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해‧공 무인이동체 공통기술개발 등에 119억 원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2018년 총 119억 원 규모의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체로, 자율주행차(육상), 드론‧무인기(공중), 무인선박‧잠수정(해양) 등을 통합하는 개념
<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 >
구 분 | ’18 예산(억원) |
① 무인이동체 공통기술 개발 | 29.5 |
② 차세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 | 24 |
③ 소형무인기 성능향상기술 개발 | 35.5 |
④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 기술 개발 | 30 |
계 | 119 |
이번 사업은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급부상하고 있는 소형무인기(드론)를 비롯한 무인이동체 분야에서 세계 선도적인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혁신 성장 동력을 창출한다.
지난해, 동 사업에서는 무인이동체 운용 시간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리튬-황 전극용 고체전해질 설계‧공정 기술을 개발하는 등 우수성과를 창출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시행계획을 통해 무인이동체 핵심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하는 한편, 종료가 다가오는 사업특성을 반영하여 그간의 기술개발 연구 성과의 홍보 및 기술사업화 활동을 통한 기술-시장 매칭 활성화를 중점 목표로 설정했다.
특히, ‘18년에는 공공기관의 수요를 충족하는 무인이동체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각 부처 및 공공기관이 쉽게 구매‧활용할 수 있도록 조달청과의 협업을 통해 우수조달물품*으로 지정을 추진한다.
* 3년 간 수의계약 허용으로 구매절차 간소화 및 국내‧외 판로 개척에 유리
| 참고 : 공공혁신조달 연계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지원사업 개요 |
|
| ||||||||||||
|
|
|
| ||||||||||||
◈ (목적)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맞춤형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 공공조달 연계 지원으로 국내 기업의 초기시장 창출 및 기술혁신 촉진
◈ (방식) 수요부처가 원하는 무인이동체를 중소‧벤처기업이 개발하면, 조달청은 우수조달품목으로 인정, 수요부처는 공공조달의 형태로 구매
|
또한, 개발된 원천기술의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타 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상용화 제품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각종 전시회에 연구 성과를 홍보하고,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 연구자 간 교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워크숍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김정원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무인이동체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로, 과기정통부는 작년 12월 발표한「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에 따라 실질적인 기술개발과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하고 국내 기술경쟁력 확충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