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맑음동두천 13.5℃
  • 흐림강릉 16.2℃
  • 구름많음서울 16.2℃
  • 맑음대전 14.4℃
  • 맑음대구 12.5℃
  • 맑음울산 13.0℃
  • 흐림광주 17.0℃
  • 구름많음부산 15.0℃
  • 흐림고창 17.7℃
  • 맑음제주 20.3℃
  • 맑음강화 15.5℃
  • 구름많음보은 7.5℃
  • 맑음금산 15.9℃
  • 흐림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0.4℃
  • 구름많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미래유망 분야에 대한 연구자 중심 연구지원으로 4차 산업혁명 선제적 대응한다

- 미래부, 4조 1,335억원 규모 R&D 종합시행계획 확정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총 4조 1,335억원 규모의「2017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발표하였다.

 동 종합시행계획은 미래부 전체 R&D 예산 6조 7,730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 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하고, 과학기술 분야 3조 1,439억원, ICT 분야 9,896억원을 대상으로 하며,
 기초연구(8,866억원), 원천연구(21,841억원), R&D 사업화(1,982억원), 인력양성(1,501억원), R&D 기반조성(7,145억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과학기술

I

C

T

분야별 투자비중

 

「2017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은 

 지능정보기술 등장을 배경으로 산업간․기술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융합이 더욱 활발해지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R&D 혁신’과 ‘K-ICT 전략’ 등 기존 과학기술․ICT 정책의 현장 착근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연구자 중심 연구지원 강화, 개방형 R&D 생태계 고도화, 미래 유망 분야 투자 확대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 중심 연구지원 강화
 창의적․도전적 연구 풍토가 조성될 수 있도록, 연구자가 연구 주제를 자유롭게 선정하는 자유공모형 R&D를 확대하는 한편,

    * (과학기술) 기초연구 지원 예산 : (16년도) 7,680억원 ⇨ (17년도) 8,866억원
    * (ICT) 신규과제 중 자유공모 비중 : (16년도) 43.5% ⇨ (17년도) 60%

 국책 연구(원천기술개발사업)에 있어서도 국가는 전략분야를 선정하고(Top-Down), 연구자의 자율적, 창의적 연구를 보장하는(Bottom-Up) 혼합형 기획의 비율도 늘릴 계획이다.

    * 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사업 中 혼합형 기획방식 비율
    - 과제수 기준 : (16년도) 20.8% ⇨ (17년도) 44.6%
    - 예산액 기준 : (16년도) 13.8% ⇨ (17년도) 41.9%

 또한, 투자 분야 설정과 과제 기획 등의 R&D 정책 결정과정에서도 정부 - 연구자의 협업 체계(Governance)를 구축하여, 투자분야 설정을 위한 연구자 수요 조사를 강화하는 한편, 과제 기획에 있어서도 연구계는 물론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SNS를 통한 아이디어 수렴 등을 통해 ‘개방형 기획’이 더욱 활성화된다.

 또한, 과제제안서(RFP)의 온라인 예비 공고와 기획과정 공개, 목표검증단 등을 통해 과제 기획의 투명성도 제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평가에 있어서도 평가 과정 공개와 평가위원 상피제도 완화 등을 통해 평가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제고하는 한편, 평가횟수 축소, 컨설팅 위주 평가방식 간소화, 질적 성과 중심의 평가방식 개선 등을 통해 평가에 대한 부담 완화도 병행할 계획이다.

 개방형 R&D 생태계 고도화

 R&D 생태계의 핵심 주체가 될 창의적 R&D 인재들이 초기 연구를 거쳐 중단 없이 연구하고 글로벌 리더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생애 첫 연구 지원’을 신설(300억원)하고, 장기․안정적인 연구가 가능하도록 후속연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 신진·중견연구 종료과제 중 후속과제 지원대상 : (16년도) 15% → (17년도) 30%
   * 리더연구 종료과제 후속지원 신설 및 중견연구 후속연구 지원 횟수 제한 폐지

 아울러, 이공계 대학(원)생 중심의 기업의 실전문제 해결,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한 차세대 공학인 육성 등을 위한 이공계 전문기술 인력 지원을 크게 확대(‘16년, 104.4억원 ⇨ ’17년, 190.8억원)하는 한편, 지능정보사회와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수요 중심의 핵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SW중심대학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 SW중심대학 : (‘16년 현재) 14개 ⇨ (’17년 목표) 20개(신규 6개) 

 R&D 생태계를 구성하는 산․학․연의 역할(대학(기초)·출연연(응용)·기업(개발))을 명확히 하고, ICT R&D를 중심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한다.

 특히, 기초연구 강화를 위해 대학에 대한 투자 비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 ICT R&D 수행 주체별 투자 비율(대학 : 출연연 : 기업)
     - (16년도) 11.7% : 62.9% : 25.4% ⇨ (17년도 목표) 15% : 55% : 30%

 또한, 연구개발 관련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개발서비스기업의 핵심서비스 창출 신규 R&D 지원(40억원)을 추진하고, 출연연‧대학 등의 연구역량을 기업이 활용하는 R&D 바우처를 확대(‘16년 101억원 ⇨ ’17년 215억원)하되, 기존 R&D 중심의 지원을 사업화 지원까지로 확대하여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할 계획이다.

 또한, 개방형 R&D 생태계의 선도모델 창출을 위해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한 기술-창업-성장의 선순환을 구현하고,  연계형 기업성장 R&D 지원(‘17년, 120억원)을 지속하는 한편, 산학협력 대학 ICT 연구센터(ITRC)*와 글로벌 ITRC**, 산․학 공동 설계를 통한 K-ICT 나노학위 과정 신설도 추진할 계획이다.

   * 연구과제와 연계한 맞춤형 전공실무 교육 / ** AI, 지진 등 국제협력 필요 분야

 미래 유망 분야 투자 확대

 먼저, 신약 초기 파이프라인 기술 확보와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바이오 분야 원천기술개발 투자를 크게 확대하는 한편,

    * BT 분야 투자액 : (16년도) 2,706억원 ⇨ (17년도) 3,267억원

 창의적 소재 연구를 장려하는 도전형 연구개발 등 나노 분야 투자와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도 크게 늘릴 계획이다.

    * 미래소재디스커버리 :  (16년도) 132억원 ⇨ (17년도) 196억원
    *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 (16년도)  528억원 ⇨ (17년도) 770억원

 또한, 미국 NASA와의 협력 등을 바탕으로 달탐사 개발을 본격화하는 한편, 위성기술의 민간 이전을 위한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 예산 지원을 확대하는 등 우주분야 핵심기술 개발도 강화한다.

    * 달탐사 사업 : (16년도) 200억원 → (17년도) 710억원
    *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 : (16년도) 138억원 → (17년도) 351억원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이 될 인공지능 및 ICBMS* 등 ICT전략분야 및 응용․연계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도 확대된다.

 *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Cloud),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정보보호(Security)

 먼저, 언어지능 및 시각지능 등 실용화 제품 개발을 포함한 인공지능 분야와 딥러닝 등 차세대 지능정보 처리 등을 위한 기반 SW 컴퓨팅에 대한 투자를 확대(‘16년, 534억원 ⇨ ’17년, 736억원)할 계획이다.

- 또한, 초연결 시대의 핵심 인프라가 될 IoT 등 융합 서비스 예산 규모를 늘리고(‘16년, 530억원 ⇨ ’17년, 653억원), 안전한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정보보호 분야 투자도 크게 확대(‘16년, 440억원 ⇨ ’17년, 575억원) 된다. 

 아울러,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국가 컴퓨팅 역량 확보를 위해 초고성능컴퓨팅, 신개념컴퓨팅(뉴로모픽 등) 등 차세대 정보․컴퓨팅 기술개발을 확대(‘16년, 98억원 ⇨ ’17년, 113억원)하고,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을 위해 핵심기술개발과 무인 융합시스템 구축 및 운용 등에 대한 투자도 늘릴(‘16년, 150억원 ⇨ ’17년, 179억원)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선정(8월)한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추진도 본격화된다.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자율주행차, 경량소재, 스마트 시티,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프로젝트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미세먼지, 탄소자원화, 정밀의료, 바이오 신약 프로젝트 등에 총 281억원(미래부 소관 예산액 기준)이 투자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2017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은 지능정보 기술 등이 촉발하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과학기술‧ICT R&D의 전략적 투자를 도모하고, R&D 성과 창출 및 확산을 위한 R&D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청사진이 될 것이라면서,과학기술․ICT 분야 R&D 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지고,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현장과의 소통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과학기술) R&D 사업 혁신 TF 등 / (ICT) ICT 정책해우소 및 찾아가는 현장방문 등

 한편, 미래부는 이번에 확정된 시행계획을 1.2일자로 공고하는 한편, 과학기술․ICT R&D사업의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에 대한 지역별 설명회를 1월 중 개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5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 찾아가는 기술상담 실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4월 15일(화)에 인천광역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에서 관내 식품 및 축산물 인증업체 해썹 운영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한「찾아가는 기술상담」을 운영했다. 이번「찾아가는 기술상담」은 2023년 지역사회 소통 및 협력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인천광역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업사업의 일환으로, 관내 식품·축산물 해썹 인증 및 연장을 준비하는 업체가 대상이다. 해썹 인증 준비업체 대상 기술지원은 ▲해썹 적용절차 ▲관리기준 수립 방안 ▲작업장 도면 검토 등이 주요 내용이며, 해썹 운영 업체 대상으로는 ▲관련 기준 개정 사항 ▲스마트 해썹 제도에 대한 적용 방안과 평가 기준 등에 대하여 1:1 업체별 맞춤 상담이 진행되었다. 한편, 올해 인천광역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관내 음식점 위생등급제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상담, 음식점 특화 거리 조성 및 스마트 해썹 활성화를 위한 교육 등 다양한 협력 방안도 논의하였다. 이주연 경인지원장은 “인천광역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의 업무협약 이후 3년간 다양한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지역 특색을 반영한 협업과제를 발굴·추진하여 지역 내 식품 안전을

축산

더보기
농촌진흥청, 국내 개발 풀사료 신품종 설명회 개최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4월 16일 본원 전시 재배지에서 국내 개발 목초·사료작물 품종 설명회를 개최한다.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종자 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이번 설명회에서는 국내 개발 풀사료 품종을 소개하고 주요 특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안정 생산 재배 기술교육, 향후 풀사료 산업 발전을 위한 육종 방향 및 종자 보급 확대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소개될 품종은 총 3종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신품종 ‘오아시스’, 알팔파 신품종 ‘알파킹’, 톨페스큐 ‘그린마스터 4호’이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사료가치와 가축의 기호성이 뛰어난 풀사료이다. 현재 국내 풀사료 재배면적의 약 66%, 겨울철 풀사료 재배면적의 약 84%를 차지하며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2023년에 개발한 신품종 ‘오아시스’는 수확시기가 빠른 조생 품종으로 수입 품종(‘플로리다80’)과 비교해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고, 생산성이 9% 높다. 또한, 사료가치가 우수해 국산 품종의 자급률을 높이고 수입 품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풀사료의 여왕’으로 불리는 알팔파는 사료가치가 높아 축산농가에서 선호하는 풀사료지만,

식품

더보기
소규모 식품업체의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기술지원 서비스’ 신청하세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소규모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식품업체의 자체 위생관리 능력 강화 및 식품 관련 법령 위반 재발 방지를 위한 ‘소규모 식품업체 맞춤형 기술지원 서비스 사업(맞춤형 기술지원 서비스)’을 5월부터 11월까지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맞춤형 기술지원 서비스는 안심 먹거리를 공급하기 위해 중소제조업체 약 850개소를 대상으로 맞춤형 현장 기술지원, 실습교육 및 시험검사 등을 무상으로 지원하며, 해썹인증원과 (사)한국식품안전협회가 공동으로 추진한다. 사업 대상은 식품업체 중 다음에 해당하는 업체로 ①매출액 10억 미만 중 최근 3년간 1회 이상 법령을 위반한 업체 ②2024년부터 신규로 영업 등록한 업체 ③매출액 10억 미만 중 기술지원 희망업체 ④수출 부적합 품목 제조업체이다. 법 위반 업체는 우선 사업 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술지원을 희망하는 업체는 신청 접수 후 심사를 거쳐 사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맞춤형 기술지원 서비스의 주요 내용은 ▲수준 진단을 통한 맞춤형 기술지원 ▲주요 위반사항 및 위생 관련 법령교육 ▲미생물 시험 검사법 실습 교육 ▲공정품 시험검사 지원 등이다. 또한, 참여 업체에게는 1:1 현장 기술지원

산림

더보기