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7.0℃
  • 맑음서울 12.6℃
  • 박무대전 11.8℃
  • 박무대구 11.0℃
  • 박무울산 10.8℃
  • 박무광주 13.4℃
  • 흐림부산 12.0℃
  • 흐림고창 11.3℃
  • 흐림제주 13.9℃
  • 맑음강화 9.8℃
  • 맑음보은 11.7℃
  • 맑음금산 10.3℃
  • 흐림강진군 13.7℃
  • 흐림경주시 10.7℃
  • 흐림거제 12.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내년도 대서양 날개다랑어·황새치 쿼터량, 올해 수준 유지

- 해수부, 제20차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CCAT) 특별회의 참석 -

  해양수산부(김영석 장관)는 11월 14일(월)부터 21일(월)까지 포루투갈 빌라모라에서 개최된 제20차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for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s, ICCAT) 특별회의에서 내년도 우리나라 대서양 날개다랑어 및 황새치 어획배당량을 올해 수준으로 결정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내년도에 대서양 수역에서 어획할 수 있는 날개다랑어 및 황새치는 각각 340톤(북방 날개다랑어 200, 남방 날개다랑어 140), 100톤(북방 황새치 50, 남방 황새치 50)이다. 

  *①북방날개다랑어(`17-18년 : 200톤, `19-`20년 : 215톤), ②남방날개다랑어(`17-`20년 : 140톤), ③북방황새치(`17년 : 50톤), ④남방황새치(`17년 : 50톤)

  날개다랑어와 황새치는 목표어종인 눈다랑어(`17년 어획배당량: 1,486톤)와 참다랑어(`17년 어획배당량: 181톤) 조업 중 부수적으로 어획하는 ‘부수어획종’에 해당한다. 국제수산기구는 부수어획종에도 어획배당량을 설정하고 있어, 이를 소진할 경우 목표어종 조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눈다랑어와 참다랑어 어획을 위해서는 날개다랑어 및 황새치의 어획배당량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날개다랑어 등 부수어획종에 대한 어획배당량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내년에도 안정적으로 대서양 수역에서 조업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CCAT) 이행위원회에서 동 위원회의 보존관리조치를 전부 준수한 것으로 평가받아, 유럽연합(EU), 미국 등 선진 조업국과 함께 모범 조업국으로서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강인구 해양수산부 원양산업과장은 “앞으로도 우리 업계가 국제수산기구 보존관리조치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독려하고 국제기구 회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대응함으로써 국가 위상을 제고하는 한편, 양·다자 협상을 통한 어획배당량 확보 등 안정적인 조업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이젠 로봇도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 기술이 ‘농업로봇’ 확산 이끈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농업생산 인력 감소를 극복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농작업 단계(과정)별 로봇과 연계 가능한 기술이 적용된 ‘통합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아울러, 농업로봇의 농가 보급과 산업표준 개발로 관련 산업 지원에 나선다. 우리 농업‧농촌은 인구 감소, 고령화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농업로봇의 도입이 꼭 필요한 상황이다. 농업로봇이 다양해지면서 각 로봇의 일일 작업 정보를 수집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 관리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7월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아울러 올 1월에 스마트농업 육성 계획을 마련하고, 농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 중 하나로 스마트농업 기술 도입을 촉진하여 2029년까지 스마트농업 기술과 장비 도입 온실 면적을 35%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 지난해 기준 시설원예 농가 전체 면적(약 55,000헥타르) 중 스마트농업 기술과 장비가 도입된 온실은 약 16% (약 8,800헥타르) 이에 농촌진흥청은 온실에 스마트농업 기술 활용을 위한 로봇(방제, 운반, 점검(모니터링)) 3종을 개발*한 바 있

축산

더보기
소·돼지 정액 품질 관리 체계 강화, 검사기관 교육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과 농림축산식품부는 4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간 충남대학교에서 ‘소·돼지 정액 품질 관리 강화를 위한 검사기관 교육·실습 및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농림축산식품부와 국립축산과학원, 전국 지자체 검사기관, 젖소·한우 개량 사업소, 한국돼지유전자협회 등 정액 품질 관리와 유전개량 관련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2월 시행된 ‘정액 품질 검사 시범운영’ 후속 조치로, 개선된 정액 품질 기준과 검사 절차를 현장에 적용하고 지자체 검사기관의 분석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액 품질 검사를 시범 운영하면서 그동안 정액의 ‘생존율’과 ‘기형률’ 중심으로 평가하던 기준이 운동성·기형률·유효 정자 수 등 실제 수태율과 밀접한 항목으로 조정됐다. 또한, 소·돼지 정액 모두에 대해 세균 오염도 항목이 새롭게 도입됐다.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정액 품질 기준 정비 및 검사 절차 개선 내용 안내 및 토의 △표준 지침(매뉴얼) 기반 정액 검사 실습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및 결과 해석 훈련 총 3개 분야로 구성된다. 컴퓨터 정자 분석 장비(CASA)를 활용한 운동성·기형률 측정 실습 시간도 마련돼 소 냉동정액, 돼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광주지원, 온라인 자체평가 설명회 개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광주지원은 4월 17일(목)에 2025년 축산물 자체평가 대상 업체를 대상으로 「2025년 광주지원 온라인 자체평가 설명회」를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해 실시간으로 개최했다. 자체평가는 해썹 인증업체가 관리기준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자체적으로 평가하여 미흡한 부분은 스스로 개선·보완함으로써 자율적 위생관리 능력을 제고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광주지원 관할 축산물 해썹 인증업체의 자율적 위생관리 역량 강화를 목표로 마련된 이번 설명회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한 실시간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자체평가 제출 대상 업체 해썹 담당자 60명이 참석하여 궁금한 사항에 대해 자유롭게 질의하며 ‘온라인 자체평가 시스템’ 이용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다. 이번 설명회의 주요 내용은 ▲‘식품 및 축산물 자체평가 따라하기’ 지침을 활용한 자체평가 방법 및 주의사항 안내 ▲‘온라인 자체평가 시스템’ 사용방법 시연 ▲질의응답 등이다. 설명회에 참석한 축산물 업체 관계자는 “그동안 자체평가를 진행하면서 궁금했던 점이 많았는데, 실시간으로 질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