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수출용으로 딱 좋은 ‘국산 버섯 2품종’ 개발

- 팽이 ‘설한’, 조직 굵고 단단해 냉장 70일까지 보관 가능 -

- 느타리 ‘세나’, 해외서 선호하는 흰색의 얕은 깔때기 모양 -

수출시장을 겨냥하여 저장성, 선호도, 씹는 맛 등이 뛰어난 국산 버섯 2품종이 개발돼 앞으로 국내 버섯 수출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국산 버섯의 수출 확대와 품종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흰색 팽이버섯 ‘설한’과 흰색 느타리버섯 ‘세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설한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02pixel, 세로 1466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10월 06일 오후 2:23 카메라 제조 업체 : Apple 카메라 모델 : iPhone 11 Pro 프로그램 이름 : PhotoScape F-스톱 : 1.8 노출 시간 : 1/60초 IOS 감도 : 200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6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31

<설한>

 흰색 팽이버섯 ‘설한’은 국산 품종 ‘백승’과 ‘우리1호’를 교잡해 2020년 육성한 순수 국산 품종이다. 올해 3월 품종보호출원을 완료했다.

 

 버섯 발생이 고르고 균일하며, 수량이 1병당(1,300㎖) 425g 정도로 안정적이다. 밑동도 잘 뜯어져 수확과 포장이 쉽다.

 

 특히 국내에서 재배되는 외국 품종(츠쿠마시T011)에 비해 갓(직경 5.9㎜, 두께 4.9㎜)이 작고 두꺼우며, 대(길이 138.4㎜, 두께 3.2㎜)는 길고 단단해 저장과 유통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실제 보통 팽이의 보관 기간이 냉장 60일 정도인데 비해 ‘설한’은 냉장 70일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전문가 시장성 평가에서도 저장성이 뛰어나 수출 품종으로 제격이며, 씹는 맛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경북 청도에서 ‘설한’을 시범 재배하는 허종범 씨는 “팽이의 경우 수출을 위해서는 저장성이 좋아야 하는데, ‘설한’은 균의 활력이 좋아 배양이 빠르고, 조직이 굵고 단단해 오래 저장할 수 있어 앞으로 수출 품종으로 재배가 늘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팽이(2020년 기준)는 국내 버섯 수출량(19,197톤)의 54.8%(10,515톤), 버섯 수출액(5,101만 6천 달러)의 36.3%(1,852만 3천 달러)를 차지할 정도로 버섯 수출에서 비중이 큰 품목이다. 국산 품종 보급률은 2009년 20%를 시작으로 꾸준히 늘어 지난해 31.6%까지 높아졌으나, 여전히 다른 버섯 품목보다 외국 품종 점유율이 높은 실정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세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21pixel, 세로 1335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12월 16일 오후 2:58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G975N 프로그램 이름 : PhotoScape F-스톱 : 2.4 노출 시간 : 1/120초 IOS 감도 : 16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6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스팟 측광 EXIF 버전 : 0220

<세나>

 

 흰색 느타리버섯 ‘세나’는 국산 품종 ‘고니’와 ‘미소’를 교잡해 만든 품종이다. 지난 2019년 개발해 2020년 4월 품종보호출원을 마쳤다. 

 

 다발 형성이 우수해 수량이 1병당(1,100㎖) 157g 정도로, 기존 품종(고니)보다 24%나 많다.  

 

 특히 시장에서 선호하는 얕은 깔때기 모양의 갓(직경 31.88㎜, 두께 24.04㎜)과 곧고 긴 대(길이 9.35㎜, 두께 69.09㎜)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갓의 색깔이 회색빛이 도는 일반적인 느타리와 달리 흰색을 띠고 있어 흰색을 선호하는 유럽이나 미국 시장 공략에 알맞다.

 

 일반 소비자 대상 식미 검정에서도 버섯이 흰색이라 모든 요리에 잘 어울리고 고급스러워 보이며, 씹는 맛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충북 충주에서 ‘세나’ 품종을 시범 재배하는 김대락 씨는 “‘세나’는 생육 일수가 짧고 다발성이 매우 우수한 편이며, 식감도 다른 느타리 품종보다 쫄깃해 앞으로 시장에서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느타리버섯(2020년 기준)은 국산 품종 보급률이 85.9%에 달하며, 국내 버섯 생산량(16만 9,066톤)의 27%(4만 5,724톤)를 차지하는 핵심 품목이지만, 수출량은 1.19%(228.8톤), 수출액은 2.68%(136만 8천 달러)밖에 되지 않아 수출 시장 공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장갑열 과장은 “이번에 선보이는 국산 2품종은 수출 확대를 위해 팽이 신품종 ‘설한’은 저장성에, 느타리 신품종 ‘세나’는 색깔 선호도에 초점을 맞춰 육성한 것으로, 현재 버섯 수출 농가를 중심으로 현장 실증을 거치고 있다.”라며,

 

 “국내에서 재배되는 다른 품종들과 수량과 재배 조건은 비슷하면서도 저장성이나 선호도, 씹는 맛 등이 우수한 만큼 앞으로 수출용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