭게 육성했다. ‘백마루24’는 흰색을 뜻하는 ‘백(白)’과 하늘의 순우리말 ‘마루’를 합친 기존 이름에, ‘개발 연도(2024년)’와 ‘24시 편의점’처럼 언제나 고르게 생산되는 모습을 형상화해 붙인 이름이다. 버섯 재배 속도가 고르고, 수확할 때 크기와 모양 편차가 적어 상품성이 높다. 특히, 균사 활력이 뛰어나 기존 상용 품종(80∼90일)보다 약 10일 빠른 70일 만에 버섯을 배양해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선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 참여한다. 이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품질 평가, 스마트축산 등 다양한 주제로 국민을 만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생산자단체 6곳이 주최하고 233개 업체가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축산의 고유가치와 디지털 이행’을 주제로 진행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스마트축산에서 인공지능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만드는 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현장에서 △스마트축산의 주요기술 △스마트축산의 주요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품질 분석 과정 △인공지능 기술 도입 후 품질평가 관련 주요 성과 등을 소개한다. 또한, 스마트축산 퀴즈 이벤트를 마련해 관람객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 방문 후,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면 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축산박람회가 축산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축산유통 전문기관으로서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발맞춘 기술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