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5월 2일 ‘오리데이’, 오리고기로 차린 건강한 밥상

- 농촌진흥청, 제23회 ‘오리데이’ 맞아 오리고기 맛과 효능 소개
- 불포화지방산·필수 아미노산 풍부…‘날아다니는 등 푸른 생선’
- ‘오리고기김치찜’·‘육개장’·‘고추장주물럭’ 등 친근한 요리법 제안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5월 2일 ‘오리데이’*를 맞아 오리고기의 영양적 가치를 소개하고, 가정에서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오리고기 집밥 요리를 제안했다.

 *오리고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03년부터 시작, 올해 23회를 맞았다.

 

 오리고기는 예로부터 기력을 보충하고 체력을 강인하게 하는 보양 식재료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서「동의보감」에는 ‘오리고기는 체내 냉기를 없애고 기력을 돋우며, 만성 기침과 천식 치료에 도움이 된다.’라고 기록돼 있다.

 

 현대 영양학적으로도 오리고기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건강 육류로 꼽힌다. 체내 지방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고도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날아다니는 등 푸른 생선’이라고도 불린다. 오리백숙이나 오리탕 등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대표 전통 보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라이신을 비롯한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 비(B)군, 철분, 셀레늄 등

신진대사와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성분도 풍부하게 포함돼 있다. 특히 최근에는 훈제, 슬라이스, 고압 가열 살균(레토르트) 형태의 간편 조리용 오리 가공 제품이 출시돼 가정에서도 손쉽게 접할 수 있다.

 

 오리고기를 활용한 집밥 요리는 ‘오리고기김치찜’, ‘얼큰오리고기육개장’, ‘고추장주물럭’이 대표적이다.

 

 △오리고기김치찜: 묵은지와 오리고기를 함께 푹 끓여내 깊은 맛을 낸 요리다. 묵은지의 시원하고 구수한 맛이 오리고기와 잘 어우러져 밥반찬으로 손색이 없다.

 

 △얼큰오리고기육개장: 통오리를 푹 끓인 국물에 오리고기를 잘게 찢어 넣고 여러 나물과 함께 얼큰하게 끓여내면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매콤한 국물이 식욕을 돋우는 별미다.

 

 △오리고추장주물럭: 오리고기를 고추장 양념에 버무려 볶아내면 오리고기의 고소한 맛과 양념 맛의 조화가 일품이다. 여기에 각종 채소를 곁들이거나 쌈 채소에 싸 먹으면 한 끼 영양식으로도 충분하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9c377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3pixel, 세로 45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9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9pixel, 세로 47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9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7pixel, 세로 437pixel

<오리고기김치찜>

<얼큰오리고기육개장>

<오리고추장주물럭>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센터 지상윤 센터장은 “오리고기는 단백질과 지방이 균형 잡힌 우수한 건강 식재료로, 고령층은 물론 성장기 청소년, 현대인에게도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라며, “소비자 입맛과 식문화에 맞춘 다양한 오리요리 콘텐츠를 개발, 오리고기 소비 촉진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출범식 개최,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본격 추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4.29일(화) 오전 전북 전주시 소재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장기화되고 있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위촉되는 생산혁신 멘토는 암소개량, 우량 송아지 확보 및 사료급여 프로그램 등 특화된 사양관리 기술과 노하우 등을 토대로 일반 농가들보다 6~9개월 빨리 한우를 출하*하는 농가(총 16명)들로 선발․구성되어 있으며, * 멘토단 출하월령 평균 23~28개월령(`24년 한우 평균 출하월령 31.6개월)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 등을 습득하고자 하는 청년농∙후계농 등의 농장을 직접 찾아가 개체 관리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환경 관리 노하우 등을 멘토링하고 농장 경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해결해 주는 자문역할도 수행한다. * 멘토-멘티(청년농․후계농 등) 1:1 멘토링 이외 지역별 소규모 학습조직 추가 구성․운영 이번 출범식에는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을 포함하여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수산대학교, 축산물품질관리원, 농협경제지주, 전국한우협회 등 한우 관련 범축산 기관∙단체의 대표 등이 참석하여 함께 위촉장을 수여하고, 멘토들의 자긍심 등을 높이고자 아낌없는 박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