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4차산업 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디지털콘텐츠 산업 고도화 및 글로벌 진출 확대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디지털콘텐츠 해외진출 정책포럼(3차)’을 5월 12일(금) 한국전파진흥협회 대강의장에서 개최하였다.
1차 중국 한한령 논의(‘16.12), 2차 아세안 시장 진출 방안 논의(’17.3)에 이어 개최된 이번 3차 포럼에서는 홀로티브글로벌, 비브스튜디오스 등 중국‧동남아 진출 대표기업 등이 참여하여 그간의 해외진출 성과와 4차산업 혁명시대 글로벌 진출 확대 방안을 논의하였다.
우선 심상민 성신여대 교수는 4차산업 혁명시대에는 콘텐츠산업이 파괴적 혁신을 통하여 기존 산업을 재편할 것이라고 진단하고, 디지털콘텐츠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진출 전략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특히 심교수는 작년 포켓몬고 사례처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슈퍼 IP결합 등의 전략구사를 통하여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생태계 지원을 요청하였다.
홀로그램 전문기업 홀로티브글로벌과 컴퓨터그래픽․특수효과전문기업인 비브스튜디오스에서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 진출 현황 및 성과를 발표하였다.
홀로티브글로벌은 ‘리조트 월드 센토사(싱가포르)’ 내에 위치한 ‘K-live 센토사’의 2PM, 원더걸스 등 케이팝(K-POP) 홀로그램 공연장 개관(‘16.2월)과 중국 ’광저우 등광제‘ 기간에(’17.11월) 홀로그램과 돔스크린이 결합된 첨단 공연장을 구축‧운영할 계획을 설명하고,
비브스튜디오스는 앱툰이 원작으로 하는 SF VR게임 '볼트'와 공룡영화 'Air Breath' 등 자체 IP 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비즈니스 전략을 통하여 대기업 ‘씨제이 포디플렉스(CJ 4DPLEX)’ 플랫폼과 동반 진출 사업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어서, 한류 거점국가이자 성장잠재력이 높은 미개척 시장인 베트남/말레이시아 시장진출과 관련하여, 2017 한-베트남/말레이시아 디지털콘텐츠 로드쇼(’17.4.25~4.28) 성과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미래부는 베트남‧말레이시아*가 보유한 문화‧관광자원과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이 결합하면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도심형 테마파크 공동사업 추진 등 융합콘텐츠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라고 밝혔다.
※ 양국 정부(미래부-말레이시아 정보통신산업부(KKM))간에 5:5로 총 40억원의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추진
미래부 김영문 디지털콘텐츠과장은 “디지털 콘텐츠의 글로벌 진출은 막대한 경제적 효과는 물론 국가브랜드가치를 제고하며 타 산업 파급효과가 높은 전형적인 4차산업혁명의 대표주자이다”라고 언급하며,
“미래부는 앞으로도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콘텐츠의 글로벌 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