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흑우‧백우‧칡소‧제주흑우“우리도 한우데이~”

- 11월 1일‘한우데이’… 국내 재래 소 특징 ‧ 보존 현황 소개 -

 11월 1일은 한우협회를 비롯한 한우 관련 단체가 2008년 한우 소비 촉진을 위해 ‘한우데이*’로 정한 기념일이다.

 *한우가 최고라는 의미에서 으뜸을 뜻하는 1이 세 번 겹치는 날이자, 소 우(牛)자 획을 풀었을 때 십(十)과 일(一),일(一)이 되는 11월 1일로 정함.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한우데이’를 맞아 일반적으로 알려진 황색 한우 이외 우리나라 재래 소 4계통의 특징과 보존 현황,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우리나라 소 사육 역사는 김해패총에서 발굴된 우골(쇠뼈), 고구려 벽화 등으로 미루어 볼 때 2,50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본래 한우의 털색(毛色)은 다양했지만, 일제강점기 ‘조선우 심사 표준’에 황색 소를 ‘조선의 소’로 규정하면서 다른 털색을 가진 소 개체수가 급감했다. 현재 남아있는 우리나라 재래 소는 황우를 포함해 ‘흑우’, ‘백우’, ‘칡소’, ‘제주흑우’ 총 5계통이다.

 

 흑우는 털색이 검고, 등에 있는 만선(황색선)과 입 주변 흰색 테두리가 특징이다. 제주흑우와 구분해 ‘내륙흑우’라고도 하며, 국내에 10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AG3I5469.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13pixel, 세로 3275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2년 10월 21일 오후 5:19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 X Mark 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Lightroom Classic 9.1 (Windows)  F-스톱 : 6.3  노출 시간 : 1/640초  IOS 감도 : 5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화이트 밸런스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AG3I558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70pixel, 세로 3113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2년 10월 21일 오후 5:19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 X Mark 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Lightroom Classic 9.1 (Windows)  F-스톱 : 6.3  노출 시간 : 1/640초  IOS 감도 : 5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화이트 밸런스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1

 

< 흑우 >

< 백우 >

 

 백우는 황우 가운데 털색과 망막에 색소가 없는 백색증(알비노증)을 갖고 태어난 멸종 위기의 가축 유전자원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은 2009년 농가에서 백우를 수집한 뒤 유전자원 증식을 통해 현재 30여 마리를 보존・사육하고 있다.

 

 칡소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혹은 갈색의 세로줄 무늬를 지녀 호반우(虎斑牛)로도 불리며, 임금에게 진상됐다고 전해진다. 1990년대 후반 자치단체에서 보존 작업을 시작해 2007년부터는 국가 차원에서 국립축산과학원이 관리하고 있다. 사육 마릿수는 2,300여 마리* 정도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AG3I554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75pixel, 세로 3183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2년 10월 21일 오후 5:19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 X Mark 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Lightroom Classic 9.1 (Windows)  F-스톱 : 5.6  노출 시간 : 1/640초  IOS 감도 : 5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화이트 밸런스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1

< 칡소 >

 * 칡소 관리 시스템(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2022년 9월 기준)

 

 제주흑우는 몸집은 작으나 체질이 강건하고 지구력이 좋은 특징이 있다. ‘조선왕조실록’, ‘탐라순력도’ 등 옛 문헌에 제향, 진상품으로 공출된 기록이 있으며, 2013년 천연기념물 제546호로 지정됐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제주흑우 350여 마리와 제주흑우와 한우를 교배한 흑한우 63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AG3I902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30pixel, 세로 3487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2년 09월 19일 오후 12:34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 X Mark 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Lightroom Classic 9.1 (Windows)  F-스톱 : 5.6  노출 시간 : 1/640초  IOS 감도 : 5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화이트 밸런스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1

< 제주흑우 >

 * 한국종축개량협회(2021년 12월 기준)

 

 칡소와 제주흑우 고기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사육 마릿수가 전체 한우의 0.1% 미만으로 적어 생산성 개선을 통한 사육 확대, 고기 특성 구명을 통한 소비 촉진 등 산업화 연구가 필요하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칡소와 제주흑우의 육질과 영양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서울대학교, 산업체와 함께 ‘재래소 유래 축산물의 부가가치 향상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백우와 흑우는 가축 유전자원 보존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박범영 원장은 “재래 소인 흑우, 백우, 칡소, 제주흑우의 유전자원 보존과 연구를 꾸준히 추진하고, 칡소나 제주흑우와 같은 재래 소의 차별화된 육질과 영양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밝혀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